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국론>
1. 격국
사회성. 대외적인 활동상황을 말함
틀(뼈대)를 말한다
활동 공간을 나타낸다.(직장, 사업장)
부귀빈천의 높낮이를 말한다
성격
전생을 말한다
※ 억부
격과 달리 억부는 대내적 가정적인 육친관계를 나타낸다
2. 격 정하기
투간된 기운을 중심으로 격을 정한다
투간된 것이 없으면 뚜렷한 작용을 하거나 세력을 형성한 것으로 격을 정함
정격→ 내격이라하고 식신,상관 등 8정격을 말하는데 비견과 겁재는 제외한다(건록, 양인격을 합쳐서
10정격으로 보는분도 있다)
변격→ 외격, 특별격국이다. 이는 다시 화격과 종격으로 나눈다
3. 정격
월지에 지장간 중에서 정기가 투출해 있으면 무조건 정기가 격이 되고 초기 중기가 투간되어 있으면
그 중 강한 놈을 쓴다.
인신사해월의 초기는 토인데 사월의 무토를 제외하고는 투간되더라도 격을 삼아주지 않는다
자, 오, 모, 유는 천간에 투출되어 있지 않아도 격을 삼을 수 있다.
4. 진술축미월은 사고지, 사묘지의 작용이다.
변화가 가장 많다
어느 오행을 나타낼지 어렵다
환절기다
잡기파, 상황파, 눈치파라고 하는데 사주의 짜임새에 따라 달라진다
진월은 목이 가장 큰 힘이고 미월의 을목은 힘이 없다. 그러므로 계절적 개념을 생각한다.
진술축미월의 지장간 중 같은 오행이 투출되어 있으면 음양을 가리지 않고 격을 잡아준다
(을목이 없으면 갑목이라도 잡는다)
5. 격은 대표성이다
천간에 투출되어 있더라도 그 사주를 대표할만한 세력이 아니면 격을 잡아주지 않는다
격은 대표선수인 것이다
6. 진격과 가격
월지장간에서 나오지 않은 격은 가격이고 그 반대는 진격이다.
천간에 투출된 것을 우선으로 한다.
같은 자리에서도 월간, 시간, 년간의 순으로 본다
격이 잘 짜여져 있으면 격국이라고 한다
7. 격국은 일간의 사회적인 활동이다
개인의 타고난 일을 본다
개인의 타고난 업을 본다
일의 성패를 본다
※참고로 억부는 일의 과정에서 길흉을 본다
8. 격국론에서 재중용겁은 용납할 수 없다.
9. 격국과 용신과의 관계
격국이 나라이면 용신은 통치자이며, 격국이 자동차이면 용신은 운전사이다.
용신은 일주의 능력, 의지력, 정신력, 적성을 말한다
10. 격국의 성패
월지의 본기에 사령이면 80퍼센트 이상 능력을 발휘할 것이고
월지의 초기나 중기이면 60퍼센트의 능력을 발휘할 것이다
사령이 어디에 뿌리를 두었느냐에 따라 격국의 크기가 정해진다
투간이 되는데 1개만 투간되면 청하고 길하다
정편 혼잡은 안좋다
식신격인데 또 식신이 있다던지 하면 탁한 것 혹은 편중된 것으로 안좋다
공망이면 격이 떨어진다
11. 혼잡
세력은 강하나 쓸데없이 일들을 많이 벌인다
열심히 해도 되는일이 없다
세력갈등, 한가지 일에 매진하지 못한다
제합이 필요하다(제화와 합이다), 격국용신이 4용신일때 합하거나 극하면 기신이 되는 것이고
격국용신이 4흉신일때 생부해주는 것이 기신이다.
격국용신에는 재와 관이 가장 중요하다.
덧글쓰기 | 엮인글 쓰기 이 포스트 담기
4515696 운명을 추심한다 격국론 4515696 운명을 추심한다 격국론
역술과 직업 2004/03/03 17:21
http://blog.naver.com/4515696/1124381
다음카페 프로사주 명리마을(운영자 혜도짱)에서 퍼온 글입니다
성격, 직업, 월령.
대체로 命理 學 에서 運命을 논할 때, 五行이 均衡되어 있는 四柱를 貴命으로 치는 경향이 있다. 그 이유는, 四柱의 五行이 均衡 되어있다 함은 대체로 對人關係나 財運이나 妻運 등 社會, 家庭 전반에 걸쳐
좋은 운명적 暗示를 가지고 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이런 四柱들은 어떤 직업을 갖더라도 대체로 잘 적응해서
良好한 運命을 산다는 뜻이기도 하다.
