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를 보는 힘-통변(通變)의 기준 /화풍정
사주를 본다는 것은 명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 것인가를 말하는 것이다.: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이것을 통변이라 한다.
통은 기본원리로 시대나 상황과 상관없이 변하지 않는 것을 말하고
변이란 그 기본원리를 응용하여 시대와 상황에 맞게 변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通을 하지 않고 變을 한다는 것은 어린아이가 칼을 휘두르는 것과 같고
變을 갖추지 않고 通만으로 命을 본다는 것은 갓 쓰고 좌판 벌린 것과 다르지 않다.
1. 조후(調候) - 환경, 조건, 분위기
조후는 命의 환경을 구성하는 것으로 한난조습을 말한다. 이 한난조습은 억부의 용이나 격국의 용신처럼 성패(成敗)를 가름하는 기준이 아니다.
용신(격국, 억부)은 命의 목적으로 성패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만 조후는 이 용신의 환경이나 배경적인 작용으로 성패에 간접적 작용으로 그 가치가 주어진다. 한마디로 조후는 용신개념이 아니다.
예를 들어 命에서 甲木을 用하기에 충분하다면 이 甲木의 작용에 따라 命의 成敗가 달라질 것이다. 하지만 甲木 처지가 寒한지 燥한지 暖한지 濕한지 하는 조건은 甲木의 환경적 요인으로 그 용신작용의 발현속도(시간적 문제)나 지속력(공간적 문제)에 영향을 주는 것이지 갑목의 용신적 작용(성패의 문제)과는 직접적이지 않다.
한난: 시기, 타이밍, 干의 문제 -시간적 문제
난습: 환경, 장소, 支의 문제 -공간적 문제
한습: 발현이 늦다. 불평불만, 내적으로 정리가 안 된다.
한조: 신경질적이다. 환경에 예민하나 신체 내부적 반응은 느리다.
난조: 발현이 빠르나 감정기복이 심하다. 지속력이 떨어진다.
난습: 낙천적이다. 환경에 둔감하나 신체 내부적 반응은 빠르다.
2. 억부 - 개인적, 취미, 적성
1)일간기준의 억부 - 신강신약의 구분
日干의 强弱을 구분하는 것으로 지극히 개인적인 성향의 用神이 된다.
신강하면 억하고 설하는 것으로 신약하면 부하고 助하는 것으로 用을 삼는다.
2)사주 전체기준의 억부 - 偏正, 有無의 관찰
日干을 포함한 사주전체를 기준으로 무엇이 가장 强하고 弱한지 찾는 것으로
이것은 日干과 상관없이 사주 전체적 입장에서 관찰하여 命이 갖고 있는 기본적
성향을 파악하기위한 것이다.
3. 격국 - 사회성, 직업, 진로
격국은 日干의 신강신약과 상관없이 월지를 기준으로 성립되는 것으로
대외적 입장에서 日干과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抑扶는 개인적이고 內的인 기준에서 사회적이고 外的인 조건을 바라보는 것이고
格局은 사회적이고 外的인 기준에서 일간과 비교하여
개인적인이고 內的인 상황을 관찰하는 것이다.
지지에서 월지를 기준으로 세력을 형성한 것을 국이라 하며 그 대표성분이 천간으로 투간한 것을 格이라 한다.
결국 格이란 천간중심의 통변을 말하는 것으로 그 관법의 중심은 성패에 있다.
이것은 억부의 중심이 지지에서 길흉에 집중되는 것과 비교된다.
月을 기준으로 格이 성립되면 眞格으로 格의 변화가 크지 않으며
뚜렷한 특징을 드러낸다.
하지만 타 지지에서 투간하여 격이 성립되면 가격으로
운에 따른 격의 변화가 크며 대체적으로 발현이 늦어진다.
출처 : 사주를 보는 힘-통변(通變)의 기준 - cafe.daum.net/dur6f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