사주가이드#1

격국(格局) - 정관격(正官格) 2

파이팅 | 2017-10-03 11:49:32

조회수 : 1,706

격국(格局)
 
정격(正格)
 
정관격(正官格)

 
정관(正官)의 원류(源流)는 재성(財星)이다.
따라서 사주에 정관(正官)과 재성(財星)이 같이 있어 유기(有氣)하면 재관이덕(財官二德)을 겸했다고 하여 귀격(貴格)사주라 한다.
재성(財星)은 정관(正官)의 뿌리가 되기 때문에 정관격(正官格) 사주에서 재성(財星)이 있는 것을 기뻐한다.
정관(正官)이 가장 꺼리는 육신(六神)은 상관(傷官)이다.
상관(傷官)은 정관(正官)을 진극(眞剋)하기 때문이다.
甲木 日主에 정관(正官)은 辛金이 된다.
상관(傷官)은 日主의 아생자(我生者)로서 음양(陰陽)이 다른 것이니 丁火가 된다.
丁火는 辛金을 火剋金으로 剋하는데 둘 다 음간(陰干)으로 剋하니 진극(眞剋)이 되는 것이다.
진극(眞剋)과 가극(假剋)은 앞에서 설명한 바 있다.
상관(傷官)은 식상(食傷)으로 日主의 자손(子孫)이며 日主의 生을 받은 보답으로 日主를 剋하는 관성(官星)을 剋하게 되는 오행의 이치를 역시 앞에서 설명한 바 있다.
관성(官星)을 보호하는 육신(六神)은 인성(印星)이 된다.
官生印, 즉 관성(官星)으로부터 生을 받은 인성(印星)은 관성(官星)을 剋하는 식상(食傷)을 剋하여 은혜를 보답한다.
따라서 인성(印星)에 둘러싸여 있는 정관(正官)은 상관(傷官)이 극해(剋害)하지 못한다.
정관(正官)이 월간(月干)에 투출(透出)되고 월령(月令), 즉 월지(月支)에 통근(通根)이나 生을 받아 득기(得氣)하는 것이 정관격(正官格)에서는 최상(最上)이 된다.
그다음 좋은 것은 년간(年干)이나 시간(時干)에 정관(正官)이 있는 것이 좋다.
정관(正官)의 추리(推理)는 천간(天干)부터 하는 것인바 이는 지지(地支)보다는 천간(天干)에 있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정관격(正官格)에서 日主가 신왕(身旺)할 때는 재성(財星)과 관성(官星)이 왕성해지는 대운(大運)을 맞는 것이 대길(大吉)하다.
만일 日主가 신왕(身旺)한데 재성(財星)이 약할 때는 관살(官殺), 즉 정관(正官)과 편관(偏官)이 사주에 있거나 관살운(官殺運)을 맞아야 좋다.
재성(財星)이 약하다는 것은 비겁(比劫)이 있는 경우이니 관살(官殺)로 비겁(比劫)을 극제(剋制)하고 재성(財星)이 生할 수 있도록 해야 되기 때문이다.
日主가 신약(身弱)하고 그 사유가 인성(印星)이 약한 경우에도 역시 관살(官殺)을 만나야 된다.
관살(官殺)을 용신(用神)으로 삼아 인성(印星)을 生하고 비겁(比劫)을 극제(剋制)하여 재성(財星)을 보호하여야 인성(印星)이 파괴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만일 재성(財星)과 인성(印星)이 너무 태왕(太旺)할 경우에는 오히려 비겁(比劫)을 사용해야 한다.
비겁(比劫)으로 인성(印星)의 기운을 설기(泄氣)시키면서 재성(財星)을 극제(剋制)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정관격(正官格)에서 관성(官星)이 홀로 태왕(太旺)한 경우에는 인성(印星)으로 용신(用神)을 삼아서 官生印으로 관성(官星)의 기운을 설기(泄氣)시키면서 인성(印星)이 日主를 생조해야 한다.