하지만, 오행이 均衡되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쳐진, 다시 말해 貴格이지 못한 四柱의 주인공들 중에서 소위
재벌급으로 大成功 하는 이가 많다. 이는 온실에서 자란 화초보단 거친 세파의 파란을 뚫고 이른바
赤手空拳으로 自手成家 하는 運命的 勝利者를 의미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들은 成功을 위해 많은 부침의 세월을 살아가야만 하는 四柱의 意味를 같이 지니고 있다. 그야말로 중도좌절하면 敗北者요, 부단한 노력과 거침없는 鬪志를 발휘한자만이 勝利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命學에서는 이렇게 말한다. “四柱가 한쪽으로 치우쳐진 者는 한 가지 일에 끝을 보면 大成하고, 職業을 바꾸면 실패하기 쉽다” 이것은 강한 性格이 필요함을 暗示하는 말이다.
五行이 中和되지 않은 四柱에서 가장 중요시 되어야하는 것은 바로 月令이다. 이 月令에서 格이 나오며 이 格은 바로 하나의 체제로서, 性格과 進路 出身을 살피는 것이다. 이 性格과 출신은 바로, 선택 의 연속인 인간의 삶에 강렬한 영향을 주는 것이다. 우리의 삶에서 “選擇” 이주는 비참한 결과를 얼마나 많이 보아왔던가 그 선택이 바로 性格이다. 性格은 四柱의 格과 일치하며 괜히 品位가 있고 괜히 早急 한 게 절대 아니다.
月令은 母胎에서의 시간을 의미하며, 이때 이미 상당한 성격적 환경이 조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性格을 잘 파악해 주지 않으면 치우치진 운명을 바꾸기는 힘들다. 용신이 비록 힘이 없더라도 格이 반듯하다면, 고통 속에서나마 자신을 이길 수 있는 성격이기 쉽다. 용신의 뒤에 있는 격이라는 체제는 인간에게 또 하나 희망의 길을 여는 관건이 되는것이다.
소위 미신이라 치부되던 運命學이 사실 알고 보면, 우주를 꿰뚫는 통찰력을 바탕으로 一事에 一喜一悲하는 인간들의 어리석음에 대해, 啓導的 眞理마저 갖추었음은 그야말로 또 한번 숙연해지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다만, 格局 用神을 모르고도 사주를 추명 할 수 있다는 대단한 술사들이 부러울 따름이다.
omnipresence (遍在)
운명을 바꾸기도 하는 직업.
무릇 四柱八字 란 한 사람의 生年月日時의 기상과 기후조건 등의 조화로 결정된 “틀”을 말하는 것이고 그 “틀”을 運行 시키는 것이 大運 이니, 歲運이니 하는 즉, 運의 흐름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古書에서도 대운이나 세운의 흐름을 原局인 四柱八字보다 더욱 중요히 생각하는 이유인 것이다. 대운이란 生月의 줄기이고, 세운은 해당 년도이나, 사실은 그것역시 우리의 의지와는 관계가 없는 것이다. 주어진 운명적 환경에서 우리의 의지로 좋은 運을 만들어 간다는 것은 불가능 한 것일까?
인간의 의지로 바꿀 수 있는 운명적 조건은 지극히 제한되어 있다. 하지만 不可能은 아니기에 이러한 運命學 이 수 천년에 걸쳐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는 것이다. 이 문제만으로도 많은 이론을 제시할 수 있지만 이 장은 職業에 관한 장이니 직업에 국한하기로 한다.
職業이란, 多衆의 氣를 움직이는 강한 힘을 가지고 있기에 陰陽五行의 균형조절에 큰 변수로 작용한다. 따라서 직업을 선택하는 일도 좋은 운명적 환경을 만들고자하는 우리의 의지가 반영되는 것이다. 대체로 四柱八字에서는 직업에 대해 다양한 정보가 숨어있다. 인간은 스스로 四柱의 구성이나 用神의 활용도에
따라 자신도 모르게 음양오행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직업을 선택한다. 이런 경우를 소위 天職 이라한다.
말하자면 四柱가 너무 뜨겁게 구성되어 있는 사람이, 태어난 날의 태어난 시각에 만약 비가 왔다면, 그것도 변수로써 강하게 작용되듯이, 직업적 변수 또한, 항상 물을 가까이 하는 직업을 선택함으로써 뜨거움을
중화시키는 것은 물론, 물의 직업과 관계된 여러 사람들을 만나고 부대끼면서 나의 주변에 水氣의 흐름을
강화시켜준다는 것은, 강한 火氣로 비롯된 질병이나 불안한 육친관계 재산문제 등 여러 가지 불협화음들을
상당부분 정상화 시킬 수 있으니, 직업의 선택이란 매우 중요하다. 그렇다면, 과연 어떤 직업을 선택할 것인가?
