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 방위와 氣
실내의 바위에 의한 기운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즉 실내의 중심부분에 모여있는 기운과
외부의 기운이 출입문으로 출입하는 기운의 두 가지이다. 실내의 생기는 이들 두 가지 기운의
조화에 의하여 좌우된다. 두 가지의 기운이 조화를 이루면 명당이 되지만 두 가지 기운이 서로
조화를 이루지못하는 경우는 명당이 되지 못한다. 두 가지 기운의 조화 관계는 각각의 방위에
의한 기운으로 분석한다.
즉, 室의 내부에는 기운의 중심점이 형성되며, 기운의 중심점은 방위에 의하여 고유한 기운으로
구분된다. 이에 비하여 방으로 출입하는 기운이 구분되는데, 사람들의 출입문은 바로 바람이
출입하는 위치가 되며, 이것은 방의 내부에서 보아서 방위상으로 그 종류를 구분하는 것이다.
실내 기운은 8방위에 의하여 각각 구분된다. 8방위는 360도의 방위를 45도씩 8개로 구분한 것이다.
남북을 중심점으로 하여 동서남북의 네 방위와 그 사이에 있는 북동, 남서, 남동, 북동의 도합
여덟 개가 그것이다. 여덟 개의 방위적 구분은 주역의 팔괘에 의거한 것이다.
8-2. 실내 기운의 구분
일반적으로 실내의 기운은 잠잠한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비록 잠잠하게 생각되는 기운도
분석해보면,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실내의 기운이 점차적으로 상승되어, 천장을 통하여 하늘로
올라가게 되고, 이후에 공기는 창문이나 개구부를 통하여 보충되기 마련이다. 즉, 개구부로 출입
한 바람은 실내에서 회전을 하면서 상승한다.
실내의 기운은 수평적으로나 수직적으로 회전하며, 이 기운은 바람과 같이 움직인다. 바람의
기운은 바람의 흐르는 방위에 따라서 그 종류가 다른데, 실내의 기운에 있어서 길흉을 구분하는
방법은 주인기운과 손님기운과의 상관관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 관계를 분석하는 이론으로
세 가지가 적용된다. 다시 말해서, 방위에 대한 각각의 기운은 세 가지의 기준에 의해 구분된다.
첫번째가 동사택과 서사택의 구분이다. 두 번째가 음양에 의한 기운의 구분, 그리고 오행에 의한
기운의 구분 등이다. 이상 세 가지 이론은 실내의 기운을 분석하는 핵심적인 기준이 된다.
8-3. 방위의 동사택(東四宅)과 서사택(西四宅)
지표면에는 보이지 않는 힘이 항상 흐르고 있다. 이 보이지 않는 힘은 바다에서는 난류와 한류를
일으킨다. 바닷물은 항상 일정한 방위를 따라 흐르는데, 이러한 바닷물의 흐름은 보이지 않는
힘의 결과라고 해석된다. 바다에만 그 힘이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육지에서도 보이지 않는 힘이
흐르고 있다. 즉, 지상에도 난류와 한류의 기운이 흐르는 것이다.
인체에도 동맥과 정맥의 서로 다른 피가 흐른다. 사람의 인체 내부에서 동맥과 정맥의 피가
서로 부딪치게 된다면 건강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준다. 즉, 인체 내의 혈액이라고 하더라도 그
성질은 전혀 달라서 서로 결합될 수 없는 것이다. 사람에게 동맥과 정맥의 구분이 있는 것은
자연에서 난류와 한류가 있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바다의 난류와 한류와 같이 지표면에 흐르는 기운을 동사택(東四宅) 기운과 서사택(西四宅)
기운 두 가지로 구분되는 데 이것은 마치 인체의 동맥, 정맥의 구분과 같이 그 성질이 다른 것이다.
동사택 방위의 기운은 동사택 방위의 기운과는 잘 어울리게 되지만, 서사택 기운이 어울리게 되면
좋지 않은 실내 분위기를 만든다. 실내에서 중심의 기운의 동사택과 서사택으로 구분하는 기준은
방위에 의해서이다. 팔방위 중에서 네 개의 방위는 동사택에 해당하며, 나머지 네 개의 방위는
서사택에 해당한다. 북쪽, 동쪽, 동남쪽, 남쪽의 네 개 방위 180도를 동사택(東四宅)이라고 하며,
북동쪽, 북서쪽, 서쪽, 남서쪽의 네 개 방위를 서사택(西四宅)이라고 한다.
실내의 중심기운이 동사택 기운일 경우, 출입구로 들어오는 기운도 동사택 기운이어야 좋다.
그러나 실내의 중심기운이 동사택인 기운인 경우에 출입문으로 서사택 기운이 들어오게 된다면
이러한 실내는 좋지 않은 공간이 된다. 실내의 중심기운이 서사택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출입문으로 서사택 기운이 들어오면 좋지만, 동사택의 기운이 들어오면 좋지 못하다. 실내에서
동사택 기운과 서사택 기운은 같은 기운끼리 만나게 생기를 이룬다. 그러나 서로 다른 기운끼리
합치면 생기는 일어나지 않는다.