만일 식상(食傷)으로 관성(官星)을 제압(食剋官)하려고 한다면 왕자충발(旺者冲發)현상이 되어 극제(剋制)와 설기(泄氣)가 동시에 번갈아 된다는 의미의 극설교집(剋洩交集)으로 日主가 먼저 해(害)를 보게 되기 때문이다.
왕자충발(旺者冲發)의 의미는 왕성한 자가 쇠약한 자를 충극(冲剋)하면 쇠약한 자는 그 뿌리까지 뽑히고 쇠약한 자가 왕성한 자를 충극(冲剋)하면 왕성한 자는 충극(冲剋)을 당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발동이 되어 기세(氣勢)가 심해진다는 의미이다.
정관격(正官格) 사주에 식상(食傷)과 관성(官星)이 서로 싸우고 있는 관식상전(官食相戰)인 경우는 평생 관재(官災)가 끊이지 않고 부부나 자손도 흉(凶)하게 된다.
재성격(財星格)에서 재성(財星)과 인성(印星)이 서로 싸우고 있어 재성괴인(財星壞印)이 되는 경우 관성(官星)이 있어 통관(通關)시키게 되면 경우 길명(吉命)이 되듯이 정관격(正官格)에서 관식상전(官食相戰)의 경우에는 재성(財星)이 있어 식생재(食生財), 재생관(財生官)으로 통관(通關)시켜서 日主가 균형을 이루게 되어야 길명(吉命)이 된다.
정관(正官)이 상관(傷官)을 만나 진멸(盡滅)의 위기에 몰리게 되어도 재성(財星)을 만나게 되면 상관(傷官)은 탐생망극(耽生忘剋) - 生이 탐나서 剋하는 것은 잊어버린다는 의미다. - 식생재(食生財)하여 재성(財星)을 生하느라 정관(正官)을 剋하지 않게 되고 상관(傷官)의 生을 받은 재성(財星)은 재생관(財生官)으로 정관(正官)을 生하게 되니 정관(正官)은 뿌리가 더 깊어지게 되며 적이 아군으로 변하는 것과 같다.
이러한 것을 명관과마(明官跨馬)라 한다. 명관과마(明官跨馬)의 뜻은 현명한 관성은 말을 타고 넘는다는 의미로 재성(財星)의 별칭이 재마(財馬)라 했으니 현명한 관성(官星)은 재성(財星)을 타고 넘는다는 말이 되겠다.
정관격(正官格)에서 식상(食傷)이 약하고 관성(官星)이 왕성한 경우를 식신제살격(食神制殺格)이라 하는데 대운(大運)에서 식상(食傷) 運을 맞으면 오히려 길명(吉命)이 되며, 반대로 식상(食傷)이 왕성하고 관성(官星)이 약한 경우를 제살태과격(制殺太過格)이라 하여 대운(大運)에서 관성(官星) 運을 맞게 되면 역시 길명(吉命)이 된다.
정관격(正官格)에서 정관(正官)은 충형파해(冲刑破害)나 공망(空亡)이 되는 것은 크게 꺼리는 바 그럴 경우는 귀격(貴格)이 오히려 천격(賤格)으로 바뀌어 하급직의 군인(軍人)이나 하급관리(下級官吏)가 되게 되며 12운성의 묘(墓)에 들어도 흉(凶)하게 된다.
만일 여자일 경우는 일부종사(一夫從事)가 어렵게 된다.
 
 
출처 : 격국(格局) 정관격(正官格) - blog.daum.net/gbell58
Fun 이전 현재페이지1 / 126 Fun 다음
Fun 이전 현재페이지1 / 126 Fun 다음
© 원제역학연구원

select count(*) as cnt from g4_login where lo_ip = '18.189.170.227'

145 : Table './wonje2017/g4_login' is marked as crashed and should be repaired

error file : /m/bbs/board.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