첫째는 적성이다. 대체로 적성이란 四柱의 격 구성에서 명확히 나타난다. 성격이나 기질, 집중력과 활동력 등 이런 조건들이 五行의 구비 상태와 직결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실 이러한 특성을 가장 잘 아는 이는 본인이다. 고로 자신의 마음이 가는 데로 따름이 최선이다. 소우주인 인간은 스스로의 방어 작용에 의해 자신에게 필요한 五行에 따라 재능이 발휘되는 법이다.
四柱의 형태를 구별하는 格局 이란 것이 사람에 따라 두개 세 개의 겹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듯이, 자신의
재능과 자질이 겹쳐 나타나거나 혼탁이 강제되어 도저히 흔쾌한 직업의 결정이 어려운 사람은 책임감 있는
역술인 에게 물어서 선택함이 타당하리라 생각한다.
易이란 인간이 알고자 하는 일을 하늘이 대신해 알려주는 것이고, 매개자인 그 易術人도 자질과 재능을 窮究하여 최선의 선택을 했을 터이니까.
명리학과 고전에 대한 글
명리 학이 수많은 세월의 진화를 거쳤고 그 진화의 흔적들은 일종의 매듭이 되어 남아있다. 물론 그 과정에서 많은 현철들이 무모함에 가까운 새로운 도전들을 통해 나름들대로의 매듭들을 형성하였고, 우리는 그 매듭들에 의해 이만큼이나마 깊숙이 이 학문에 들어와 있다.
하지만, 기존의틀을 깨는것이 항상 인기를 수반한다고 생각함은 매우잘못이다. 옛것을 냉정하게 새로운 시각으로 추론해보는 것은 학자의 자세이겠으나, 그 추론을 빌미로“옛 향기”를
오염 시켜서는 안 된다.
과거의 현철들은 수십, 혹은 수백 년의 문중적인 세월을 바탕으로, 철저한 논리를 기반 하여 직관으로 필연성을 궁구하고 이론으로 검증한 결과가 바로 오늘날 우리가 보고 있는 학문적인 매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은 원리를 다 이해 하고나면 말은 버리고, 우주를 들여다보는 "직관” 으로 명리를 해석 했다. 우리가 아무리 서책에 매달려 봐도 언어만으로 명리를 규명하려면 이 학문을 이해할 수 없다. 물론 원리만을 다
이해하기만 해도 상당한 실력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는데, 이경지도 상당한 세월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것저것 잡서 몇권 읽었다고 대가 인양, 자신의 학설이니 이론이니 하며 아류를 구축한다면 그것이 본의가
아니었다고 해도 크게 죄를 받을 일이다.
학자로써 자신의 학문적 공간을 만들고자 하는 욕심은 당연하거니와 바람직도 하겠지만, 타인이 만든 공간에서 노닐다가 그 귀퉁이 한쪽에 검증되지도 않고 부실 하기만한 날림공사를 시도한다는 것은
그 공간의 학문적 정신적 가치를 훼손하는 우를 범하기 쉽다.
이글을 쓰고 있는 본인은, 공간은커녕 허공에다 줄 하나 긋지 못하는 필부이고 비재이나,최소한 부실공사는 알아볼
공부는 되었다고 생각하기에 감히 이 말씀을 드린다.
명리 학이 비록 일단의 모호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고 해서, 이 학문이 어설픈 학자들의 망상에 이용 된다면 그것이
바로 이 학문을 죽이는 일이다. 객관성이 결여된 두루 뭉실한 가설로, 맞으면 좋고 틀리면 그만 이라는 식의 상상력은 매우 위험하고 비겁하다.
지적인 활동이라는 차원에서의 학문적 연구라는 것이 결국, 어제의 뿌리가 오늘의 꽃이 되고 오늘의 이 꽃이 또 내일의
씨앗이라는 면에서 우리는 과거와 현재 또는 미래까지도 서로 보호해야할 가치를 느끼는 것이다. 즉 무분별한 확대 해석으로 자칫 우리가 궁구하는 이 학술의 근본원리를 파괴하는 일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말이기도 하다.
전통만이 전부라는 말은 절대 아니다. 다만, 근거 없는 새로움에 대한 기대는 본질에서 벗어난 오해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는 뜻이다. 검증되지 않은 이론으로 십인십색의 논리가 난무한다면 이학문은 점점 더, 젊은 후학들에게 할말을 잃게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