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회원가입 | 마이페이지 |  0점 |  0원 | 즐겨찾기 
공지
원제역학연구원 홈페이지 오픈 (10)

04.29 (월)

가입인사
close
HOME > 회원자료공유 > 사주가이드#1

본 게시판은 회원이 직접 올린 회원간 정보를 공유하는 게시판입니다. 저작권에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자료는 가급적이면 올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저작권 보호요청 : 회원이 올린 게시글 중 저작권에 위배되는 게시글이 있을 경우 연락주시면 확인 후 삭제조치 하겠습니다.

출장안마,출장마사지,바나나출장안마이미지
게시물 1,890건
   
군인 유재흥 사주
Mr.대산 2017-10-03 (화) 15:28 조회 : 1512

유재흥(劉載興, 1921년 8월 3일~2011년 11월 26일)
 
양 력: 1921년 9월 4일
음/평: 1921년 8월 3일 남자
 
시 일 월 년
@ 庚 丙 辛
@ 午 申 酉
 
丁 戊 己 庚 辛 壬 癸 甲 乙 대운: 역행
亥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89 79 69 59 49 39 29 19 9.2
 
대운 시작: 9세 2월 12일
사망 나이: 91 세 (2011년 신묘년)
사망 대운: 丁
 
 
한국전 ‘최악의 패전’ 장군, 국립현충원에 안장 2011.11.30
 
'현리 전투' 때 경비행기 이용해 도주…병력 60% 잃고 군단 해체
 
치욕적 패전 불구 국방부는 '전쟁영웅' 묘사…'친일행적' 도 논란
 
"전시에는 군인으로, 평시에는 외교 및 국방의 일익을 담당하여 국가에 헌신한 유재흥 장군은 은성태극무공훈장을 비롯한 각종 무공훈장 5회, 수교훈장 2회 등 수많은 훈포장을 국내외로부터 수여받을 정도로 탁월한 능력을 지닌 지휘관이자 6.25전쟁의 영웅이었다."
 
국방부 산하 전쟁기념관 기록(2004년 기준)은 지난 27일 91살을 일기로 숨진 유재흥 예비역 육군중장에 대해 '전쟁영웅'이라고 묘사했다. 군은 이런 평가에 따라 유 장군의 장례식을 합동참모본부장(위원장 정승조 합참의장)으로 치른 데 이어 29일 국립대전현충원 장군묘역에 안장했다.
 
전쟁기념관 기록은 일본육사 출신(25기)으로 학병을 권유해 친일사전에 등재된 사실을 거론하지 않은 것은 물론 한국전쟁에서 최악의 패전으로 미군으로부터 전시작전권을 빼앗기는 빌미가 됐던 현리전투에 대해서도 전혀 언급을 하지 않은 채 공적만을 열거했다.
 
■ 한국전쟁 최악의 패전주인공…적전 도주
 
1950년 10월16일 평양으로 북진 중 창설된 3군단의 지휘봉을 잡은 유 장군은 이듬해 5월 16~22일 중공군 2차 춘계공세 때에 벌어진 현리전투로 병력 60%를 잃은 채 창설 8개월만에 부대가 해체되는 치욕을 겪었다. 더구나 유 장군은 "작전회의에 참석한다"며 작전 중 경비행기를 이용해 작전지역에서 도주하고 사단장 등 최석 9사단장 등 군지휘관들도 허둥지둥 탈주하는 군기문란을 저질러 병사들의 사기를 크게 떨어뜨렸다. 그러나 당시 참모총장이었던 백선엽 장군은 자신의 저서 <밴 플리트 장군과 나>에서 "이때 유재흥은 작전회의에조차 참석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런데도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에서 펴낸 한국전쟁전투사는 현리전투에 대해 "중공군 2개군에 의해 국군 3군단 예하 3, 9사단(3군 산하)이 담당하던 오미재 방어선이 돌파당해 퇴로가 끊겨 3군단 전원이 철수하는 악전고투를 치르면서 70㎞나 후퇴한 전투"라고 간단하게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당시 전투에 참가한 노병과 학도병들은 현리전투에 대해 "패전이 아니라 처참한 패주"라고 기억하고 있다.
 
