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몸이 무거우면 잠자기를 좋아한다 (p.663)황제가 “잠이 많은 것은 어떤 기가 그렇게 하는가?”라고 물었다. 기백이 “이러한 사람은 장위(腸胃)가 크고 피부가 습하고 분육(分肉)이 풀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장위가 크면 위기(衛氣)가 오랫동안 머무르게 되고, 피부가 습하면 분육이 풀리지 않아 위기가 더되게 돈다. 위기라는 것은 낮에는 양분(陽分)을 돌고 밤에는 음분(陰分)을 돈다. 양분을 다 돌면 잠을 자게 되고, 음분을 다 돌면 깨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장위가 크면 위기가 도는 데 오래 걸리고, 피부가 습하고 분육이 풀리지 않으면 그 도는 것이 더되게 된다. 음분에 오랫동안 머무르게 되면 그 기가 맑지 못하여 눈이 감기기 때문에 많이 자게 된다”라고 하였다(<영추>). ⊙ 간이 허하거나 신이 허하거나 비가 허하면 몸이 무겁고 답답해진다. 주석에서 “간이 허하면 비가 [간을] 두려워함이 적어져서 몸이 무겁고, 신이 허하면 비가 신을 억누르기 때문에 몸이 무겁다”고 하였다(<내경>). ⊙ 게으르고 눕기를 좋아하는 것은 비위(脾胃)에 습(濕)이 있기 때문이니, 평위산을 쓴다. 몸이 무거운 것은 습 때문이다(동원).
8. 사람을 싫어하고 혼자 있으려고 하는 것 (p.665)<내경>에서는 “족양명경의 맥이 뛰면 사람과 불을 싫어하는 병에 걸리며, 문과 창을 닫고 혼자 있으려고 한다. 소음경(少陰經)이 허하여도 역시 문과 창을 닫고 혼자 있으려고 한다”고 하였다. 또한 “양명경의 기가 거슬러 돌게 되면 숨이 차고 답답해지는데, 답답해지면 사람을 싫어한다”고 하였다. 왕빙은 주석에서 “완(
크게보기)이란 열이 속에 맺혀서 답답한 것을 말한다”고 하였다.
9. 잠자는 법 (p.667)잠을 잘 때는 옆으로 누워서 무릎을 구부리고 자는 것이 좋은데, 이렇게 하면 심기(心氣)를 도와준다. 깨어 있을 때는 몸을 펴고 있는 것이 좋은데, 이렇게 하면 정신이 산만하지 않다. 대개 몸을 반듯하게 뻗고 잠을 자면 헛것[나쁜 기운]을 불러들이게 된다. 공자가 죽은 사람처럼 똑바로 누워서 자지 않았다는 것이 이것을 말한 것이다(<활인심>). ⊙ 낮잠을 자면 안된다. 낮잠을 자면 기운이 빠진다. 또한 밤에 잘 때는 항상 입을 다물고 자야 하는데, 입을 벌리고 자면 기운이 빠지고 사기가 입으로 들어와 병이 생긴다. 무릎을 구부리고 옆으로 누워서 자는 것은 기력을 도와주는데, 바로 눕는 것보다 낫다. 공자는 죽은 사람처럼 똑바로 누워서 자지 않았는데, 그러므로 ‘잘 때는 움츠리기를 좋아하고 깨어 있을 때는 펴기를 좋아한다’고 하였다. 사람이 죽은 사람처럼 똑바로 누워서 자면 나쁜 병이 생기게 된다. 대개 사람은 하룻밤 자는 동안 다섯 차례 엎치락뒤치락하기 마련이다(<세의득효방>).
⊙ 밤에 편안하게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은 이불이 두꺼워 열이 막혔기 때문이다. 빨리 이불을 걷고 땀을 닦아준다. 이불이 얇아 추울 때는 이불을 더 덮어주어야 잠자는 것이 편안해진다. 배가 고파서 편안하게 잠을 자지 못하면 조금 먹고, 배가 불러서 편안하게 잠을 자지 못하면 차를 마시거나 조금 걷거나 앉아 있는 것이 좋다(동원).
⊙ 잠을 잘 때 등불을 켜놓으면 사람의 신(神)이 편안하지 못하다(<활인심).
