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풍수] 1. 명당 터는 이렇게 잡는다 / 내룡의 격정 |
좋은생각
2017-09-28 (목) 14:54
조회 : 2063
|
|
형세상으로 생기 왕성한 내룡을 찾았다면 우선 패철 8층으로 물이 빠지는 파(破)를 정확히 간지하여 국(局)을 정한다.
특히 수구가 묘방(墓方)이냐 절방(絶方)이냐 태방(胎方)이냐를 잘 관찰하여야 우리가 찾을 내룡을 정할 수 있다. 패철 4층을 이용해 내룡이 뻗어 내린 방향을 파악한 뒤 용의 생왕사절(生旺絶死)을 정하는데, 형세상 내룡의 입수가 풍성하고, 거북이 등처럼 반듯하면 생기가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내룡의 생왕사절을 정할 때는 아래의 사항을 명심하여 외워야 한다. 그것은 파와 자연의 흐름에 따라 이기적으로 합당한 내룡이 법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이니, 원리가 맞느냐 틀리느냐 하는 것은 우문(愚問)이다. 현대의 지리학자가 밝혀낸 이론이 아니라 2 천년을 두고 자연을 관찰한 풍수가의 경험이 총집합된 원리이기 때문이다.
먼저 내당의 물이 우선수이고 파가 4국의 묘방(墓方:乙,辛,丁,癸)으로 빠지면 각국의 장생룡을 찾는다. 예를 들어 파가 패철 8층으로 보아 정미(丁未)에 있으면 목국이고 물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흐른다면 내룡 중에서 패철 4층으로 갑묘방에서 내려온 내룡을 찾고, 내룡을 오르락내리락하면서 파가 될 수 있으면 천간인 정자(丁字)의 중앙선에 걸치는 지점을 찾는다.
만약 내당의 물이 좌선수이고 파가 묘방으로 빠지면 각국의 제왕룡을 찾는다. 예를 들어 파가 계축(癸丑)에 있으면 금국이고 물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른다면 손사(巽巳)방에서 내려온 내룡을 찾고, 내룡을 오르락내리락하면서 파가 될 수 있으면 계자(癸字)의 중앙선에 걸치는 지점을 찾는다.
또 내당의 물이 우선수이고 파가 4국의 절방(絶方:乾,坤,艮,巽)으로 빠지면 각국의 장생룡을 찾는다. 예를 들어 파가 패철 8층으로 보아 건해(乾亥)에 있으면 화국이고 물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흐른다면 내룡 중에서 패철 4층으로 경유방에서 내려온 내룡을 찾고, 내룡을 오르락내리락하면서 파가 될 수 있으면 건자(乾字)의 중앙선에 걸치는 지점을 찾는다.
만약 내당의 물이 좌선수이고 파가 절방으로 빠지면 각국의 관대룡을 찾는다. 예를 들어 파가 손사(巽巳)에 있으면 수국이고 물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른다면 신술(辛戌)방에서 내려온 내룡을 찾고, 내룡을 오르락내리락하면서 파가 될 수 있으면 손자(巽字)의 중앙선에 걸치는 지점을 찾는다.
즉, 다시 간략하게 설명하면 비록 내룡의 이기가 양룡, 장생룡, 관대룡, 임관룡, 제왕룡같이 좋다고 하더라도 아래와 같은 원칙에서 벗어난 내룡은 소용되지 않는다.
자연의 흐름 파의 이기 내룡의 이기 우선수 사국의 묘파 장생룡 좌선수 사국의 묘파 제왕룡 혹은 임관룡 우선수 사국의 절파 장생룡 혹은 양룡 좌선수 사국의 절파 관대룡
4국마다 4개씩 진혈을 찾을 수 있고, 천간(天干)과 지지(地支)까지 나누어 혈을 찾으니 32개의 진혈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이다. 물론 파가 지지로 빠지면 부귀가 반으로 준다는 것은 이미 설명하였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꼭 천간으로 파를 빼기가 어렵고 지지로 파를 잡아야 하는 경우도 많으니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상기에 설명한 예를 참고하여 나머지 국도 진혈을 찾아보면 재미있을 것이다.
[그림 : 간산 현장에서 패철로 내룡을 격정하는 모습] |
출처 :맑은샘 기르기 원문보기▶ 글쓴이 : 불로초
|
관련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