舊書에서 말하기를 辰戌丑未月에 生하면 雜氣格이라 했는데 그 말은 天地의 不正의 氣가 四季墓庫중에 담겨있기 때문에 雜이라고 했다.
十干의 氣가 12 支에 分布되는 것은 모두 正氣지 어찌 辰戌丑未에 分布되었다 해서 유독 不正하단 말인가?
만약 소위 쌓여있다고 雜이라고한다면 寅巳도 各 三支씩 藏해 있는데 어찌 이것은 不雜한가?
항차 正氣는 반드시 사람에게 이롭고 雜된 不正의 氣는 반드시 사람을 손해케 하는데 어찌 이 損人하는 氣로 格을 취한단 말인가?
또 墓庫는 반드시 刑沖을 취해야 動 한다 하는데 戊가 辰戌에 있고 己가 丑未에 있으면 本氣가 用事하는 것이지 墓가 아니며 乙辛이 辰戌宮에 있거나 癸丁이 丑未에 있어도 본래 바름을 나눠가진 것이니 역시 墓가 아니다.
이와는 달리 辰中의 癸, 戌中의 丁, 丑중의 辛, 未중의 乙은 진짜 墓라 할 것이다.
고로 四月에 生하면서 辰戌 中의 戊를 用하고 丑未中의 己를 用한다면 다른 나머지 8 支중의 本氣를 用하는것과 같다.
예를들어 辰戌中의 癸丁, 丑未中의 辛乙을 用한다면 그 막히고 감춰지는 것을 염려하기 때문에 마땅히 透出됨을 求해야 하는데 天干에서 만약 透出함을 얻었다고 한다면 굳이 得力하기 위해 刑沖을 기다리지 않아도 될 것이며 透出되지 않았다면 비로소 刑沖을 논할 것이다.
그러나 墓神이 强旺하다면 刑을 만나면 動하고 沖을 만나면 發하여 庫가 열리게 되나 墓神이 衰弱할 때 刑을 만나면 敗하고 沖을 만나면 뽑혀 剋되어 넘어지게 된다.
또 日主나 六神이 水火에 屬하면서 辰戌月에 生하거나 金木에 屬하면서 丑未月에 生하면 그 入墓함을 두려워하니 刑沖이 마땅할 것이다. 그러나 반드시 本神의 强弱을 살펴야하니 强하면 墓에서 벗어나 나오기를 바라니 이롭고 疏通할 것이나 弱하면 반드시 墓에 의지해 存在해야 하나니 심히 破壞됨을 꺼린다. 이것이 開庫와 剋倒(극되어 넘어짐)의 차이다.
요는 모두 일괄해서 刑沖을 取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만약 土라면 본래 墓庫가 없으니 더 무슨말을 할것인가?
命理는 變更이 많으니 日主 六神이 지나치게 發揚하고 震動할때는 이 季庫를 이용해 수렴하고 제거해 그에 따르는 것이 마땅하다.
혹 말하기를「 季支에 감추인 것은 모두 庫中의 物이 된다고 傳해져 오니 오늘날 사람들이 論하기를 억지로 分別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나 나는 말하기를 예를들어 舊書의 말을 믿는다면 乙은 未에 墓가 될 뿐만 아니라 辰에도 墓가 될것이며 辛은 丑에만 특별히 墓가 될 뿐만 아니라 또 戌에도 墓가 될것이며 癸도 辰에만 유독 墓가 되는 것이 아니라 또 丑에도 墓가 되야하며 丁은 딱이 戌에만 墓가 되는 것이 아니라 未에도 墓가 되야 하고 戊도 辰에 墓가 되고 戌에도 墓가 되야 하며 己는 丑에도 墓가 되고 또 未에도 墓가 되야 할 것이며 木火金水도 각 하나씩 墓를 더하게 되야지 土에만 四墓가 한정되어 있는 것이 어찌 크게 기괴하지 않은가?
고로 生月이 辰戌丑未를 만나면 단지 寅申巳亥等의 支에 비춰서 일례로 취용해 먼저 土로 論한 후에 藏된 것을 언급해 用神이 墓神에 藏되었는지 혹 日主의 六神이 墓地가 되는지를 참작해서 刑沖여부를 따지는 것이 可하다.
출처 :해정 명리 학당
원문보기▶ 글쓴이 : 해정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