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조의 해설이 구구한 장개석 총통의 명조이다. 혹자는 내격의 신강명으로 庚金 식신(食神)을 용(用)한다 하고 현대 추명 대가들은 庚金을 기신, 丁火 인성을 용(用)하는 내격의 신약명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어느 경우든 희신과 기신의 세력이 비등하면 맑은 명조는 될 수 없다. 그러나 위 명조 천간에 투(透)한 火, 土. 金의 글자 모두 월령을 득하여 왕성하고 상생 구도의 전형적인 삼상격(三象格)의 명조이며 또한 일간 己土가 사지(四支)에 모두 뿌리를 내려 일행득기(一行得氣)한 바 종왕격(從旺格)의 그것과 큰 차이가 없다. 삼상격의 경우 일간을 중심으로 인(印), 비(比), 식(食) 모두를 기뻐하니 천간의 구성상 전체 희신의 글자로 맑은 명식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대귀명(大貴命)이나 지지의 亥 중 甲木과 壬水가 흉물(凶物)로 행운에서 천간의 水, 木 운에 많은 장애가 따르게 된다. 일단의 중국의 추명가들은 이를 두고 양신성상격이라 설명한 사례가 있지만 이 명식은 丁火를 기뻐하며 삼상격으로 봄이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