현리전투 생존자인 정병석(76)씨는 지난해 8월 <연합뉴스>와 한 인터뷰에서 "당시 지휘부가 연락기로 탈출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아군의 사기는 바닥으로 떨어졌다"면서 "전황이 급박하다보니 박격포 등 중화기는 방태산 바위 밑에 숨긴 채 몸만 빠져나왔다"고 말했다.
 
당시 3사단 23연대 1대대 4중대 소속 상등병으로 이 전투에 참가한 박한진(83)씨도 "지휘부가 먼저 도주하자 지휘체계를 잃은 병력은 중대, 소대 단위에서 10명 규모로 뿔뿔히 흩어졌고 소총을 버린 병사도 부지기수였다"면서 "일부 장교들은 수치스럽게도 계급장을 떼고 달아났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악전 고투속에 낙오된 국군 상당수는 중공군의 추격으로 희생됐거나 포로로 잡혀 북한군으로 전선에 재투입돼 아군에게 총부리를 겨누는 비극을 겪었다"고 말했다. 그는 "배고픔과 탈진으로 죽어간 전우도 태반이었다"고 참혹했던 상황을 설명했다.
 
당시 전투에 참가했다 포로로 잡혀 북한에 끌려갔다가 갖은 고생을 하다 1994년 탈북했던 귀환 국군포로 1호인 조창호 소위는 유재흥 장군과 면담을 추진했으나 2006년 사망할 때까지 거부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나흘간 70㎞를 도망친 3군단 병력은 5월19일 오후 중공군의 포위망을 벗어나 평창 하진부에서 겨우 수습됐다. 집결병력은 3사단 34%, 9사단 40%에 불과했다.
 
■ 중공군 1개 중대에 퇴로 뚫려…귀환 1호 조창호 끝내 면담거부
 
 역사상 최악의 참패로 기록된 치욕의 현리전투는 1951년 5월16일 오후 4시에 시작됐다. 당시 오미재 방어선은 인제군 기리면과 상남면 31번 국도에 있는 완만한 고갯길로 인제 현리, 홍천, 정선을 이어주는 관문이자 3군단 유일의 후방 보급로 및 주요 거점이었다. 그러나 전략적 요충지 오미재에 대한 아군의 방책은 허술했고 공세 하루만인 5월17일 중공군 1개 중대에 의해 오미재는 탈취됐다. 그러나 이는 국군 3군단 해체의 전주곡에 불과했다. 오미재를 빼앗긴 3군단은 퇴로를 열고자 예하 3, 9사단에서 각각 1개 연대를 투입해 재탈환에 나섰지만 오히려 적에게 포위당했다. 퇴로가 끊겼다는 공포감에 사로잡힌 3군단 병력은 5월17일 오후 날이 어두워지면서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1436m의 험준한 방태산으로 철수하기 시작했다.
 
유재흥 장군은 현리 전투 참패와 작전중 도주행위에 대해 1994년 나온 자서전 <유재흥 회고록-격동의 세월>(을유문화사)에서 자성의 태도를 일부 보였으나 어쩔 수 없는 일이라는 식으로 자기합리화 태도를 보였다.
 
그는 회고록에서 "주보급상의 요충지인 오미재 고개가 미 제10군단 지역이라는 이유 때문에 사전 병력 배치를 거부당했을 때, 차선의 예비책인 우리 군단 내에서 오미재 고개에 가장 가까운 곳에 부대를 배치해놓은 방안을 강구하지 못한 것이 작전실패의 원인"이라며 "미 제10군단과 철수(후퇴) 방향에 대한 협조 부족으로 양 군단 사이에 넓은 간격이 발생하여 적 진격을 용이하게 한 것을 자성한다"고 언급했다. 특히 "솔직히 말해 그때만 해도 겨우 하룻밤 사이에 군 전선을 뚫고 30㎞(도상거리)나 되는 원거리를 주파하리라고는 예상치 못했으며, 적의 유격전술을 좀 이해하지 못한 것을 자책하고 있다"며 중공군의 전력 대비에 소홀했음을 인정했다.
 
