河圖序次(하도서차)
1, 주자,채원정은 '역학계몽'에서,"河圖以生出之次言之 則始下次上 次左次右 以復於中 而又始於下也 以運行之次言之 則始東次南 次中 次西 次北 左旋一周 而又始於東也 其生數之在內者 則陽居下左 而陰居上右也 其成數之在外者 則陰居下左 而陽居上右也"(하도가 출생한 순서로 말한다면 아래에서 시작하여 위로, 그 다음 왼쪽에서 오른 쪽으로, 그러고 나서 가운데로 돌아가며 다시 아래에서 시작한다. 운행을 순서로 말한다면, 동쪽에서 시작하여 다음은 남쪽, 다음은 가운데, 다음은 서쪽, 다음은 북쪽이니 왼쪽으로 한 바퀴 돌아 다시 동쪽으로 시작한다. 하도의 생수가 안에 있다는 것은 곧 양은 아래와 왼쪽에 놓여 있고 음은 위와 오른쪽에 놓여 있다는 말이다. 하도의 성수가 밖에 있다는 것은 곧 음은 아래와 왼쪽에 놓여 있고 양은 위와 오른쪽에 놓여 있다는 말이다)라고 하도에서 출생과 운행의 순서를 설명한다.
2, 圖行(도행)
주자,채원정은 '역학계몽'에서,"天地之間 一氣而已 分而爲二 而五行造化 萬物始終無不管於是焉 故河圖之位 一與六共宗而居乎北 二與七爲朋而居乎南 三與八同道而居乎東 四與九爲友而居乎西 五與十相守而居乎中 蓋其所以爲數者 不過一陰一陽 一奇一耦 以兩其五行而已"(천지 사이에는 一氣가 있을 뿐이다. 나누어 두 개가 되니 곧 음양이다. 오행의 조화와 만물의 시종이 여기에 주관되지 않음이 없다. 그러므로 하도의 자리는 1과 6이 함께 바탕이 되어 북쪽에 있게 되고, 2와 7이 한 무리가 되어 남쪽에 있게 되며, 3과 8은 같은 길을 가며 동쪽에 있게 되고, 4와9는 벗이 되어 서쪽에 있게 되며, 5와 10은 서로 보살펴 가운데 있게 된다. 대개 그 수가 되는 것은 한 번의 음과 한 번의 양, 한 번의 홀수와 한 번의 짝수에 불과하니 음과 양, 홀수와 짝수 두 가지를 가지고 오행으로 했을 뿐이다)라고 氣의 數를 하도로 설명한다.
3, 상생氣
한동석은 '우주변화의 원리-五行의 相生'에서, "東方에 있는 3과 8은 甲乙木이니 甲을 3木이라고 하고 乙을 8木이라고 한다. 南方에 있는 7과 2는 丙丁火니 丙은 7이고 丁은 2이다. 中央에 있는 5와 10은 戊己土니 戊는 5요 己는 10이다. 西方에 있는 9와 4는 庚辛金이니 庚은 9요 辛은 4다. 北方에 있는 1과 6은 壬癸水니 壬은 1이고 癸는 6이다. 그런데 이것을 河圖에서 보면 동방에는 3木과 8木이 있고 남방에는 7火와 2火가 있고 중앙에는 5土와 10土가 있고 서방에는 9金과 4金이 있고 북방에는 1水와 6水가 있다. 河圖는 五行이 運動하는 法則을 계시한 것이므로 이것을 바탕으로 하여서 최초에 연구하기 시작한 것이 복희였던 것이다. 그런데 거기에서 복희는 方位와 相生에 대한 重要性을 알아내게 되었다. 다시 말하면 木은 東方의 氣에 의하여 生하고 火는 南方의 氣에 의하여 생하고 土는 中央의 氣에 의해 生하고 金은 西方의 氣에 의해서 生하고 水는 北方의 氣에 의해서 生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라고 설명한다.
4, 한장경은 ‘정역 수의 도상과 시운’에서, "북단이 一의 陽數가 되면 남단은 스스로 二의 陰數가 되는 것이오, 동단이 三의 陽數가 되면 서단은 스스로 四의 陰數가 되는 것이며 종선과 횡선이 있으면 반드시 양선이 교차하는 中央點이 있으니 이 點이 五가 되는 것이다"라고 역의 하도를 설명한다.
출처 : 하도서차(河圖序次) - cafe.daum.net/2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