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丙火論
1. 丙火가 무근(無根)하면 부조(扶助)하는 용(用)을 기대하기 어렵다. 인비(印比)의 상생(相生), 동기(同氣) 효과가 전무하다.
2. 丙火는 일단 통근(通根)하면 좀체 종(從)하지 않는다.
★통천론(通天論)편에 특별히 오양개양병위최(五陽皆陽丙爲最)라 서술하여 양간(陽干)의 특성이 가장 강한 글자는 丙火다. 또한 병화는 타간의 영향을 잘 받지 않는다. 다만 丙火가 뿌리를 내리는 지지가 합(合)이나 沖(충)으로 통근하는 힘을 무력화 시키면 종(從)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3. 丙火는 대개 癸水를 두려워하나 丙火가 강하면 癸水를 크게 두려워하지 않는다.
4. 병화는 천간에 있는 경우 浮木을 돕는다. 부목은 구제하기 어려우나 병화가 투간하면 구제할 수 있다.
5. 지지에만 존재하는 병화는 기토 뿐만 아니라 습한 토도 구제하지 못한다. 濕泥(습니, 계수가 많아서 발생하는 기토)는 구제하기 쉽지만, 병화가 투간되지 않으면 그 마저도 구할 수 없다.
6. 약한 임수는 병화를 제극하는 것이 불가능 하다.
7. 병화가 약한 경우는 갑목이 많은 것을 두려워한다. 또한 根이 강한 경우에 병화는 갑목에게 해를 준다.
8. 병화는 보통 계수를 특히 두려워하지만 강한 경우는 冬의 계수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9. 병화는 경금에는 해를 주지만 신금에는 해를 주지 않는다.
10. 병화가 약한 경우는 기토마저 두려워하나, 강한 경우 임수,계수마저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秘傳>
★ 병화가 너무강하거나 약한 경우의 원인과 처리법
너무강한경우 |
이 병화가 강해진다는 원인은 천간에 병화가 두 개 이상 있는 경우, 또는 근이 많은 경우이다. 이 경우는 계수로 극하는 것이 가장 양호하다. 또한 지지에 수가 있으면 기토로 하여금 설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너무약한경우 |
상관의 설기가 있는 경우 |
병화가 약하고 또한 근이 없으면 기토의 설기를 매우 두려워 한다. 이 경우는 갑목이나 을목을 사용함으로써 그 해를 막을 수 있다. |
정관의 극을 받는 경우 |
병화가 계수와 나란히 하고 있으면 병화는 매우 약해진다. 이 경우는 무토에 의한 방법만이 효과적이다. 갑목이나 기토도 어느 정도 그 해를 막을 수 있으나 병화와 계수가 나란히 하고 있으면 그 효과는 매우 약해진다. |
★병화 자신에 뿌리가 적고 약한 경우는 어떠한 구조도 用을 다하지 못한다. 곧잘 일반에 갑,을,병,정 등의 印이나 비겁으로 약한 병화를 생하거나 도움을 준다는 말을 하지만 효과는 전무하다고 할 정도로 약하다.
<秘傳-오행과의 관계>
木 |
병화에 대해 갑목과 을목은 거의 작용을 하지 않는다. 다만 병화가 약한 경우에만 미미하게 갑목의 成林(천간에 갑목이 두 개 이상 있는 것)을 꺼린다. 또한 갑목 을목 쪽에서 병화의 관계를 보면 水를 가지고 있는 갑목과 을목은 병화를 기뻐하나 水를 갖고 있지 않는 갑목과 을목은 병화를 꺼린다. |
火 |
병화와 정화는 같은 火性의 오행이지만 서로 관계가 없으며 또한 강하게 해주는 작용 역시 없다. |
土 |
병화는 무토와 기토를 해하는 작용이 있다. 다만 계수가 많은 경우의 기토는 구제할 수 있다. 무토와 기토는 병화에 대해서는 거의 작용이 없다. 다만 병화가 약한 경우는 기토는 병화에 대해 약간 해를 준다. |
金 |
병화는 경금을 극한다. 그러나 경금은 병화에 대해서 무작용. |
水 |
병화와 임수는 상생관계이다. 계수는 상극 당한다. 병화와 임수의 상생이라는 것은 오행의 상생상극관계가 아니라 간과 간 관계의 양호한 작용이라는 뜻. |
<補註>
喜(희신으로 작용하는 경우) |
丙 + 乙
염양려화(艶陽麗花) |
지식의 흡수가 뛰어난 수명(秀命). |
丙 + 乙 + 壬
강휘상영부유영(江輝相映浮柳影) |
사물이나 지식에 대한 흡수력이 뛰어나며, 복종심이 두터워 공무원이나 직장인으로 출세함.
★화명목수(火明木秀)면 경괴(經魁)라 하여 木의 천간과 火의 천간이 관계가 좋으면 학문이 높다고 전해짐. 甲+丙, 甲+丁, 乙+丙의 삼자. |
丙 + 己
대지보조(大地普照) |
표현력이 탁월하여 학술, 교육, 종교계에서 두각을 나타냄.
또한 지지에 수가 있고 천간에 갑목이나 을목이 있으면 더욱 좋다. |
丙 + 壬
강휘상영(江暉相暎) |
충성심을 발휘하며 조직 내에서 고위직에 오를 수 있는 유형.
갑목이나 을목이 있으면 더욱 좋다.
