地天泰
상괘 곤삼절 땅과 하괘 건삼련 하늘로
坤土宮의 寅月卦로 천지가 밀착하여 상
하가 서로 응하고 작은 것은 가고 큰
것이 오는 태평의 세월이다 화합 발전
의 상이나 동요충돌을 경계하고 현상안
정에 주력해야 한다
◆ 도전괘 = 천지비(태평한 때가 다하면 비색한 때가 온다. 하늘의 뜻으로 만물이
열리고 닫힌다)
◆ 배합괘 = 천지비
◆ 호 괘 = 뢰택귀매(천지의 교합 이치는 인사의 종시를 이루는 남녀간의 혼인과 같다)
◆ 착종괘 = 천지비
◆ 태는 작은 것이 가고 큰 것이 오니 길하여 형통하니라.
(외괘 곤삼절 음의 小가 가고 내괘 건삼련 陽의 大가오니 길하고 형통)
(왜괘는 가는 것이고 내괘는 오는 것이다)
彖曰, 泰小往大來 吉亨 則是天地 交而萬物通也. 上下交而其志同也. 內陽而外陰 內健而外順 內君子而外小人 君子道長 小人道消也. |
◆ 단전에 이르길 태는 작은 것은 가고 큰 것이 오니 길하고 형통하다 함은
곧 하늘과 땅이 사귀어 만물이 통하며 위와 아래가 사귀어 그 뜻이 같음이라.
안에는 양이고 밖에는 음이며, 안으로는 강건하고 밖으로는 유순하며,
안으로는 군자요, 밖으로는 소인이니, 군자의 道는 자라나고 소인의 道는
사라질 것이다.
象曰, 天地交泰 后以財成天地之道 輔相天地之宜 以左右民. |
◆ 상전에 이르길 하늘과 땅이 사귀는 것이 泰이니 임금이 하늘과 땅의 道를
잘 마름하여 도를 이루며, 하늘과 땅의 마땅함을 도와서 이것으로 백성을
도우며 인도하는 것이다.
◆ 엉킨 띠풀을 뽑음이다. 그 무리로써 감이니 吉하다.
(다른 책에서는 띠풀의 뿌리를 뽑음이라, 그것은 무더기로 정벌하면 길하니라고 나옴)
◆ 상전 = 띠뿌리를 뽑아 나아감이 길하다 함은 뜻이 밖에 있음이라.
◆ 天地交泰 時運維新 上下協和 君子同人
천지가 사귀고 통하니 때의 운수가 오직 새롭고 위아래가 협동하고 화목하니
군자가 사람과 더불어 경영함이라.
◇ 밖으로 눈을 돌리면 또다른 이로움이 따라오니 적극적이면 길하다.
九二 包荒하며 用馮河하며 不遐遺니 朋亡이라도 得尙于中行이라. |
◆ 거친 것을 감싸며 하천을 건너는데 사용하며 먼 것을 버리지 아니하며
벗을 잃어버리면 숭상함을 얻어 중용에 맞게 행하리라.
◆ 상전 = 상전에 이르길 거친 것을 감싸며 좋은 것을 얻어 중용에 맞게 행함은
큰것으로써 빛나는 것이다.
◆ 掛名龍門 治國安民 位高任重 業在四隣
이름을 용문에 거니 백성이 편안하게 나라를 다스림이요, 벼슬은 높고
책임은 무거우니 사업이 온 나라안에 있음이라.
◇ 용기를 가지고 개혁을 추진하되 포용과 중용을 지켜 난관을 이겨나가면 성취가 있다.
九三 无平不陂며 无往不復이니 艱貞이면 无咎하리라. 勿恤이라도 其孚면 于食에 有福하리라. |
◆ 평평하나 기울지 않음이 없으며 가서 돌아오지 않음이 없으니 어려움에도 곧으면
허물이 없어서 근심치 않더라도 그것은 미더운지라, 먹는것에 복이 있으리라.
(내괘가 끝나고 외괘로 넘어가니 태평세월을 방심치 말고 바르고 분수를 지키면
허물이 없으며, 구삼이 변하면 兌卦의 입이니 먹는것에 넉넉함을 말함)
◆ 상전 = 가고 돌아오지 않음이 없다함은 하늘과 땅이 사귐이라.
◆ 花無十紅 時不在晨 艱貞固守 福星隨身
열흘 붉은 꽃은 없으며 때는 새벽만 계속되지 않으니 어렵게 여기고 바르게
지키면 복성이 몸에 따르리라.
◇ 장애와 곤경에 빠지더라도 경계하며 곧음을 버리지 않으면 복됨을 누리니
평안함을 과신하지 말고 노력을 해야 하리라.
六四 翩翩이라도 不富니 以其隣이면 不戒라도 以孚니라. |
◆ 훨훨 날 듯이 부유하지 않더라도 그들과 이웃하기 때문에 경계하지 아니해도
미덥도다.
(육사가 변하면 진하련 용이되어 動하여 소인이 군왕의 자리를 노리며 한 가지에만
믿음을 가지고 뭉치는 형상)
◆ 상전 = 훨훨 날 듯이 부유치 않다함은 실속을 모두 잃음이요, 경계치 않아도
미더운 것은 마음 가운데 원하는 것이 있기 때문이다.
(소인이 오로지 실권을 잡기위해 한 마음으로 뭉치니 서로 경계하지
않음이다)
◆ 花衰春風 暗雲將起 欲渡江東 走馬無氣
봄바람에 꽃은 시들고 장차 어두운 구름이 일어나니 강동을 건너려 하나
달리는 말은 기운이 없도다.
◇ 어느 정도 안정을 갖게되면 방심하면 위험을 만나게 될 수 있으니 자성하며
이웃과 복을 나눠라.
◆ 제을이 누이동생을 시집보내는 것이니 이로써 복되고 크게 길하리라.
(지천태의 호괘가 뢰택귀매이니 누이를 시집보내며. 오효는 인군의 자리이니
제을이며 태평세월을 유지키 위하여)
◆ 상전 = 상전에 이르길 복됨으로써 크게 길함은 중용으로써 원함을 행함이라.
◆ 水土雖克 相合相比 帝妹歸臣 亦受其祉
물과 흙이 서로 극하나 서로 합하고 서로 도우니 임금의 누이 동생이
신하에게 시집가니 또한 그 복을 받도다.
◇ 중용으로 유능한 인재를 찿아 적소에 배치하고 일을 맡겨 크게 성취를 이룬다.
上六 城復于隍이라. 勿用師라. 自邑告命이니 貞이라도 吝하니라. |
◆ 성이 공허함으로 돌아옴이라, 군사를 쓰지 말고 고을로부터 명이 있을 것이니
바르더라도 인색하니라.
(상효가 변하면 山괘이니 산성이 무너져 빈터만 남으니 나라가 망하며,
군사를 일으키면 혼란만 있게되며 잘못을 반성하여야 함)
◆ 상전 = 성이 공허함으로 되돌아 간다 함은 그 命이 어지러움이라.
◆ 逆水行舟 勞而不利 城復于隍 反作難時
물을 거슬러 배를 저어가니 수고롭기만 하며 공든탑이 무너지니
도리어 어려운 때를 만들도다.
◇ 바름을 벗어나니 안정이 깨어지고 혼란이 오게되니, 만사신중 현상유지를
잘하라.
출처 :종인사 鍾印寺 원문보기▶ 글쓴이 : 독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