地水師(지수사) 二爻(이효) 軍師(군사)무리들 가운데 있음인지라 길하고 허물없으니 王(왕)이 세 번씩이나 敵(적)을 攻略(공략)하라고 명령을 내리도다 군사 무리가운데 있어 길하다하는 것은 하늘의 총애함을 승계 하였다는 것이요 왕께서 세 번씩이나 接戰(접전)하라고 명령을 내린다는 것은 천하를 만방을 품어 다스리라는 것이리라
先行契機(선행계기)가 坤爲地卦(곤위지괘) 二爻(이효)가 다가온다 直方大(직방대)라 소이 四通八達(사통팔달)하는 길 위에라 그런 것의 모습은 무엇을 하려고 연습하지 않아도 저절로[자연히] 길이 나에게 유리하게 열리는 것 같아선 이롭지 아니함이 없으리라하고 있다 그만큼 크게 통달한다는 것이고 연중 하기 쉽다는 것이리라 將帥(장수)가 군사 무리들 가운데 있어선 전체를 잘 통괄하여서 다스린다는 것이리라
坤爲地卦(곤위지괘) 모든 陰爻(음효)들을 그렇게 지휘 받아야할 一瀉不亂(일사불난)한 軍隊(군대)들의 隊伍(대오)로 보았다는 것이고 그 坤爲地卦(곤위지괘)의 입장에서 地水師(지수사) 先行契機(선행계기) 將帥(장수)爻氣(효기)다가오는 것은 그렇게 잘 四通八達(사통팔달)로 길을 열어주는 모습 先鋒將(선봉장)이 되어선 좋게 이끌어주는 모습 마치 좋은 호위병의 군사와 그 대장을 둔 것 같아선 앞으로 전진하기 어렵지 않게 길잡이 역할을 잘하는 모습을 비춰진다는 것이리라 이렇게 손발이 척척 맞을 적엔 여럿의 호응을 얻어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잘 진행된다는 것이리라
이반면 天火同人卦(천화동인괘) 二爻(이효) 同人于宗(동인우종)이라 세상에 나아가선 드넓게 사귀는 것이 군자의 中庸(중용)의 도리인데 저희세력 끼리만 유리하게 놀아나고자 한다는 것은 비아냥 지탄의 대상이 된다는 것이라 세상이 어찌 在與(재여) 세력만 있겠느냐 이다 재야세력이 있다는 것이라 그들까지도 널리 포용하고 수용하는 자세를 가지는 것이 널리 뜻을 같이하는 모습이 된다하고 있음 인 것이라
[물론 여럿의 의견을 다 수용하려다 보면 서로간의 이해득실에 따라서 발목 잡는 행태를 가져와선 일의 추진의 방훼 세력이 되어선 그 능률의 저하를 가져온다 하지만 이것은 저희끼리 잇속을 챙기려하는데 그 빙자거리가 되기 쉬울 뿐인 것이다 = 이래서 민주주의 다수결 원칙이 반드시 오른것만이 아니고 그 소수의 방종이나 소수의 횡포가 바르게 비춰질 리가 없다는 것이라 그래서 그 절충점을 자연 모색하게된다 할 것이라 그런 것은 소이 중용의 도덕을 잘 갖춘 군자의 현명한 대처방법 누구나 수긍하지 않을 수 없는 묘안을 내는 자가 필요한 것이고 그런 것을 現龍在田(현룡재전) 利見大人(이견대인)이라 할수 있을 것이라 할 것이다= 절충점을 잘 찾아선 화해무드 소위 만장일치제가 진정한 민중의 뜻을 받는 참 모습이 된다 할 것이다 ]
現龍在田(현룡재전)利見大人(이견대인)이 先行契機(선행계기)로 와 있음이라 賢明(현명)한 신하 될만한 君子(군자)之德(지덕)을 갖춘 룡이라 할만한 棟梁(동량)감이 밭[세상에 =또는 사냥 수렵할 동산]에 드러나 보인다 세상에 드러나 보인다는 것이라 이런 사람은 그 사용해줄 君王(군왕)의 薦擧(천거)를 받는 것이 마땅한지라 그 대상에게 있는 君王(군왕)의효기를 가서 알현하는 기회를 갖는 것이 이롭다는 것이라
이렇게 좋은 눈으로 보면 되는데 그 외의 세력들이 그 시기 질투하는 눈으로 조소 비아냥거리는 대상이 되어 있을 뿐이라는 것이리라 재야세력 소위 그 자리에 서보지 못하는 세력들이 일편 부러운 눈을 갖고도 쳐다 보지만 그렇게 대부문 조소 비아냥거리길 너만 저만 어찌 그렇게 덕을 갖춘 군자인체하여선 드러난 룡처럼 하여선 군왕에게 아부하려 하느냐 이렇게도 在野(재야)觀點(관점)은 돌아간다는 것이리라
그래서 저희끼리 소이 덕을 갖추었다하는 군자라하는 패거리 끼리 짝짝궁하는 것은 그렇게 지탄 비난의 대상이 되며 그 처신 인색한 것이 되어선 그 부끄러움을 짓는 상황이 된다고 이런 것을 그 경계하라하는 가르침의 말씀으로 효사를 달은 것이라할 것이다 그렇게 모든 것을 대하여 칭아를 두지 말고선 널리 사귀는 것이 소위 야러 군사들을 잘 통솔하고 세상을 撫摩(무마)하여선 그 德治(덕치)를 하는 것과 같다는 것을 여기서는 말하여 주는 것이라 할 것이다
일편 同人于宗(동인우종)에 대한 現龍在田(현룡재전)利見大人(이견대인)은 그렇게 同人于宗(동인우종)의 동조세력으로만 볼것이 아니라 그 아닌 在野(재야) 여러 세력을 대표하는 자로도 볼 것이라 그래해선 군왕을 뵈옵는 것으로도 될 것이라 그 저희세력끼리 패당을 짓는 것을 그래 못하게하고 그 현명한 德治(덕치)를 보이게끔 하려고 그 군왕에게 나가는 中正之德(중정지덕)을 잘 갖춘 군자로도 描寫(묘사)할수 있으리리라