실내에서 중심공간의 위치를 찾는 방법은 실내의 중심점에서 패철로써 기운이 모이는 쪽의 방위
를 찾아보는 것이다. 가령, 실내가 정 남쪽을 향하고 있을 경우, 남쪽에서 들어오는 바람은 집의
북쪽의 중심에 기운이 모이는 것으로 본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내에서 중심의 기운은 북쪽이 된다.
북쪽은 팔방위 상 동사택 기운을 띤다. 이러한 실내에서 가령, 출입구와 창문이 남쪽에 있다고
할 경우에 출입구의 위치는 방위 중심에서 보아 남쪽에 있는 것으로 구분이 된다. 남쪽의 방위는
역시 동사택 방위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남향(南向)인 건물에서는 중심부가 팔방위상 북쪽 중앙에 있게 되며, 손님기운에 해당
하는 문은 남쪽이며 역시 같은 동사택의 기운이기 때문에 주인 기운과 손님기운이 어울려서 발전
하는 공간이 된다. 그러나 가령, 동향(東向)의 방인 경우 실내에서 보아, 동쪽으로 바람이 들어오
고, 서쪽 벽 중심에 기운이 모이게 된다. 이러한 방의 중심 기운은 서쪽이 되며, 서쪽은 서사택
기운에 해당이 된다. 이 방의 중심에서 출입구 쪽의 방위는 동쪽에 해당하여 동사택 방위이다.
이러한 방에서 동사택으로 들어오는 기운은 서사택의 주인 기운과는 서로 어울리지 않아 좋지
않는 경우이다.
8-4. 팔방위의 음(陰)과 양(陽)
여덟 개의 방위는 각각 음과 양의 두 가지 성질로 구분되는데, 음은 여성적인 기운을 가진 방위이
며, 양은 남성적인 기운을 갖고있는 방위이다. 기운에 있어서 음방위와 양방위의 기운은 음양의
이치로 보아, 음양이 서로 다른 종류의 기운과 만나는 것을 생기 즉 좋은 기운으로 구분하며,
같은 종류의 기운과 만나는 것은 좋지 않은 기운으로 구분한다.
그러므로 실내의 중심이 음 방위에 있을 경우에는 양방위에 있는 출입문으로 바람이 들어와야
좋다. 그러나 실내의 중심이 음방위이며 동시에 출입문도 음방위이면, 주인과 손님이 모두 같은
음 기운이어서 좋지 못하다. 실내의 중심 기운이 양방위인 경우도 출입문의 방위가 음 방위이면
여성의 기운이 들어오게 되어 실내는 좋은 기운이 된다.
팔 방위 중에서 양방위는 북쪽, 북서, 북동, 동의 네 개 방위이다. 음의 방위는 남서, 남, 남동,
서의 네 개 방위이다. 여기에서 음양의 구분은 더욱 세분화된다. 즉, 양방위 중에서도 북서의
양은 늙은 아버지의 양방위에 해당되고, 북쪽은 둘째 아들의 양방위에 해당되며, 북동은 작은
아들의 양방위, 동쪽은 큰아들의 양방위로 구분된다. 음방위도 역시, 남동 방위는 장녀(長女)의
방위, 남쪽은 중녀(中女-둘째딸), 서쪽은 작은 딸, 남서는 늙은 어머니의 방위로 각각 구분된다.
이러한 방위 구분에 의하여, 실내의 중심 위치가 여성의 방위일 경우에는 출입문의 기운은 남성
기운인 경우가 좋다. 중심이 남성인 경우에 있어서도 여성 기운의 바람이 들어와야 한다.
방위에 있어서, 늙거나 젊거나 하는 구분은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음양의 결합에 있어서 같은
양과 같은 음 간에는 불화가 발생한다. 특히, 주인의 기운이 음이고, 출입문의 기운이 음일 경
우에는 실내의 기운이 좋지 않다. 여성의 기운만 특히 많기 때문에 남자들이 불리하다.
이와 반면에 중심과 출입문의 기운이 남성인 경우에는 여성들에게 불리하다.
예컨대, 실내의 중심기운이 북쪽인 경우 음양으로는 중남 즉 둘째 아들로, 중남은 강한 양의
기운을 의미하여, 반면에 출입문이 남쪽에 있을 경우 음양으로는 중녀 즉 둘째 여성이 되어서,
이 음양의 관계는 강렬하게 결합되는 성질을 갖고 있다. 강렬한 기운은 순간적으로 좋은 기운
으로 결합된다. 북서쪽의 실내의 중심기운이 있고, 남서쪽에 출입문이 있는 경우, 북서쪽은
늙은 남성의 방위이고 이에 비하여 남서쪽은 늙은 여성의 기운인 관계로, 이러한 경우는 시간이
한참 경과된 후에야 서로 좋아지기 시작한다.
출처 : 풍수학 - blog.naver.com/ksks55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