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澤風大過
상괘 태상절 못괘와 하괘 손하절 바람
괘의 택풍대과는 양이 넷 음이 둘로 양
이 크게 지나쳤다는 뜻으로 진목궁의
이월에 속하며 위난의 괘상이다 시작과
끝이 어긋나며 능력이상의 무리로 인해
고전하게 되니 내실을 기하며 움직임에
자중하여야 한다.
◆ 도전괘 = 부도전괘.
◆ 배합괘 = 산뢰이
◆ 호 괘 = 중건천(안이 지극히 강건한 까닭에 크게 건널 수 있습니다. 대과는 선천의
마지막 괘이니 천도의 운행이 변화하는 것이다)
◆ 착종괘 = 풍택중부(대과는 본말이 약하여 엎어지는 상이나, 중부는 본말이 튼튼하여
미더운 상이다)
大過는 棟撓라. 利有攸往이니 亨하니라. (대과 동요 이유유왕 형) |
◆ 대과는 기둥이 흔들리니 갈 바를 둠이 이로워서 형통하니라.
彖曰, 大過 大者過也. 棟撓 本末弱也. 剛過而中 巽而說行. 利有攸往 乃亨. 大過之時 大矣哉. |
◆ 단전에 이르길 대과는 큰 것이 지나감이요. 기둥이 흔들린다는 것은 근본과
말초가 허약하기 때문이다. 강한 것이 지나치되 중용을 지키고, 겸손하고
기쁨으로 행함이라.
가는 바를 둠이 이로워서 이에 형통하니 대과의 때가 크나큰 것이다.
(초육이 음으로 약하고 상육도 음으로 약하니 본말이 약하여 기둥이 흔들리는
것이며 비록 강함이 지나쳤으나 구이와 구오가 중을 얻고 손하절 바람괘의 공손
함과 태상절 못괘의 기쁨으로 대하니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
象曰, 澤滅木 大過. 君子以 獨立不懼 遯世无悶하나니라. |
◆ 상전에 이르길 못이 나무를 멸하는 것이 대과니, 군자가 이로써 홀로 서도 두려워
하지 않으며 세상을 멀리해도 민망하게 여기지 않느니라.
(태상절 못물이 범람하여 동방목의 나무가 물 속에서 뿌리가 썩고 있고 서방금이 동방
목을 금극목하는 것과 같으니 동방의 모든 기본이 흔들리는 것이다. 군자가 대과의 상을
본받아서 홀로 바른일을 행하여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고 또 세상을 등지고 피해도 민망할 것 없이 자기의 본분대로 살면 된다는 말이다)
初六 藉用白茅니 无咎하니라. (자용백모 무구) |
◆ 초육은 자리를 까는데 흰 띠를 쓰니 허물이 없느니라.
(약하고 어려운 초육이 제사를 지내러 산에 갔는데 흰 띠를 깔고 제물을 놓는 정성을
드리니 어찌 허물이 있겠는가)
◆ 상전 = 상전에 이르길 흰 띠풀로 자리를 깐다는 것은 부드러운 것이 아래에 있음이라.
◆ 誠心禱天 可免其厄 重力扶身 興家之策
성심으로 기도하면 그 액운을 면하고 힘써 몸을 부양함은 집을 부흥하는 방법이라.
◇ 밑바탕을 충실히 정돈하여 신중을 기해야 한다.
九二 枯楊生제라 老夫得其女妻니 无不利니라. (싹날 제) |
◆ 구이는 마른 버들이 싹이 나며 늙은 지아비가 그 아내를 얻으니, 이롭지 않음이
없느니라.
(구이 양의 늙은 지아비가 혼자 살아 자식을 못 낳고 있다가 가까운 이웃에 있는
초육의 젊은 여자를 얻어 마른 버들에 새싹이 나듯 자식을 낳아 대를 이으니 이롭
지 않음이 없다)
◆ 상전 = 상전에 이르길 늙은 지아비가 젊은 아내를 얻음은 지나치지만 서로 더불어
사는 것이다.
(대과의 시대에 침몰돼서 꺼져가는 동양의 정신문명이 간방인 우리 나라에서
다시 살아나 후세에 전해진다는 말이 여기에 숨어 있다고 대산 선생께서 표현)
◆ 春雨 一枝梅花 枯木生 運好如何
봄비가 줄줄오니 한 줄기 매화요. 고목이 뿌리를 내리니 운이 호전되네.
