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실
화장실이 집 안에 있는 경우에는 탁한 기운을 가장 많이 배출하는 곳이기도 하다. 부엌도 탁한 기운이 많이 배출되지만 화장실에서 배설할 때 발생하는 냄새는 소변이건 대변이건 간에 상당히 좋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항상 청결을 유지하고 특히 배수구가 막히지 않도록 해야 한다. 배수구가 자주 막힌다는 것은 그 집의 탁한 기운을 제대로 배출할 수 없기 때문에 환자의 발생이 잦아지기도 한다.
그리고 화장실 문을 열자마자 변기가 바로 보이는 것은 좋지 않다. 그것은 무심코 화장실 문을 열었을 때 그 당사자는 정면으로 문을 연 사람과 마주보게 되어 놀라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탁한 기운을 밝게 해줌으로 해서 어느 정도 엷어질 수가 있다. 그래서 화장실 타일을 어둡게 처리하지 말고 밝은 색상으로 해주어야 한다. 변기나 욕조도 역시 짙은색보다는 밝고 환한 색상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다. 탁한 기운은 짙고 어두운 색상일수록 오래 머물러 있기 마련이다.
욕실을 너무 고급스럽게 꾸미는 것은 좋지 않다. 또한 특이한 개성을 표현한다고 해서 흑백의 대조를 너무 강하게 한다거나 특정한 원색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은 좋지 않다.
침실이나 안방에 딸려 있는 화장실은 방위의 길흉을 떠나 해롭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화장실 출입문 옆에 난을 놓거나 화장실 문 정면에 붉은 계열의 꽃그림을 놓아 나쁜 기운을 차단해 주는 것이 좋다.
남향 화장실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남향의 강한 화(火)의 기운과 화장실의 수(水)의 기운은 상극(相剋)으로 심장병, 과민성 대장 증세, 만성위염 등의 질병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남서쪽은 인체의 배에 해당하므로 지저분하거나 배수가 안 되면 거주자 모두 배탈, 변비, 치질, 맹장염 등의 질병이 유발될 가능성이 아주 높으므로 동쪽에 화분을 두면 흉한 기운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침실이나 안방에 딸린 화장실의 경우 화장실 입구와 침대, 잠자리는 일직선상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잠잘 때 화장실의 탁기(濁氣)가 스며들어 나쁜 영향을 미친다.
어지러운 욕실 용품은 최소한으로 줄여 노출되지 않게 수납장에 보관해야 기의 분산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화장실의 조명은 어느 곳보다도 밝게 하는 것이 좋다.
구석에는 꽃을 장식하는 것도 좋다. 창이 없는 곳에서는 옅은 빨간색 화병에 붉은 계열의 꽃으로 하고, 창이 있으면 파란색 계열에 역시 같은 계열의 꽃으로 장식하는 것이 좋다. 창이 있어 서쪽의 지는 해가 들어오는 경우에는 반드시 이를 차단해 준다. 슬리퍼, 변기 커버 등은 연한 녹색으로 하고 블라인드나 커튼은 노란색, 분홍색 계열로 한다.
화장실에 건강한 기가 흐르게 하려면 남쪽 화장실은 화(火)의 기운이 강하게 작용하므로 형광등과 같은 백색 조명이 좋고, 서쪽 벽에 거울을 붙인다. 화장실은 환기를 자주 시키고 별도의 환풍기를 설치하여 화장실내의 탁기(濁氣)가 고이지 않고 빨리 빠져나가게 해야 한다. 무지개색 수건을 장식적으로 걸어두는 것도 기운을 활기차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출처 : 좋은집터 - blog.naver.com/agit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