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우왕자 1912년 - 1945년
고종의 셋째 아들 의친왕 이강과 셋째 부인 수인당 김홍인의 아들
형 이건왕자가 일본에 순응하며 친일을 하는데 반해 동생인 이우왕자는 일본을 증오했다. 그래서 고종과 의친왕은 이우왕자를 매우 아꼈다.
이우가 서울에 있을 때 하루는 전라도 지방의 농부들이 이우에게 몰려와 일본군이 호남평야의 곡창지대에 작전도로를 내면서 땅을 가로채면서도 보상을 안 해 준다고 호소하였다.
이 말을 들은 이우는 즉시 용산의 일본군사령부로 갔다. 그리고 당시 도로건설을 담당하던 장군을 만나 공사를 취소하라고 요청하였다. 담당 장군은 일언지하에 거절하였고. 이에 이우는 즉시 권총을 빼어 장군의 머리에 겨누며,
"황족이며, 공작인 나는 너 하나 죽여도 감옥에 가지 않는다. 즉시 죽여주마."라고 소리쳤고 이 말에 일본 장군은 버로우탐. 즉시 농민의 청원은 이루어진다.
1929년에 일본육군사관학교에 들어가서 군인의 길을 걷고 일본군 정보 참모까지 올라간다.
일본인들을 싫어했기 때문에 학교에서도 매일 마찰이 생겼고 일본정부로부터 요주의 인물로 감시받게 됨. 그리고 정보 참모의 직위를 이용해서 독립군들에게 수집한 정보를 넘겨주는 등 독립군의 후원자로 활약함.
이우는 태원에서의 근무 3년 동안 독립운동을 준비한다. 육사동기 이형석 장군에게 보낸 편지에는 "일본군복을 입고 있는 것이 부끄럽다. 우리 군복을 입고 당당히 살 때까지 기다리라"고 전하기도 하였다.
이우의 독립운동은 워낙 비밀리에 이루어졌고, 그것이 알려지기도 전에 히로시마에서 갑자기 사망함으로써 남겨진 기록이 별로 없다. 오로지 주변 증언으로 종합하여 보면, 이우는 근무지 근처에서 태항산 유격대의 조직 확장에 은밀히 간여하였다.
이우는 정보참모로 있으면서 판세가 일본에 불리하다는 것이 판단되면 이 태항산의 유격대와 주변 백두산 근방의 독립군들, 일본군내의 한국 병사들과 연합하여 일본의 관동군과 전투를 벌일 계획을 하고 있었다고 한다.
만약 이 계획이 성공을 거두었다면, 대한은 우리의 힘으로 우리 황족을 중심으로 연합하여 당당히 일본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할 수도 있었을 만큼 실효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를 눈치 챈 일본이 이우를 교육 참모로 보직을 바꾸고, 히로시마에 발령을 내버렸다. 이에 이우는 이제껏 쌓아놓은 탑이 무너질까 걱정하여 운현궁으로 들어가 장장 6개월을 버티며 전출을 거부하였다.
전역을 신청하기도 하고, 한국에 배속시켜 달라는 청원도 하였으나 모두 거절당하자, 어린 아들 청에게 설사약을 먹여 병간호를 위해 늦게 간다고까지 하면서 히로시마로의 배속을 늦추고자 하였다. 그 사이 이우는 자신의 계획이 실패로 돌아갈 것을 생각하고 자신이 키워놓은 태항산 유격대를 상해 임시정부의 광복군에 편입시키고자 계속 태항산과 연락을 취하였다.
이때 이우의 동계급 부관이며, 일본정부가 임명한 감시원이었던 요시나리는 히로시마로 갈것을 설득하여 6개월만에 이우는 일본에 가게 된다. 요시나리는 애초에 이우를 감시하여 그의 일거수일투족을 상부에 보고하는 밀정의 임무에 충실하였지만, 후에 가서는 이우의 인품과 배포에 매료되어 이우의 사람이 된 군인이다. 그런 요시나리의 설득에 이우는 운현궁을 나서 일본으로 향하게 된다.
그런데 하필 히로시마에 첫 출근하게 된 날이 미국의 히로시마 원폭투하. 결국 이우왕자는 방사능에 피폭되어 병원으로 후송되고 호전될 것 같았는데 요시나리가 정밀 검사를 위해 일본에 요청해 도쿄병원으로 이송함. 이송 후 갑자기 병세가 악화 되서 돌아가셨다. 요시나리는 이 일이 자기 책임이다. 하고 할복해서 자살함,
출처 : 사주명리 - cafe.daum.net/sajusa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