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회원가입 | 마이페이지 |  0점 |  0원 | 즐겨찾기 
공지
원제역학연구원 홈페이지 오픈 (10)

06.01 (토)

가입인사
close
HOME > 회원자료공유 > 기타자료방

본 게시판은 회원이 직접 올린 회원간 정보를 공유하는 게시판입니다. 저작권에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자료는 가급적이면 올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저작권 보호요청 : 회원이 올린 게시글 중 저작권에 위배되는 게시글이 있을 경우 연락주시면 확인 후 삭제조치 하겠습니다.

출장안마,출장마사지,바나나출장안마이미지
게시물 2,382건
   
격국(格局)
바른마음 2017-10-06 (금) 17:16 조회 : 1429

 
■ 격국(格局)   
자평진전 제18장의 내용이 기초가 된다
☞ ‘난강망’ 본문을 무리 없이 해독해나가려면 ‘격국(格局) 성패’에 대한 기초적 
지식이 확고해야만 한다. 아래 ‘격국용신론 100항’은 ‘자평진전리뷰’의 
‘논용신(論用神)’ 편 주요 내용을 정제한 기본 지식을 점검한다. 
 
 
八字命理第一集團 李修門派
 
子 (자) 平 (평) 眞 (진) 詮 (전) ‘ 論 (논) 用 (용) 神 (신) ’ 講 (강) 讀 (독) [百項]

1. 팔자의 용신은 오직 월령에서 구한다. 
八 (팔) 字 (자) 用 (용) 神 (신) ,  專 (전) 求 (구) 月 (월) 令 (령)
2. 월지가 재관인식(財官印食:재성, 정관, 정인, 식신)이면 길한 용신이니 이를 
순용(順用:상생)하고, 월지가 살상겁인(殺傷劫刃:칠살, 상관, 겁재, 양인)이면 좋지 않은 
용신이니 이를 역용(逆用:극설)하여야 한다. 
財(재) 官(관) 印(인) 食(식) , 此(차) 用(용) 神(신) 之(지) 善(선) 而(이) 順(순) 用(용) 
之(지) 者(자) 也(야) ; 煞(살) 傷(상) 劫(겁) 印(인) 用(용) 神(신) 之(지) 不(불) 善(선) 而(이) 
逆(역) 用(용) 之(지) 者(자) 也(야)

순용(順用)
3. 좋은 것을 순용한다는 것은 가령 재성이 식신의 상생을 기뻐하는 것, 정관이 재성을 
보호하는 것, 재성이 투출하여 정관을 생해주는 것, 인성을 생하여 정관을 보호하는 것, 
인성이 관살의 상생을 기뻐하는 것, 겁재가 인성을 보호하는 것, 신왕하여 식신이 설기하는 것, 재성으로 식신이 보호되는 것을 의미한다.
 
是(시) 以(이) 善(선) 而(이) 順(순) 用(용) 之(지), 則(칙) 財(재) 喜(희) 食(식) 神(신) 
以(이) 相(상) 生(생) , 生(생) 官(관) 以(이) 護(호) 財(재) ; 
官(관) 喜(희) 透(투) 財(재) 以(이) 相(상) 生(생), 生(생) 印(인) 以(이) 護(호) 官(관) ; 
印(인) 喜(희) 官(관) 煞(살) 以(이) 相(상) 生(생), 劫(겁) 財(재) 以(이) 護(호) 印(인) ; 
食(식) 喜(희) 身(신) 旺(왕) 以(이) 相(상) 生(생) ,生(생) 財(재) 以(이) 護(호) 食(식)

역용(逆用)
4. 좋지 않은 것을 역용한다는 것은 칠살을 식신으로 제압하는 것으로 이때 재성이나 인성이 있어 칠살을 생하거나 보호하는 구조를 기피한다. 상관을 인수로 제복하는 것, 상관이 재를 생하여 상관의 기가 재로 화하는 것, 양인을 관살이 제복하는 것으로 이때는 관살이 없으면 좋지 않다. 월겁을 정관이 투출하여 제복하는 것, 재성을 쓸 때 식신이 투출하여 겁재의 
기운을 화하는 것 등을 의미한다.
 