★丙과 壬의 수화상조(水火相照)명은 중앙에서 정치를 펴는 경우가 많다. |
忌 (기신으로 작용하는 경우) |
丙 + 丙 복음홍광(伏吟洪光) |
너무 밝은 빛이 오히려 혼탁해진 격. 주변의 조력을 받지 못함.
★복음홍광의 경우에는 癸水로 제어함이 양호하다. |
丙 + 癸
흑운차일(黑雲遮日) |
태양을 구름이 가리는 격. 직장생활이 맞지 않으며 조직 내에서 두각을 나타내기가 어려움. 교육,종교,학술,서비스업이 오히려 좋다. |
-丁火論
1. 丁火는 건조한 甲木만을 기뻐하며 습한 甲木이나 乙木은 반기지 않는다. 정화가 약할때는 건조한 갑목이 제일 좋으며, 정화가 강할때는 무토가 가장 좋다.
2. 丁火는 戊土로 인해 적당한 힘을 가지며 甲木(건조한 갑목)만 있으면 절대 약해지지 않는다.
3. 정화는 타간으로부터 생극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계절에 민감하다. 즉 경금을 조율 할 수 있으나, 겨울철의 정화는 갑목이나 무토의 도움을 받아야 경금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4. 정화는 무토만 있으면 강약에서 벗어나 조화를 이룬다.
<秘傳>
★ 정화가 너무강하거나 약한 경우의 원인과 처리법
너무강한경우 |
특히 갑목의 생조를 잘 받으면 강해지는데, 이 경우에는 무토가 가장 좋다. |
너무약한경우 |
습목에 의해 약한 경우 |
정화가 약해서 인성의 도움을 받고자 할 때, 갑목의 뿌리가 진토, 해수라면 습목이 되어 정화는 더욱 약해진다. 이 경우 타간의 갑목이나, 을목 무토를 용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
인성이 약한 경우 |
정화가 약하고, 갑목이 없고 을목만 있는 경우 도움이 되질 못한다. 이 경우는 갑목과 무토만으로 구제할 수 있다. |
<秘傳-오행과의 관계>
木 |
약한 정화에게 갑목은 도움이 되지만, 濕木은 오히려 도움이 되지 않는다. 목의 입장에서는 정화는 충분히 설기하는 작용이 있다. |
火 |
정화와 병화는 서로 관계가 없다. 다만 병화는 정화의 빛을 가리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같은 정화끼리는 비견으로서 도움이 된다. |
土 |
정화는 무토와 매우 양호한 관계다. 정화가 약할 경우 무토가 강하게 해주며, 정화가 강한 경우 무토는 설기 시켜준다. 그러나 기토는 정화와 관계가 없다. |
金 |
정화는 경금을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약한 경금을 강하게 하고, 강한 경금은 약하게 다스린다. 그러나 신금은 무정하여 제극만 하여 신금을 약하게 한다. 또한 정화는 경금이나 신금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
水 |
정화는 계수에 의해 약하게 된다. 그러나 정화는 계수에 대해 겨울인 경우 조후를 조절 할 수 있다. 이 경우 정화와 계수 사이에 경금이 있으면 더욱 좋다. |
<補註>
喜(희신으로 작용하는 경우) |
丁 + 甲
유화유신(有火有薪) |
불에 장작을 지피는 형상. 사물에 대한 이해가 빠르고 두뇌의 명석함으로 인해 경쟁력이 강함. 또한 갑목옆에 경금이 있으면 더욱 좋다. |
丁 + 甲 + 庚
벽갑인정(劈甲引丁): |
총기의 발현으로 특히 경쟁력에 강한 유형이며 재적(財的) 성취 면에서 유리함.
★甲 + 丁 + 庚 : 유신유화유로
★甲木이 기신으로 작용하면 포신구화(抱薪救火)라 하여 장작을 껴안고 불숲에 뛰어드는 격이니 책사책(策士策)에 빠지는 불리한 현상. 성실성보다는 요령을 우선시하다 실패하는 경우로 戊土를 보면 흉의가 매우 감소된다. |
丁 + 丁
양화위염(兩火爲炎) |
두 불길이 타오르는 격으로 속도에서 기선을 제압하여 성공함.
또한 갑목이나 경금이 옆에 있으면 더욱 좋다.
★丁 + 丁 + 甲 + 戊 유화유신유로(有火有薪有爐) 속전속결의 귀재. |
丁 + 丙
항아분월(姮娥奔月) |
역경에 분투하는 기상이 뛰어나고 한 곳으로 정진하는 끈기로 성취함. |
丁 + 戊
유화유로(有火有爐) |
자기의 재능을 충분히 발휘하게 되어 큰 발전과 성공을 거둠.
★丁火는 기본적으로 甲木이나 戊土가 없으면 힘을 쓰지 못한다. 따라서 甲, 丁, 戊 (有薪有火有爐:유신유화유로)나 庚, 丁, 戊 (火煉眞金:화련진금)처럼 삼간(三干)이 나란히 배열되면 크게 번영하는 상격(上格)의 대표적 유형에 속한다. |
忌 (기신으로 작용하는 경우) |
丁 + 乙
건시열화(乾柴烈火) |
마른 나무에 사나운 화염이 솟는 격. 요령을 우선하여 재(才)가 도리어 원수가 되는 경향이 있음. 무토가 있으면 구제됨. |
丁 + 甲
포신구화(抱薪救火) |
갑목이 기신으로 작용하면 장작을 안고 불을 구하는 격. 성실성 보다요령을 우선하여 才로 인하여 실패. 무토가 있으면 구제됨 |
출처 : 컴터협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