그러나 그는 작전중 도주한 것에 대해서는 "후일 나는 현리에 남아 직접 양 사단을 지휘했더라면 이런 사태까지는 이르지 않았을 것이 아닌가고 자성해보기도 했다"면서도 "그러나 대대 내지는 연대 공격 목표에 불과한 오마치(오미재) 고개 하나를 놓고 사단장, 군단장 등 별 셋이 달라붙어 지휘할 필요가 있겠는가 하는 생각이었다"고 변명을 했다.
 
그는 이어 "더욱이 1개 대대의 예비대도 수중에 없는 군단장인 나로서는 도리어 (작전에) 방해가 될 것이라는 생각과 최 사단장(최석 9사단장)의 장담을 믿고 돌아가기로 했던 것"이라며 사단장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그는 최 사단장에 대해 "부임 전 실전보다 행정에 능통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행정병과에서 하루아침에 실전 지휘관이 되면 사태 처리에 한계를 드러내기 마련이다"라고 깎아내렸다.
 
3군단의 전력손실 규모에 대해 중국 쪽이 '2만3천명 섬멸'을 주장하고 있으나 그는 "총병력 2만2천명 가운데 4천명의 사상 및 행방불명을 냈으며, 행방불명자의 대부분인 약 3천명은 후에 부대에 복귀했다"고 기술했다.
 
■ "당신의 군단은 어디있소" "모르겠다"
 
현리전투에서 참패한 3군단은 미 제8사령관 밴 플리트 장군에 의해 그해 5월26일 전격 해체됐다. 또 1군단 지휘권도 미 8군이 직접 통제하는 등 작전 통제권이 미군으로 넘겨지는 계기가 됐다. 당시 3군단 해체 과정에서 벤 플리트과 유재흥 장군과의 대화는 유명한 일화로 남아있어 지금도 군안팎에서는 회자되고 있다.
 
밴 플리트는 "유 장군, 당신의 군단은 지금 어디있소?"하자 유재흥 장군은 "모르겠다"고 대답했다고 한다. 이에 밴 플리트는 "당신의 예하 사단은 어디 있소? 모든 포와 수송장비를 상실했단 말이오?"라고 힐문하자 "그런 것 같습니다"라고 답했다. 이에 밴 플리트는 "당신의 군단을 해체하겠소. 다른 보직이나 알아보시오!"라고 말했다.
 
■ 전작권 빼앗긴 주인공, 승승장구에 작전권 환수 반대 선봉
 
유 장군으로서는 이전에 자신이 맡고 있던 2군단 전멸에 이어 두번째 군단 해체라는 치욕을 겪었으나 아무런 징계나 처벌을 받지 않았으며, 오히려 승승장구한다. 2군단장 시절 유 장군은 1950년 11월 연합군이 인천상륙작전의 여세를 몰아 북진을 거듭하던 중 중공군에 포위공격당해 괴멸상태를 당해 후퇴한 끝에 군단 해체라는 치욕을 맛본 바 있다.
 
1957년 합동참모본부 의장을 지낸 뒤 4·19 혁명으로 이승만 대통령 하야 이후 정군대상으로 지목돼 육군중장으로 예편했지만 5·16 군사 쿠데타 성공 귀 박정희 정권에 의해 다시 등용돼 타이 스웨덴 이탈리아 대사 및 대통령 특별보좌관, 국방부 장관 등을 지냈다. 퇴임 뒤에도 정부 산하 기관의 요직을 지냈다. 1974년 대한석유공사 사장, 1978년 석유화학공업협회 회장, 1991년 성우회 회장을 지냈으며 노무현 정부 때는 작전권 반환 반대 운동에 앞장서기도 했다.
 