不(불) 善(선) 而(이) 逆(역) 用(용) 之(지), 則(칙) 七(칠) 煞(살) 喜(희) 食(식) 神(신) 
以(이) 制(제) 伏(복), 忌(기) 財(재) 印(인) 以(이) 資(자) 扶(부) ;
傷(상) 官(관) 喜(희) 佩(패) 印(인) 以(이) 制(제) 伏(복), 生(생) 財(재) 以(이) 化(화) 傷(상); 
陽(양) 刃(인) 喜(희) 官(관) 殺(살) 以(이) 制(제) 伏(복), 忌(기) 官(관) 煞(살) 之(지) 俱(구) 無(무);
 
月(월) 劫(겁) 喜(희) 透(투) 官(관) 以(이) 制(제) 伏(복), 利(이) 用(용) 財(재) 而(이) 
透(투) 食(식) 以(이) 化(화) 劫(겁)

5. 오늘날 인사들이 제강(提綱)만이 주체가 되고, 연후에 사주 간지의 팔자를 모조리 월령에 귀속시켜 희기를 가려야 한다는 원칙을 모른다. 하물며 ‘정관패인(正官佩印)’과 
‘인수용관(印綬用官)’의 차이를 모르고 무턱대고 ‘관인쌍전(官印雙全)’이라 한다. 
또 ‘재투식신(財透食神)’과 식신생재‘(食神生財)’의 차이를 모르고 무턱대고 식신생재라고 
한다. 또 ‘편인투식(偏印透食)’이면 설신(洩身)의 수(秀)가 되어 좋은 것인데, 
이것을 ‘식신봉효(食神逢梟)’와 동일시하니, ‘효신탈식(梟神奪食)’으로 재성으로 편인을 
극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식신이 칠살을 제압하는데 인성이 투출하면 ‘거식호살(去食護殺)’이 되어 식신이 극을 당하여 나쁜 것인데, 이를 ‘살인상생(殺印相生)’이라고 부르면서 
‘인수봉살(印綬逢殺)’과 동일하게 보는 오류를 범한다. 더욱 가소로운 것은 
‘살격봉인(殺格逢刃)’이면 양인이 일간을 도와 칠살에 대항하는 이로운 것인데도, 
‘양인로살(陽刃露殺)’과 동일하게 취급한다. 이상의 오류는 모두 월령을 무시하고 망령되이
 용신을 취한 까닭에 생긴 것이다.
※ 가령 ‘편인투식’은 편인격에 식신을 용하는 것으로 격국이 성격된 것이고, 
‘식신봉효’는 식신격을 편인(효신)이 상하게 하는 것으로 격국이 파격된 것이니 월령이
 주체가 되어 격국의 성패를 판단하는 것을 강조하는 내용

6. 월령에 용신이 없는 경우가 있다. 가령 甲乙 일간이 寅卯월에 생하여 일간과 월령이 
동일한 오행이라면 일간과 같은 오행을 용신(격국)으로 삼지 않으므로, 사주에 재성, 관살, 
식상 등이 천간에 투출하였거나, 지지에서 회국(會局)을 이루었다면 그것으로 용신으로 취한다. 
아무튼 월령을 위주로 용신을 찾고, 월령에 용신이 없으면 비로소 다른 곳에서 용신을 찾아야 하는 것이다. 즉, 건록격과 월겁격은 용신이 아닌 것으로 용신을 삼는다.
日(일) 與(여) 月(월) 同(동) , 本(본) 身(신) 不(불) 可(가) 爲(위) 用(용) , 必(필) 看(간) 
四(사) 柱(주) 有(유) 無(무) 財(재) 官(관) 煞(살) 食(식) 透(투) 干(간) 會(회) 支(지), 
別(별) 取(취) 用(용) 神(신) 
建(건) 祿(록) 月(월) 劫(겁) 之(지) 格(격), 非(비) 用(용) 而(이) 卽(즉) 用(용) 神(신) 也(야)
 
성격(成格)
7.정관이 재와 인수를 보면서 형충파해가 없으면 정관격이 성격되었다고 한다.
官(관) 逢(봉) 財(재) 印(인), 又(우) 無(무) 刑(형) 衝(충) 破(파) 害(해), 官(관) 格(격) 成(성) 也(야)

8. 월령이 재성인데, 재왕생관이 되거나, 혹은 식신이 재를 생하면서 신강하고 비견이 있거나, 혹은 인수가 투출하여 그 위치가 적절하여 재와 인수가 서로 극하지 않으면 재격이 성격이 된다.
 
財(재) 生(생) 官(관) 旺(왕), 或(혹) 財(재) 逢(봉) 食(식) 生(생) 而(이) 身(신) 强(강) 帶(대) 比(비), 
或(혹) 財(재) 格(격) 透(투) 印(인) 而(이) 位(위) 置(치) 妥(타) 貼(첩), 兩(양) 不(불) 相(상) 剋(극), 
財(재) 格(격) 成(성) 也(야)

