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풍수 인테리어
1) 안방은 중심에 있고, 어두워야 좋다.
주택의 여러 가지 기능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편안한 휴식을 제공한 다는 것이다.
낮 동안의 피로를 풀어주는 곳이 곧 집이다. 휴식을 하고 잠을 자는 것은 삶의 충전이다.
만일 사람이 충분한 휴면을 취하지 못한다면 생산적인 활동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생기가 많은 공간에서 잠을 자게되면 충전이 잘되고 그렇지 못한 곳에서 잠을 자게 되면 왕성한 활동을 할 수 없다.
이런 기능을 충실하게 해내는 곳이 바로 침실이다.
따라서 집에서 가장 생기가 많이 모이는 곳에 주인 부부의 침실, 곧 안방을 설치해야 한다.
풍수로 해석할 때 안방은 어두워야 재물이 쌓인다. 재물은 음(陰)에 해당되는데, 이것은 재물이 약간 어둑한 부분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너무 밝은 곳은 노출되는 형태이므로 재물이 모이지 않는다.
2) 현관은 마당과 주택의 중심 축에 설치한다.
현관은 마당의 생기가 주택 내부로 들어오게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현관은 生氣가 많은 곳에 위치하고 있어야 주택 내부에 생기가 모 이게 된다.
현관의 위치는 주택의 중심축, 즉 건물 중심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부득이 주택내부 기능에 따라서 중심에 설치 할 수 없 다면 약간 벗어나는 것은 무방하다.
그러나 건물 끝 부분이나 모서리에 설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대부분의 현관문은 밖으로 열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주택의 현관문은 안쪽으로 여는 것이 좋다.
문이 안쪽으로 열리면 바람도 문의 열림과 동시에 주택 내부로 들어오지만, 문을 밖으로 열면 주택 내부의 기운이 문이 열려짐과 동시에 밖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바람 은 곧 그 집의 기운과 재물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현관문은 바람이안 으로 들어가도록 안쪽으로 여는 것이 바람직하다.
3)거실은 집의 중심에 두고, 천장을 높게 한다.
한국 전통 기와집의 구조에서 대청은 가장 중심적인 공간에 위치하여 마당을 정면으로 내려다보고 있다. 대청 좌우에는 안방과 건넛방이 있어 균형을 이루고있으며, 대청 천장은 중심 부분이 높고 좌우가 낮은 피라미드 형태를 이룸으로써 안정감을 준다.
이런 구조는 주택 내부의 기운을 중심에 모이도록 하는 매우 좋은 형태이다.
전통 주택의 대청은 현대. 주택에서는 거실로 변화되었다. 거실은 대부분 주택의 가장 중심적인 공간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안방보다 중심 에 있어 주택의 기운이 가장 많이 모여 있다.
실제로 이상적인 거실은 주택 내부의 중심 축에 넓게 자리잡고, 천장도 높은 것이 좋다. 천장을 높게 할 경우 겨울철 난방비가 많이 들어가는 단 점이 있지만, 천장이나 계단실 출입문 등을 설치함으로써 기운이 외부 로 빠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거실에서는 아주 이상적인 생기가 발생되어 그 집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건강이나 사회적인 활동을 크게 촉진시켜 행운을 가져다준다. 또 이처럼 강한 생기가 모여 있는 공간은 낮에는 거실로 사용하고 밤에도 침실로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거실이 중심에 있지 않고 좌측이나 우측으로 치우쳐 있는 경우에는 주택 내부의 기운이 중심을 잡지 못해 불안한 주택이 된다. 즉 거실이나 안 방과 같은 큰방이 주택의 좌측이나 우측에 분산되어 있고 중심에 작은 방들만 있다면, 집안의 기운이 분산된다. 이렇게 되면 집안이 안정되지 못하고 혼란스러워지는데, 식구들끼리 서로 화합하지 못하고 건강을 잃게 되면, 경제적으로는 손실을 보게 된다.
4) 부엌은 거실과 이어지는 곳에 둔다.
부엌은 음식을 만드는 곳으로서 주택의 기능 중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곳 중하나이다. 풍수 이론에 따르면 주방 위치에 따라 음식 맛 도 달라진다. 이것은 부엌의 기운이 위치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 라서 음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주방의 위치나 형태가 매우 중요하다.
과거에는 부엌이 구석진 곳에 있었다. 그러나 주택이 입식화 되면서 부 엌의 개념도 바뀌어져 부엌, 즉 주방이 거실과 같은 역할을 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주방 위치는 거실과 가깝게 있을수록 좋다.