유재흥 장군의 일본육사 3년 후배(57기)인 박정희 대통령은 현리전투 참패와 도주행위에 대해 당시 사단장의 무능함을 지적하면서 "전투준비도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다"면서 별다른 문제를 삼지 않았다는 식으로 유 장군은 자신의 자서전에서 기록했다. 친일파 장교에서 해방 뒤 한국군 장교로 변신해 미군에게 작전권을 빼앗기는 빌미를 제공한 인물이 군에 있을 때나 군문 밖에서나 영전을 거듭하는 현실은 대한민국의 왜곡된 현대사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유재흥(劉載興, 1921년 8월 3일~2011년 11월 26일[1]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다.
 
대표적인 친일파 정치군인. 일본군 장교로 활동중 815 광복에 이은 미군정 당시 제도권 안에 있던 행정, 군사인력들을 그대로 차용하려는 미군정의 정책에 힘입어 대한민국 국군 장교로 활용되었다. 한국전쟁 당시 계속되는 패전과 도주로 많은 물의를 일으켰으나 역대 정권에서 계속 승승장구하였다.
[편집] 생애
일본군 장교였던 유승렬의 아들로, 일본 나고야에서 태어나 다섯살 때 조선으로 돌아왔다.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제55기로 졸업하였고, 태평양 전쟁 종전 당시에는 일본군 육군 대위로 근무하고 있었다.
 
미군정 시기에 군사영어학교를 거쳐 대한민국 국군 장교가 되었다. 제4여단장, 육군사관학교 부교장 등을 지냈고, 1949년 제주도지구 전투사령관에 임명되어 제주 4·3 사건때 민간인 학살을 명령 또는 관여하였다.
 
한국전쟁이 발발했을 때는 제7사단장으로서 참전하여 의정부 축선을 책임지고 있었으나 북한군에 패전을 거듭하여 덕정-의정부-창동으로 축차 철수를 되풀이하였으며, 결과적으로 7사단은 붕괴 괴멸되고 서울이 함락당하게 되었다.
 
그후 1950년 7월 경북 함창에서 제2군단이 창설될 때 제2군단장으로 임명되었다. 중국군 참전 이후 벌어진 덕천 전투에서 지휘 실수로 중국군 38군과 42군에 포위를 허용하여 제2군단이 전멸되어 해체케 하였으며, 현리 전투에서도 제3군단을 해체케하는 등 한국전쟁에서 지휘한 전투마다 패전하였다.
 
현리전투는 1951년 5월 중공군의 5월공세 당시 오마치 고개가 중공군에게 점령당하여 지휘하던 3군단이 포위됐을 때 벌어진 전투로, 유재흥은 부군단장을 대리로 지정한 후 군단을 버리고 항공기편으로 도주하였다. "작전회의에 참석하기 위하여 갔다"라고 항변하였지만 당시 참모총장이었던 백선엽 장군의 저서 '밴 플리트 장군과 한국군' 의 136페이지에는 "이 때 유재흥은 작전회의에조차 참석하지 않았다."고 분명히 명시했다.
 
이 도주행각으로 3군단은 지휘통제가 불가능한 와해 상황이 되었으며, 사단장들을 비롯한 모든 지휘관들이 지휘를 포기하고 계급장을 제거한 후 살기위해 무질서한 도피를 시작했다. 결국 현리에서 중공군과 북한군에게 포위섬멸당하며 3군단은 해체되었다.
 
이 사건은 미군 지휘관들이 한국군 장교의 작전지휘능력을 철저하게 불신하게 된 계기였다. 당시 밴 플리트 미8군사령관은 국군의 1군단을 제외한 모든 군단 사령부를 해체하고 일체의 작전지휘권을 미군 장성들에게만 부여하였다. 1군단 또한 육군본부를 지휘선상에서 제외하고 미군 사령부에서 직접적인 지휘를 받도록 하여서, 이 시점부터 모든 한국군의 작전지휘권이 상실되었다.
 
