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공풍수
1) 문헌적 근거
沈紹勳 1849~1906. 의 沈氏玄空學 현공구성법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현공풍수라고 한다.
2) 현공구성법에 대입 3요소
시간.집을 짓는 년도
좌방위 산성
향방위 향성
3)현공구성법의 판단도구로서 구궁도 마방진이라고도 한다
1 구궁도에서 좌방위 산성수 와 향방위 향성수를 뽑는다.
2 산성수와 향성수의 음양을 구분한다.음양구분법이 좀 어렵다,
현공구성법 음양분류표
|
陰 |
陽 |
천원(天元) |
子 午 卯 酉 |
乾 坤 艮 巽 |
지원(地元) |
辰 戌 丑 未 |
甲 庚 丙 壬 |
인원(人元) |
乙 辛 丁 癸 |
寅 申 巳 亥 |
천원 자오묘유건곤간손 ,지원 진술축미갑경병임 인원 을신정계 양 인신사해
3 좌향의 수가 구궁도상에 어느위치에 해당되는 상의 음양을 구분한다.
8운 수예성도
7 |
3 남 |
5 |
6 동 |
8 |
1 서 |
2 |
4 북 |
9 |
원단반
四진손사 |
九 병오정 |
二미곤신 |
三갑묘을 |
五 |
七경유신 |
八축간인 |
一임자계 |
六술건해 |
4 만일 8운에 자좌오향을 검토 해보고 싶다면 8운수애성도 상에서 자의 4, 오의3숫자를 가져온다.
음양을 결정하는데 자좌 는 구성법음양분류표에 천원에 있다 여기서 음양을 구분않고 4의 숫자가
원단반에 4진손사 의 손이 천원에 양에 있다.자좌의 산성의 +4가된다 향성3도 같은방법으로...
다음은 중궁에 비궁하는법은 구성법에 따라 하면된다
5 먼저 운수예성도를 만들고 올해는 8운으로 8을중궁에서
시작하여 순행하여 배치한다
6 산성수의 음양이 구분하여 중궁에서 시작하여 운수예성도의
좌상단에 배치하고 향예성도를 같은방법으로 우상단에 배치한
다. 그러면 한궁에 3수가배치되면 이것을 일러 종합예성도
라고 한다.
진손사
6 8
七 |
2 4
三 |
4 6
五 |
5 7
六 |
+7 +9
八 |
9 2
一 |
1 3
二 |
3 5
四 |
8 1
九 |
해건술
8운, 辰坐戌向 예성도 연주삼반괘
4)종합예성도가 완성되면 어떻게 길흉을 판단해야 하는가?
1 연주산괘-길
123 234 456 678 789 891 로만 이루어지면 연주산반괘
로 아주길하다.한궁에 숫자가 섞어도 된다.
2 부모상반괘 -길
147 258 369 세종류로만 되어 있다.역시 숫자가 섞이도
된다.
3 합십국 -길
구궁도의 각궁에서
운반수(운수예성도)+산성수=10
운반수 +향성수=10
4.왕산왕향-길
해당운수와 같은수가 좌궁과 향궁에들어있는경우
5상산하수-흉
와산와향과 비교할때 좌궁에서 향성수 향성궁에서 산성수가 해
당운수와 같은경우 비틀어진 경우라 하여 흉
6쌍성회좌 쌍성회향-반길
왕성수와 같은 수가 두개 겹쳐져 나타나는경우
7 복음 반음-흉
운수예성도에서 산성수 또는 향성수가 5가 되는 좌향일 경우
+5는 순비로 -5는역비로 반음을 만든다
이외에도 현공구성법 에서는 애성도에 나타난 상을 보고 지운년한이 얼
마나 되는지 계산한다든지 영신방 정신방을 따진다는 등의 확대해석하여
사용하고 있다.
출처 :수연(水然)풍수학회
원문보기▶ 글쓴이 : 이마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