9. 월령이 인수일 때, 인수가 경(輕)한데 칠살이 있어서 약한 인수를 생조하거나, 혹은 
관인쌍전(官印雙全)하거나, 혹은 신인양왕(身印兩旺)한데 식상을 써서 설기하거나, 혹은 인수가 
많은데 재가 천간에 투출하고 재의 뿌리가 약한 것 등은 모두 인격이 성격이 된 것이다.
印(인) 輕(경) 逢(봉) 煞(살), 或(혹) 官(관) 印(인) 雙(쌍) 全(전), 或(혹) 身(신) 印(인) 
兩(량) 旺(왕) 而(이) 用(용) 食(식) 傷(상) 泄(설) 氣(기), 
或(혹) 印(인) 多(다) 逢(봉) 財(재) 而(이) 財(재) 透(투) 根(근) 輕(경),  
印(인) 格(격) 成(성) 也(야)

10. 월령이 식신인데, 식신생재가 되거나, 혹은 식신과 칠살이 있고 재가 없거나 식신을 버리고 칠살을 취해야 할 경우에 인수가 투출한 것 등은 모두 식신격이 성격이 된 것이다.
食(식) 神(신) 生(생) 財(재), 或(혹) 食(식) 帶(대) 煞(살) 而(이) 無(무) 財(재), 棄(기) 食(식) 就(취) 煞(살) 而(이) 透(투) 印(인), 食(식) 格(격) 成(성) 也(야)

11. 월령이 칠살인데 식신이 칠살을 제복하면 살격이 성격이 된 것이다.
身(신) 强(강) 七(칠) 煞(살) 逢(봉) 制(제), 煞(살) 格(격) 成(성) 也(야)

12. 월령이 상관인데 재가 있거나, 혹은 상관이 왕성한데 상관패인이 되면서 인수가 
지지에 통근한 것, 혹은 상관이 왕하고 신약한데 칠살과 인수가 동시에 투출한 것, 
혹은 상관격에 칠살만 있고 재가 없는 것은 상관격이 성격이 된 것이다.
傷(상) 官(관) 生(생) 財(재), 或(혹) 傷(상) 官(관) 佩(패) 印(인) 而(이) 傷(상) 官(관) 旺(왕),印(인) 有(유) 根(근), 或(혹) 傷(상) 官(관) 旺(왕) 身(신) 主(주) 弱(약) 而(이) 透(투) 煞(살) 印(인),或(혹) 傷(상) 官(관) 帶(대) 煞(살) 而(이) 無(무) 財(재), 傷(상) 官(관) 格(격) 成(성) 也(야)

13. 양인격(陽刃格)에 관살이 투출하고 재와 인수가 드러나 있으면서 상관이 없으면 양인격이 성격이 된 것이다. 
 
陽(양) 刃(인) 透(투) 官(관) 煞(살) 而(이) 露(노) 財(재) 印(인), 不(불) 見(견) 傷(상) 官(관), 陽(양) 刃(인) 格(격) 成(성) 也(야)
 
14. 건록, 월겁격은 관성이 투출하고 재와 인수가 있는 것, 재가 투출하고 식상이 있는 것, 
칠살이 투출하고 제복된 것 등은 모두 건록격(建祿格)과 월겁격(月劫格)이 성격이 된 것이다.
 
建(건) 祿(록) 月(월) 劫(겁), 透(투) 官(관) 而(이) 逢(봉) 財(재) 印(인), 透(투) 財(재) 而(이) 逢(봉) 食(식) 傷(상), 透(투) 煞(살) 而(이) 遇(우) 制(제) 伏(복), 建(건) 祿(록) 月(월) 劫(겁) 之(지) 格(격) 成(성) 也(야)
 
 
 
 
 
출처 : 명리역학 - duckjiny.blog.me




   