◇ 새로운 동반자를 구하여 약간 늦으나 과감한 체질개선과 방향전환을 모색하면 이롭다.
◆ 구삼은 기둥이 흔들리니 흉하니라.
(양이 양자리에 있으나 중을 얻지 못하고 아래가 허하기 때문에 흔들린다)
◆ 상전 = 상전에 이르길 기둥이 흔들리니 흉하다 함은 도움을 주기가 불가하기 때문이다.
(초육이 음으로 유약하기 때문에 받쳐주지 못해 도움이 되지 못하니 흉하다)
◆ 人不助我 獨力難濟 身雖自强 心困事替
사람들이 나를 돕지 않으니 홀로는 해결하기 어렵고 몸은 비록 부지런 하나
마음은 곤하고 일은 막히네
◇ 상당히 곤란함과 다급함으로 파탄의 직전에 처했으니 되돌리기가 어렵다. 잘못을 깊이
성찰하고 다시 시작하는 각오로 임해야 새로운 기회를 얻을 수 있다.
九四 棟隆이니 吉커니와 有 면 吝하니라. (동륭 길 유타 인. 다를:타) |
◆ 구사는 기둥이 높으니 길하거니와 다른 것을 두면 인색하리라.
(네번째의 구사가 기둥이 높아 졌으니 더 지나친 일을 한다면 기둥이 흔들려 위험하니
초육에 정신이 팔려 흔들리지 말고 신하의 자리에서 구오 인군을 잘 받들어대과의 시대
를 해결하라는 것)
◆ 상전 = 상전에 이르길 기둥이 높아서 길하다 함은 아래에서 흔들지 못하기 때문이라.
(구사가 아래 초육에게만 안 가면 흔들 수는 없다)
◆ 身立高處 先志其上 義有一邊 何用變常
몸이 높은 곳에 처함에 먼저 그 윗사람을 알라, 의리는 한 곳에 있는 법
어찌 떳떳한 도를 고치랴.
◇ 적은 것을 탐하다 큰 것을 잃을 수 있으니 자만과 독선을 경계하고 모두가 공유하는
옳음을 추구해야 한다.
九五 枯楊生華라. 老婦得其士夫니 无咎나 无譽리라. |
◆ 구오는 마른 버들이 꽃피며 늙은 지어미가 그 사부(젊은 남자)를 얻으니 허물은 없으나
명예도 없으리라.
(초육의 음은 싹이고 젊은 여자이고, 상육의 음은 꽃이며 늙은 여자이니, 구오 양이 아래 에 있어 젊은 남자가 되니 늙은 여자가 젊은 남자를 얻어 사는 꼴이니 허물은 되지 않더 라도 명예로운 일도 아니다)
◆ 상전 = 상전에 이르길 마른 버들이 꽃이 핀다하나 어찌 오래갈 것이며, 늙은 지어미가
젊은 사부를 지아비라 함도 또한 추한 것이다.
(대산 선생께서 이 효에 주역이 중국에서 나와 잠시 꽃피다 우리나라에서 대과의
시대에 새싹이 나와 오래 전해진다는 비결이 들어 있다고 합니다)
◆ 枯木生花 路上流水 如此之運 不可其久
고목에 꽃이 피고 길 위에 물이 흐르니 이러한 운은 오래가지 못함이라.
◇ 겉은 화려하나 속은 허하니 외화내빈이라 내실을 취하지 못하면 허무로 돌아 가리라.
◆ 상육은 지나치게 건너다 이마를 멸함이라 흉하니 가히 허물이라 하기엔 불가한 것이라.
(너무 지나치게 건너뛰다 못 속에 빠져 이마를 다치는 것이라 몸 다치고 체면이 다
구겨지니 도가 지나쳐 다친 것이니 누구를 허물할 수도 없는 것이다)
◆ 상전 = 상전에 이르길 너무 지나치게 건너다 흉하게 된 것은 허물하지 못하느니라.
◆ 秋林水澤 金鱗無氣 時違活動 別無所利
가을 숲 못 물에 금비늘 고기 기운이 없고 때를 어겨 활동하니 별 이익이 없음이라.
◇ 무리수를 두다 곤경에 처하니 자기의 역량에 따라 일을 행함이 좋으리라.
출처 :종인사 鍾印寺 원문보기▶ 글쓴이 : 독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