제2군단장으로 낙동강 방어전에서 일어난 영천 탈환전과 이후 한국전쟁 후반부의 수도 고지 전투의 공로가 있다는 주장이 있으나 전술, 지휘 능력의 결과가 아니라 UN군에 패퇴한 북한군의 전술적 퇴각에 따른 부수적인 결과인 것으로 인용되고 있다. 일본에서 자랐기 때문에 한국어가 서툴러 군에 명령을 하달할 때 "돌아가라"를 "또라가라"고 할 정도였다고 한다.[2] 그는 1951년 7월 시작된 정전회담 당시 남한 옵서버로 참관했으나 부친 유승렬 대좌에 의해 어릴 때부터 일본 군인 교육을 받아 우리말을 알아듣지 못했다.[3]
 
4·19 혁명으로 이승만이 하야한 뒤 정군 대상으로 지목되어 육군 중장으로 예편하였지만 5·16 군사 정변이 성공한 뒤 박정희 정권의 제3공화국에서 등용되어 타이, 스웨덴, 이탈리아 대사 및 대통령 특별보좌관, 국방부장관 등을 지냈다. 주 태국 대사로 있던 1962년 9월, 친선사절단으로 버마를 방문하였다. [4]퇴임 후에는 1974년부터 대한석유공사 사장으로 6년간 재직했다.
 
한국전쟁 시 잘못된 상황판단으로 본인 지휘하의 1개 사단과 2개 군단이 패주 후 해체되는 결과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전공으로 1951년에 받은 태극무공훈장을 비롯하여, 수교훈장 등 여러 차례 훈장을 받았다. 1990년대에 전직 장성 모임인 성우회의 부회장과 회장을 지냈으며, 전시 작전통제권 회수 등의 국방 관련 현안에 대해 친미 성향의 보수 세력과 정치적인 행보를 같이 하여 대한민국 국군의 작전통제권을 미군에게 일임하자는 운동에서 큰 역할을 하였다. 계속되는 패전과 무단도주로 작전통제권이 미군으로 넘어간 단초를 제공한 인물이였지만, 1990년대 이후 작전통제권 반환 움직임에 결사 반대해 많은 비아냥을 사기도 하였다.
 
노무현 대통령이 '별 달고 거들먹거리기만 했다'라고 발언한 것 때문에 예비역 장성들이 발끈했던 일이 있는데, 다른 사람은 몰라도 유재흥은 발끈할 자격이 없다고 한다. 현리전투 당시 중공군의 포로가 되어 북한에 억류되었다가 1994년 탈출한 조창호 소위가 유재흥과의 면담을 원하였으나 조 소위가 2006년 사망할 때까지 일체의 만남을 거부하였다. 경북 경산 하양초등학교에는 유재흥 장군 전승기념비가 있다. [5]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군 부문에 아버지 유승렬과 함께 선정되었다. 2011년 11월 26일 숙환으로 사망하였다.
 
 
출처 : 사주명리 - cafe.daum.net/sajusajucom




   