게시물 2,382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872
전양자씨를 구원파에 전도 했다고 하는 윤소정씨 사주이다 ​ 이렇게 구원파의 뿌리가 깊은지 ... 참 대단…
ㅁㅎㅌ 10-06 1461
1871
  한때의 고생이 훗날 좋은 밑거름이 된다   인고의 시기를 거쳐 이제는 한참 꽃을 피우고 있는 김…
ㅁㅎㅌ 10-06 1301
1870
  대단한 여사장 나셨다 ​ 전 탈렌트 김준희의 사주이다 ​ 연매출 100억이면 한달에 8억정도.. 하루…
ㅁㅎㅌ 10-06 1876
1869
  ■ 격국(格局)    자평진전 제18장의 내용이 기초가 된다 ☞ ‘난강망’ 본문을 무리 …
바른마음 10-06 1430
1868
임자 (제왕) 속전속결형 박학다식하고 대중적이며 여행을 좋아한다. 고향보다는 타향이나 타국에서 …
바른마음 10-06 3996
1867
  용신과 육친 97. 사람에게는 육친(六親)이 있는데, 이것도 팔자에 정해진 것이다. 人 (인) 有 (유) 六 (육)…
바른마음 10-06 1262
1866
사람이 나이를 먹으면 선해지고 죽음에 임하면서 그간의 잘못을 뉘우친다고 한다 ​ 그런데 그러지 못하…
ㅁㅎㅌ 10-06 2582
1865
주역(周易)의 시간관(時間觀)   靑皐 李應文 머리말   동양철학의 최대경전이자 인류최고의 지침…
바른마음 10-06 2321
1864
다정유순형 갑자 기묘 임오 정유 을묘 실리추구형 을축 갑술 계미 임진 병진 민첩명랑형 병…
바른마음 10-06 4563
1863
  성중유패(成中有敗), 대기(帶忌) 23. 성중유패(成中有敗:성격이 파격으로 귀결됨)는 필시 꺼리는 성분이 곁…
바른마음 10-06 1386
1862
격국과 용신 자평 명리학의 근본은 천간과 지지의 음양이 조화되고, 일간과 용신의 왕쇠강약의 형평과 오행의 생…
바른마음 10-06 1617
1861
  성득패의(成得敗矣) 52. 팔자의 변화는 하나가 아니다. 성격과 파격으로 나눠지나 성격과 파격의 변화를 헤…
바른마음 10-06 1591
1860
  패중유성(敗中有成), 구응(救應) 31. 정관이 상관을 만났는데 인수가 있어 상관을 제압하는 것, 관살이 섞…
바른마음 10-06 1756
1859
사주 핵심 비결 관성이 용신일 때는 손상되면 안 되지만,용신 삼지 않을 적엔 완전히 극해야 한다.재성이 용…
바른마음 10-06 1554
1858
<육십갑자 정리> 甲木 강한 성장력의 상징 표면(비견):라이벌 의식 내면(편재) : 물질적이지 못함…
바른마음 10-06 1823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회원자료공유방
문의/상담 02-569-9194
               평일 오전 10시~오후7시,
               토요일 오전 10시~오후 4시
계좌번호 국민 097-21-0310-100 (임정환)


06-01 송민* (男) 궁합
05-31 송영* (男) 사주
05-31 오현* (女) 사주
05-29 조강* (男) 사주
05-29 강감* (男) 궁합
05-27 송영* (女) 택일
05-27 나성* (男) 택일
05-26 서수* (女) 사주
05-25 이명* (男) 사주
05-24 권미* (女) 궁합
상담후기
상담후기 적극추천
박진우 | 조회수 : 2659
도서 구입 (1) 적극추천
한지민 | 조회수 : 246262
우리들의 얼굴 적극추천
이성민 | 조회수 : 18133
안녕하세요 적극추천
김수향 | 조회수 : 7715
감사합니다 적극추천
김지은 | 조회수 : 9902
+
계보의 중요성 한국역학의 계보
자강 이석영 선생(1920-1983)
1920년 평안북도 삭주 출생
청주대 법대 졸업
사주첩경의 저자
한국역학교육학원의 창립자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벽천 김석환 선생(1933-2016)
1933년 출생
중앙대 법대 졸업
故 자강 이석영선생님의 계승자
한국역학교육학원 원장
한국역학인총회 총재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원제 임정환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졸업
벽천 김석환 선생 사사
한국역학교육학원 강사역임
MBC 문화센터 강사 역임
한국역학인총회 사무총장
前 동방대학원 박사과정 교수
기억에 남는 상담 에피소드
역학인, 그 거짓과 진실 [301857] (4)
사주를 상담하여 줄 수는 있으나 교훈은 줄 수 없는 경우 [293639] (2)
사이비 역술인의 폐해 [204748]
사주를 무조건 부정하던 경우 [296505] (1)
사주를 보면서 해줄 말이 없는 경우 [302709] (2)
사주가 맞지 않는 경우들 [298497] (2)
아들의 외고합격 [312796] (2)
젊은 여성의 임신 [252335] (1)
재벌 회장의 사주 [308246] (2)
유명가수의 사주 [303412] (1)
보험설계사 [31389]
이혼상담(마인드가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 [329401] (4)
결혼(역학을 배우면 운명이 바뀐다.) [319199] (4)
저서

제대로보는
야학노인점복전서
전2권 세트


제대로보는
적천수천미
전4권 세트


제대로보는
명리약언
전1권


제대로보는
궁통보감
전2권


제대로보는
자평진전
전2권

동영상강의

사주초급반

사주중급반

사주전문가반

육효반

신수작괘반

성명학반
잘못 알고있는 역학상식
찾아오시는 길

select sum(IF(mb_id<>'',1,0)) as mb_cnt, count(*) as total_cnt from g4_login where mb_id <> 'admin'

145 : Table './wonje2017/g4_login' is marked as crashed and should be repaired

error file : /bbs/board.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