舊書에「 月支에서 祿을 보면 建祿格이라 하고 日支에서 祿을 보면 專祿格이 되며 支에서 祿을 보면 歸祿格이 된다.」고 했는데 대개 人命의 窮通과 吉凶은 반드시 四柱를 종합해서 취단해야지 一支에 祿이 있다 하여 格으로 말해서는 안된다.
대개 命格은 모두 生剋으로 取하니 고로 官殺印財食傷 六格이 있는 것이며 祿은 生도 아니요, 剋도 아니며 地支中에 있는 하나의 比肩일 뿐이다.
善乎獨步에서 歸祿에 대해 論하기를「 月令이 財官이면서 吉의 도움을 만나면 祿을 爲用할수 있으나 財官의 吉함을 도울수 있어야 한다」했다. 建祿,專祿 또한 같으니 어찌 格이 되기에 충분하겠는가?
모두 그냥 祿일 뿐이다.
舊書에「建祿은 官을 좋아하고 歸祿은 官을 꺼린다 하는 것은 그래도 理致가 있으나 書에 또 말하기를 三祿은 모두 殺을 두려워한다」했으니 이것은 반드시 日主가 단지 이 祿에만 의지하고 있을 때 殺이 그 祿을 傷하게 하면 身이 의지할 데가 없기 때문에 두려워 하는 것이나 만약 日主에 다시 生扶함이 있으면 비록 殺을 본다 해도 어찌 害가 되겠는가?
또 財官印食이 각기 本 祿을 얻는다는 것에 대해서는 먼저 반드시 그것들을 干에서 본 뒤에 地支에서 비로소 祿을 만나야 한다. 舊書에「丙日이 癸干을 보지 않고도 단지 子字를 보면 이름하여 官星 得祿이라 하며 壬日이 丁干을 보지 않고도 단지 午字만 보면 財星 得祿이라」고 하면서 柱에 子午卯酉, 寅申巳亥 八支를 보면 財官印食이 得祿하지 않음이 없다하니 어찌 가소롭지 않겠는가? 고로 여기에 덧붙여 분별하는 것이다.
출처 :해정 명리 학당
원문보기▶ 글쓴이 : 해정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