게시물 1,890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명리학(命理學)의 기원과 발달과정 을일생 10-03 30871
 <창작사주이야기19> 천을귀인(天乙貴人) Mr.대산 10-02 29099
 <창작사주이야기17> 귀문관살(鬼門關殺) … Mr.대산 10-02 30631
 김영삼 전대통령 사주팔자 풀이 초인 10-02 28021
 정주영 전현대그룹회장 사주팔자 풀이 초인 10-02 28469
 부활 김태원 사주 Mr.대산 10-02 28202
 성문영어 저자 송성문 사주 Mr.대산 10-03 29607
1800  가수 성인규 사주 Mr.대산 10-03 1737
1799  용신법의 정의 을일생 10-03 2031
1798  홍콩 영화배우 진가환 사주 Mr.대산 10-03 1606
1797  군인 유재흥 사주 Mr.대산 10-03 1513
1796  영화배우 탐 크루즈 사주 Mr.대산 10-03 1991
1795  야구선수 이와쿠마 히사시 사주 Mr.대산 10-03 1518
1794  육신(六神) 통변시 참고사항 을일생 10-03 1593
1793  전 축구선수 소크라테스 사주 Mr.대산 10-03 1851
1792  첫 여성 치안감 이금형 사주 Mr.대산 10-03 1962
1791  농구선수 크리스 험프리스 사주 Mr.대산 10-03 1718
1790  팬택 대표이사 부회장 박병업 사주 Mr.대산 10-03 1805
1789  영화배우 윌 스미스 사주 Mr.대산 10-03 1952
1788  재다신약 을일생 10-03 1881
1787  천간(天干) 통변(通辯)시 참고 사항 을일생 10-03 1638
1786  영화배우(윌 스미스 아내) 제이다 핀켓 스미… Mr.대산 10-03 1576
 1  2  3  4  5  6  7  8  9  10    
회원자료공유방
문의/상담 02-569-9194
               평일 오전 10시~오후7시,
               토요일 오전 10시~오후 4시
계좌번호 국민 097-21-0310-100 (임정환)


04-29 임병* (男) 택일
04-27 이경* (男) 궁합
04-25 김주* (男) 사주
04-23 이명* (女) 사주
04-22 강연* (女) 사주
04-20 박성* (男) 택일
04-18 이상* (男) 궁합
04-16 이유* (女) 사주
04-16 이유* (女) 사주
04-15 강상* (女) 택일
상담후기
상담후기 적극추천
박진우 | 조회수 : 2462
도서 구입 (1) 적극추천
한지민 | 조회수 : 237044
우리들의 얼굴 적극추천
이성민 | 조회수 : 17519
안녕하세요 적극추천
김수향 | 조회수 : 7530
감사합니다 적극추천
김지은 | 조회수 : 9558
+
계보의 중요성 한국역학의 계보
자강 이석영 선생(1920-1983)
1920년 평안북도 삭주 출생
청주대 법대 졸업
사주첩경의 저자
한국역학교육학원의 창립자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벽천 김석환 선생(1933-2016)
1933년 출생
중앙대 법대 졸업
故 자강 이석영선생님의 계승자
한국역학교육학원 원장
한국역학인총회 총재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원제 임정환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졸업
벽천 김석환 선생 사사
한국역학교육학원 강사역임
MBC 문화센터 강사 역임
한국역학인총회 사무총장
前 동방대학원 박사과정 교수
기억에 남는 상담 에피소드
역학인, 그 거짓과 진실 [293271] (4)
사주를 상담하여 줄 수는 있으나 교훈은 줄 수 없는 경우 [285285] (2)
사이비 역술인의 폐해 [200604]
사주를 무조건 부정하던 경우 [287881] (1)
사주를 보면서 해줄 말이 없는 경우 [294321] (2)
사주가 맞지 않는 경우들 [289848] (2)
아들의 외고합격 [304103] (2)
젊은 여성의 임신 [243611] (1)
재벌 회장의 사주 [299249] (2)
유명가수의 사주 [294236] (1)
보험설계사 [30534]
이혼상담(마인드가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 [320686] (4)
결혼(역학을 배우면 운명이 바뀐다.) [310487] (4)
저서

제대로보는
야학노인점복전서
전2권 세트


제대로보는
적천수천미
전4권 세트


제대로보는
명리약언
전1권


제대로보는
궁통보감
전2권


제대로보는
자평진전
전2권

동영상강의

사주초급반

사주중급반

사주전문가반

육효반

신수작괘반

성명학반
잘못 알고있는 역학상식
찾아오시는 길

select sum(IF(mb_id<>'',1,0)) as mb_cnt, count(*) as total_cnt from g4_login where mb_id <> 'admin'

145 : Table './wonje2017/g4_login' is marked as crashed and should be repaired

error file : /bbs/board.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