⊙ 사람이 잠을 잘 때 똑바로 누워서 자는 것은 좋지 않은데, 손으로 가슴을 덮으면 반드시 가위눌리어 잘 깨어나지 못한다. 어두운 곳에서 가위눌렸을 때는 불로 비추지 말아야 하며, 또한 앞으로 가까이 가서 급히 부르지 말아야 하며, 가슴 위의 손을 잡아 내려준 다음 천천히 불러서 깨우거나, 조협가루나 반하가루를 콧속에 불어넣으면 곧 깨어난다(<천금방>).
10. 나쁜 꿈을 피한다 (p.669)밤에 나쁜 꿈을 꾼 것을 남에게 말하면 안된다. 얼굴을 동쪽으로 향하고 칼을 들고 입에 물을 머금었다가 칼에 내뿜으면서 “악몽착초목, 호몽성주옥[나쁜 꿈은 초목에 붙고, 좋은 꿈은 주옥이 되어라]”이라고 주문을 외우면 재앙이 없다. 꿈이 좋거나 나쁘거나 모두 남에게 말하지 않는 것이 좋다(<세의득효방>).
⊙ 사향을 오랫동안 먹으면 꿈을 꾸거나 가위눌리지 않는다. 또한 좋은 사향 한 제를 베개 속에 넣어두고 베면 사기를 없애고 나쁜 꿈을 피할 수 있다(<본초>). ⊙ 소합향은 꿈이나 가위눌리는 것을 없앨 수 있는데, 먹거나 몸에 지닌다(<본초>).
⊙ 호랑이 머리로 베개를 만들어 베면 나쁜 꿈을 피하고, 가위눌리는 것을 없앨 수 있다(<본초>).
⊙ 서각은 가위눌리는 것을 없앨 수 있는데, 먹거나 몸에 지닌다(<본초>).
⊙ 영양각은 심기(心氣)를 편안하게 하고 가위눌리지 않게 하며, 사기와 놀라는 꿈을 없앤다(<본초>).
11. 단방 (pp.672-677)모두 열여덟 가지이다.
* 녹두육(사슴 머리고기): 번민증이 있으면서 꿈이 많은 것과 밤에 꿈을 꾸며 헛것이 보이는 것을 치료한다. 사슴 머리고기 삶은 국물을 마시고, 그 고기도 먹는다(<본초>).
* 안식향: 부인이 꿈에 헛것과 성교하는 것을 치료한다. 안식향을 웅황과 합하여 알약을 만들어, 그 알약을 태워서 나오는 연기를 음문[丹穴]에 쏘이면 완전히 낫는다(<본초>).
* 고죽엽: 허번증으로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삶아서 먹는다(<본초>).
* 소맥(밀): 번열이 있어서 잠이 적어진 것을 치료한다. 삶아서 먹는다(<본초>).
* 산조인: 잠을 많이 자면 날것으로 쓰고, 잠을 자지 못하면 볶아 익혀서 쓴다(<본초>).
* 유백피(느릅나무 속껍질): 유백피는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혜강이 “유백피는 사람을 잠들게 한다”고 한 것이 바로 이 말이다. 처음 열린 열매로 죽을 쑤어 먹으면 잠을 잘 자게 된다(<본초>).
* 임금(능금): 능금은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많이 먹으면 잘 자게 된다(<본초>).
* 목근(무궁화): 무궁화를 달여서 먹으면 잠들게 된다(<본초>).
* 궐(고사리): 고사리를 먹으면 잠이 많아진다(<본초>).
* 순(순채): 순채를 늘 먹으면 잠이 잘 온다(<본초>).
* 사삼(더덕): 잠이 많고 늘 자려고 하는 것을 치료한다. 삶아서 먹거나 버무려 먹는다(<본초>).
* 통초: 비달로 늘 자려고 하는 것을 치료한다. 삶아서 먹는다(<본초>).
* 오매: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차로 만들어 마시면 잠을 자게 된다(<본초>).
* 차: 잠을 적게 자게 한다. 따뜻하게 먹으면 잠이 많은 것을 없애준다(<본초>).
* 고채와 고기(쓴 나물과 쓴 상추): 고채와 고거는 모두 잠이 오지 않게 한다. 오래 먹으면 잠을 적게 잔다(<본초>).
* 복익(박쥐): 박쥐의 피를 눈에 떨어뜨리면 잠을 자지 않게 된다(<본초>).
* 마두의 골(말의 머리뼈): 잠자기 좋아하는 것을 치료한다. 베개로 만들어 베면 잠을 자지 않게 된다(<본초>).
* 초결명자(결명자): 오랫동안 먹으면 잠을 자지 않게 된다(<본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