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임학은 역리학에 기초를 둔 학문으로 天은 陽이요, 地는 陰이므로 天時를 나타내는 月將(태양의 도수)을 地機(지기)인 지반의 위에 가임하여 天地盤을 만든다음 四課를 구성하는데 四課는 太陽, 太陰, 少陽, 少陰인 四象을 말하는 것이며 四課가 구성된 후 三傳을 구성하는데, 이 三傳은 天,人,地 三才로 宇宙의 初, 中, 末 운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모든 幾微(기미)를 알고자 함에 있다.
이렇게, 四課三傳을 구성한 다음 五行으로 十二天將을 배설하고 오행의 相生相剋을 파악하여 天下萬物의 輕重을 파악하여 누가 吉하고, 누가 凶한지를 明確하게 豫知 할 수 있는 학문이다.
1) 月將(월장)
육임학에서 제일 먼저 알아야 할 용어이다. 一月之將으로 太陽이 어느宮에 자리하고 있는가에 따라 어느 월장인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명리학에서는 절입일을 기준으로 월건을 정하지만 월장은 중기로 정한다. 즉, 월건은 節과 節 사이를 말하고 월장는 氣와 氣 사이를 말한다.
다음은 월장에 대한[효사육임강론]의 내용을 인용 하겠습니다.
“육임은, 해당 정단 계절에 태양이 지구의 어느 방위에 자리하고 있는가에 의해 천기를 분포하여 인사에 적용하는 천문역학인 것입니다.
정단 계절에 태양이 좌한 위치의 오행 기운이 공간성으로서의 하늘의 중심 기운이 되고 이 중심 기운을, 시간성을 지니고 조우된 물상에 가(可) 하므로서 온 천지의 기상을 확연히 드러나게 하는 것이올시다.
계절의 월은 우주의 가정 강력한 현상의 질량을 포섭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질량은, 반드시 기(氣)라고 하는 에너지와 상통되어야만 운동되는 것이니만큼 이 기운을 추리해 내는 것이야 말로 만물의 존재근원을 해석해 낼 수 있는 것이올시다.
특별히 주목해야 할 것은, 현상으로서의 월건을 융합하는 지지가 월장이 되고 있다는 것인데, 즉 기와 상이 불가분의 관계를 유지한다는 것을 강력히 사사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중의 일물인 사람의 길흉도 이 월장과 시간만 알게 되면 그 기와 상의 조화에 의해 그 인(人)의 목적, 정황, 심리, 일의 성부, 숨겨진 비밀까지를 자세히 밝힐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월장표 |
陰月 |
正月 |
2月 |
3月 |
4月 |
5月 |
6月 |
7月 |
8月 |
9月 |
10月 |
11月 |
12月 |
月建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節 |
입춘 |
경칩 |
청명 |
입하 |
망종 |
소서 |
입추 |
백로 |
한로 |
입동 |
대설 |
소한 |
氣 |
우수 |
춘분 |
곡우 |
소만 |
하지 |
대서 |
처서 |
추분 |
상강 |
소설 |
동지 |
대한 |
月將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名稱 |
등명 |
하괴 |
종괴 |
전송 |
소길 |
승광 |
태을 |
천강 |
태충 |
공조 |
대길 |
신후 |
星座 |
쌍어 |
백양 |
금우 |
쌍자 |
거해 |
사자 |
실녀 |
천평 |
천궐 |
인마 |
마갈 |
보병 |
陽月 |
2/19.20 |
3/21.22 |
4/20.21 |
5/21.22 |
6/21.22 |
7/22.23 |
8/23/24 |
9/23.24 |
10/23.24 |
11/22.23 |
12/22.23 |
1/20.21 |
출처 : 육임2 개요, 월장 - cafe.daum.net/dur6f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