과거의 부엌에서는 부뚜막에서 주걱으로 밥을 퍼낼 때도 손끝이 대문을 향하지 않도록 하는 관습이 있었는데, 이것은 손의 움직임에 의해 부엌내부의 바람이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하기 위함이었다. 한옥의 부엌 위치가 앞뒤로 마당을 면하고 있기 때문에, 손의 움직임에 따라서 바람의 움직임이 바뀐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요즘의 주방은 외부가 아닌, 내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주걱 방향이 바람을 바꾸지는 않는다.
요즘 주방은 위치, 형태, 방위가 더욱 중요하다.
5) 화장실은 구석에 둔다.
“처갓집과 화장실은 멀수록 좋다.”는 속담이 있는데, 요즘은 이런 속담이 옛말이 되고 있다. 예전에는 주택구조상 화장실을 멀리 떨어지게 설치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수세식 화장실이 대부분인 요즘은 화장실을 주 택 내부에 설치하여 편리하게 이용하고 있다. 이 수세식 화장실에서는 오물이 물과 함께 순간적으로 하수구를 통해 빠져나가기 때문에 집안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화장실의 공기 중에는 오물 냄새와 독가스가 포함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화장실에는 물이 많이 있어 공기가 습하다. 화장실 문이 열릴 때 마다 독가스와 습기가 다른 방으로 전달된다. 화장실 기운은 음기(陰氣)이 므로 집안의 다른 양기(陽氣)를 억제한다.
화장실 위치가 주택의 중심 부 분에 있을 경우에는 화장실 공기가 실내에 확산되는 힘이 더욱 크다.
주택의 중심은 항상 깨끗하고 따뜻한 기운이 모여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런 곳에 화장실이 있다면 집안 전체의 기운이 불결하게 된다.
따라서 주택 내부의 수세식 화장실이라고 해도 가능한 한 가장자리에 설 치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화장실 기운이 주택 내부에 퍼지지 않도록 각 별히 주의해야 한다.
6) 방 평면은 정방형이 가장 이상형이다.
각각의 방은 일정한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그 형태에 따라 공간의 기운이 달라지고 그 공간에 거주하는 사람의 길흉이 달라진다.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비슷한 정방형 평면의 방이 가장 기운이 많이 모 이는 이상적인 형태이다. 이때 가로와 세로 비율은 1:1.7(=3:5)이면 좋은 편이다. 그러나 방이 1:2이상인 장방형 방은 기운이 분산되어 좋지 못하 다.
방이 원형인 것은 보기 드물지만, 이런 방은 기운이 강하게 집중시키는 효과가 있어 매우 좋다. 원형은 하늘을 의미하며, 하늘은 강한 힘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또 원형 공간은 기운이 회전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하지만 평면에 칸막이 벽이 설치되면 원형 분위기가 깨어지기 때문에 좋 지 못하다.
도심지와 같이 땅이 비좁은 곳에 집을 짓다 보면 삼각형의 방도 생기게 마련이다. 그러나 이런 방은 기운이 안정되지 않은 매우 불안한 형태이다. 이런 방에 거주하게 되면 주변 사람과 싸우거나 언쟁을 일으키는 등 빈번한 마찰을 빚게 된다.
방의 길이가 제각각인 두 개의 방을 합쳐 ㄱ자 형태로 만들어진 방은 안 정감이 없어, 이 방에 사는 사람들은 심리적인 불안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주변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못한다.
7) 천장은 원형 형태가 가장 이상적이다.
일반적인 주택의 천장 높이는 약 2.4미터(약 8자)이며, 아파트에서는 2.3 미터인 것이 일반적이다. 천장을 낮게 하는 것은 에너지 절약 차원도 있 지만 아파트인 경우에는 가능한 한 많은 층수를 세우기 위한 목적이 더크다.
그러나 이상적인 천장 높이는 방의 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3미터라면 천 장 높이도 3미터로, 전체적인 공간 형태가 정육각형 형태인 것이 가장 이 상 적이다. 정육각형 형태의 공간은 구형을 이룸으로써 내부에서 천기(天 氣)와 지기(地氣)가 회전하기에 좋은 공간으로, 생기가 가장 많이 발생된 다.
음양 이론으로 볼 때 천장이 높으면 사람에게 높은 이상을 갖게 하고, 천장이 낮으면 이상이 부족하고 현실적이며 물질적인 가치만을 추구하게 된다.
그러나 지나치게 높은 기운이 모아지지 않아 좋지 않다.
1. 사주에 土 의 氣運 이 적은 사람일수록 대지의 면적이 클수록 좋다.
2. 사주에 木 의 氣運 이 적은 사람일수록 정원을 넓게 하는 것이 좋다.
3. 사주에 金 의 氣運 이 적은 사람일수록 바람의 영향을 가급적이면
적게 받는 집이 좋다.
4. 사주에 水 의 氣運 이 적은 사람일수록 가급적이면 물과 가까운 곳에
|
출처 : 양택글 - blog.naver.com/kht4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