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 바꾸기#2

범띠 : 어짊과 포악의 양면성

맑음 | 2017-10-07 09:22:50

조회수 : 1,444

범띠 - 어짊과 포악의 양면성
 
셋째 띠는 호랑이며 이것을 인(寅)이라 한다.
시간으로는 아직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태양의 빛이 어둠 속을
헤집고 희끄무레하게 대지를 밝히는 새벽 3시부터 5시이며
방향으로는 동쪽이 시작되는 처음 방위이고 계절로는 음력 1월
즉 봄이 추위를 뚫고 나오는 때다.
만삭이 된 축(丑)에서 비로소 만물이 생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마치 씨앗이 씨눈을 터뜨리고 병아리가 알을 깨고 나오며 아이가
열린 자궁 밖으로 머리를 내밀고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것과 같다.
인의 마음은 욕망이 끓어올라 그 욕망의 대상을 찾아가는 현상에 비유된다. 처음으로 튀어나오는 기운이기에 생명력이 가장 왕성하고 강력하여 굽힐 줄 모르는 고집과 자존심이 작용한다.
 
그리고 그 기세만큼 성격이 급하고 포악한 일면이 있는가 하면
도(道)를 얻고 싶은 어진 심성이 있으며 무엇을 깨치는 능력도 탁월하다. 이는 육신이 품은 세속적 욕망의 기질과 하늘의 도가 펼쳐지는 기운이 어우러져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상징하는 범은 백수의 왕으로 가장 용맹스러운 짐승이거니와 우렁찬 소리 하나만으로 능히 여러 생명을 떨게 하는 지배자로서 위엄 내지 포악성까지 겸비하고 있다.
불교에서는 붓다의 목소리를 사자후에 비유하고 웅변가의 기세당당한 소리 역시 사자의 포효에 곧잘 비유한다.
인간은 모든 동물과 식물 그리고 미물에 이르기까지 그 생명의 기질을 뭉뚱그려서 형성된 대자연의 종합 박물관과 같다.
역학의 기 이론에서 보아도 이런 인간의 양면성이 절묘하게 나타난다. 범띠 인(寅)은 목기(木氣)에 속하고 목기는 어진 성품을
의미한다. 태초에 음과 양이 화합해서 만물을 탄생시킨
원신(元神)의 기질이 목이기 때문이다.
인체를 구성하는 오장(五臟) 중에서 간, 담이 바로 목기다.
그러므로 팔자에 목기가 있는 사람은 성품이 어질다.
그러나 목기가 너무 강하면 간, 담의 기가 심해서 다른 오장을 억압하고 성격도 포악하게 나타난다.
다른 오장의 기질과 균형이 맞지 않아서 어진 기질이 병들고 지나친 기세를 억제하지 못해서 목소리가 높고 급한 성미에 마음이 맞지 않으면 극도의 분노를 삭이지 못하는 것이다.
 
 
 
 
출처 : 블로그 >pandora 글쓴이 : redwine
Fun 이전 현재페이지1 / 116 Fun 다음
Fun 이전 현재페이지1 / 116 Fun 다음
© 원제역학연구원

select count(*) as cnt from g4_login where lo_ip = '13.59.116.33'

145 : Table './wonje2017/g4_login' is marked as crashed and should be repaired

error file : /m/bbs/board.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