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운은 관성의 청탁으로 판단합니다. 관성이 淸하려면 財가 힘이 있어 관살을 생해주어야 합니다. 官이 용신 또는 희신이 되고 파극(破克)되지 않아야 하며 태왕(太旺)하지도 않고 약하지도 않아서 적당한 힘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설사 官이 용신 또는 희신이 아니더라도 재성,인성과 유정(有情)하고 일주와도 어그러지지 않아야 합니다.
-. 신왕한데 관성이 약하면 재가 있어 관성을 생조해 주고, 관이 왕한데 신약하면 인수가 있어 통관해 주며, 인수가 왕하고 관이 약하면 재가 있어 인수를 제압하고, 인수는 약한데 관이 왕하면 재가 없어야 하고, 겁재가 중중한데 재가 약하면 관성이 겁재를 제압하고, 재성이 인수를 파괴하면 관성이 통관해야 하고 용신이 관성인데 관성이 암장되었으면 재성도 역시 암장되어야 하고 용신이 인수인데 인수가 투출하였 으면 관성도 투출되어야 하니 이러면 귀격(貴格)이 된다. -. 신왕하고 관왕한데 인수도 왕하면 殺印相生으로 가장 淸貴한 사주가 된다. 이 때 식상이 약하게 있으면 자식두기가 힘들다. 그러나 인수가 약하고 식상이 암장되어 있으면 관성이 손상되지 않으니 귀격에 자식도 많이 둔다. -. 신왕 관약하고 식상이 힘이 있는데 인수가 있고 財局을 暗成하면 貴는 못하더라도 자식은 많고 부자이다. -. 신왕 관약하고 식상이 왕성한데 재성이 없으면 자식은 있으나 반드시 빈천하다. -. 신약 관왕하고 식상이 왕성한데 인수가 없으면 가난하면서 자식도 두지 못한다. -. 관이 약하고 인수는 중하며 신왕하고 혹 관이 중하고 인수는 약하면서 신약이거나 官印이 평등한데 일주가 휴수되었으면 제일 천하다. -. 관이 약하고 비겁이 중한데 재가 없고 혹 관이 중한데 인성이 없고 혹 재는 약하고 비겁이 중한데 관이 암장된 것은 그 다음으로 천하다. -. 관이 왕하고 인수가 희신인데 재성이 인성을 파괴하고 관살이 중하고 인성이 없는데 식상이 강하여 관성을 극하고, 관이 많아 재성을 꺼리는데 재성이 득국하고, 관성이 희신인데 관성이 타신과 합하여 상관으로 변하거나 관성이 기신인데 합하여 다시 관성이 된다면 그 다음으로 천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