* 地水師卦(지수사괘) 內卦(내괘)가 반대체가 되면 왼팔을 꺽인 것 그 오른 팔이 낫질이라면 왼팔은 폭이를 잡는 낫질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爻氣(효기)인데 此(차)爻氣(효기)가 꺽인다는 것은 오른팔의 행위를 잘 行(행)할수 없게 함이리라 그래서 그 中庸(중용)의 도리를 행하려는 것을 잘 以行(이행)하지 못하는 상태가 도달 한다고 하고 있음이라
이런 것을 地天泰(지천태) 二爻(이효)에서 그 벗이 明夷(명이)로 손상 입었거든 朋亡(붕망)- 같은 닮은꼴의 行爲(행위)=朋(붕)은 같은 살점 생김을 말한다 그래선 그 둘이서선 門戶(문호)를 이룬 것 雙璧(쌍벽)을 이룬 것 그런데 이러한 벗중 어느 한쪽이 어둠에 의해서 損傷(손상)을 입은 상태를 갖다가선 벗의 의지가 관철 되지않고 망가진 것을 그 朋亡(붕망)으로 해석할수 있다할 것이다]
소이 왼팔의 행위가 자기 역할을 못 하거든 그렇게 이끌어 주어선 中庸(중용)의 도리를 행하게 하여 준다하고 그 明夷(명이)二爻(이효)에서는 그 오른팔 이끌어주는 爻氣(효기)가[救濟(구제)하는 馬(마)] 健壯(건장)하면 길하다고 하고 있음인 것이라 이것이 그 明夷(명이)가 바로서게되면 원래 火地晋卦(화지진괘)인데 그 離卦(이괘) 所以(소이) 外卦(외괘)가 그 馬(마)를 下賜(하사)하고 白晝(백주)대낮에 세 번씩이나 교접붙이는 행위를 벌인다는 것이라 그 만큼 강성하다는 運(운)인데 地水師卦(지수사괘)에서는 이것을 그 軍師(군사)들이 敵(적)을 攻略(공략) 세 번씩이나 接戰(접전)하라고 君王(군왕)께서 命令(명령)내리시는 것으로 관찰 하였다는 것이라
그러니깐 顚倒(전도)되고 안되고 그 입장 차이가 그렇게 표현 된다는 것이라 離卦(이괘)와 坎卦(감괘)는 서로 顚倒(전도)된 現狀(현상)이고 그 水(수)가 對象(대상)坤(곤)을 맞는 것과 離(이)가 對象(대상)坤(곤)을 맞는 것이 그만큼 차이를 벌인다는 것인데
坎象(감상)으로 하여선 內(내)쪽에 있을 적엔 군사들을 다스리는 형태가 되어선 그 二爻(이효) 敵(적)을 攻略(공략)하는 것으로 하지만 離象(이상)으로 하여선 그것이 外卦(외괘)로 顚倒(전도) 되어선 內(내)쪽의 坤卦(곤괘)爻氣(효기)들을 대상으로 할 적엔 그 康侯(강후)에게 馬(마)를내 리고선 백주 대낮에 세 번씩이나 그 암넘들을 올라타게 한다는 말이 된다 할 것이다 그 한쪽은 접전 공략이고 한쪽은
그 음양 성행위가 된다 할 것인데 馬(마)는 곧 午(오)이라 백주대낫을 가리키는 말 午(오)는 곧 태양이라 그 해가 그렇게 활성화되어선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할것이라 그렇다면 師(사)는 곧 그 반대개념 子(자)일 것이고
쥐는 곧 陰凶(음흉)한 도둑의 무리들 마땅히 膺懲(응징)의 대상이 되지 않는가 하여 보는 것이고 그 어둠인지라 음으륵한 것이 활성화 되는 것으로 말하는 것이 아닌가 하여 보는 것인데[戰爭(전쟁)事(사)라하는 것은 밝은 事案(사안) 아닌 것이다 부득이 마지못해 하는 암울한 상황인 것이다] 그런 것을 소위 다스린다는 것이 장수된 입장의 爻氣(효기)라 할 것이다
晋卦(진괘)五爻(오효) 得失(득실)을 勿恤(물휼)코고 막 추진하고 보면 아롭지 아니함이 없으리라 하고 있고 아것이 그 막히는 天地否卦(천지부괘) 現狀(현상)을 그리지만 그 天地否(천지부)가 뒤잡혀선 地天泰(지천태)가 된다는 것이라서 그렇게 막 추진해 보라는 것이라하고,
그 天地否(천지부) 五爻(오효)에서도 그 바람맞이에 둥지를 틀고 비바람이 세게 불면 새 어미가 애절한 소릴 내지만 그 폭풍이 지나고 나면 그 평온을 찾아선 그 지위가 그렇게 새끼 기르는데 그 보다 더 좋은데가 있을수 없다는 것이다 그 왼팔을 傷(상)한 정도의 모습이지만 그 구제하는 건장한 馬(마)가 당도한 것 같은 것이 그 평온한 시기를 맞이한 모습이라는 것이라 그래선 그 원하던 숭상하든 중용의 도리를 행하게 된다고 할 것인바 그것은 새끼를 잘 길러선 養育(양육)에 성공하는 모습이라 할 것이다
출처 : 지수사 천화동인 곤위지 건위천괘 이효 연계해석 - cafe.daum.net/dur6f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