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자법(無字法)5
페이지 정보
본문
박청화 강의 노트 22 무자법 5
이번에는 실례를 갖고 알아 보겠습니다.
O |
丁 |
O |
O |
O |
O |
亥 |
辰 |
여기서 정관 亥는 壬과 같으므로 辰에 입묘합니다. 辰은 巳午未에서 세력을 얻어 실제의 토와 같이 되므로 이 같은 해를 지날 때는 입묘 작용이 강해짐으로써 관이 확실하게 깨집니다. 이처럼 상관 견관하면서 운의 기복이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는 정치인 등에 많습니다.
丙 |
丁 |
丁 |
癸 |
午 |
未 |
巳 |
卯 |
조후상 癸가 반갑습니다. 하지만 공망 맞은 지지에 올라 앉아 있습니다. 또한 근기가 전혀 없습니다. 이는 명을 쫓으나 실이 없는 게 됩니다. 따라서 관이 미약하니 평생 그 관을 탐하긴 하나 이루어지긴 어렵습니다. 이처럼 일간의 마음이 향하는 글자가 약하면 인생이 고달픈 법입니다.
丙 |
丁 |
丁 |
戊 |
午 |
未 |
巳 |
戌 |
반면 위의 팔자는 자연스럽게 식상을 씁니다. 이런 팔자는 인생이 편안 합니다. 애초에 관이 없다 함은 미련 또한 없다는 뜻이니까요.
丙 |
丁 |
丁 |
戊 |
午 |
未 |
巳 |
子 |
지방공무원. 물론 실속은 있습니다. 하지만 국가 공무원으로 나아가면 꽝입니다.
땅바닥에 있는 것은 버릴 곳이 없는 법입니다. 따라서 지지에 있는 글자는 어떤 식으로든 써먹게 마련입니다. 하지만, 천간에 있는 글자는 일간의 마음만 아프게 할뿐 써먹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출처 : 박청화 강의노트 3 - cafe.naver.com/1472topman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