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론
페이지 정보
본문
충론
◎육충의 분별(명리대전정해중)
◆ 子午卯酉의 沖은 지역의 沖이 된다. 따라서 지역은 變遷하지만 職位는 변하지
아니하고, 다만 생활환경만 변한다.
◆ 辰戌丑未의 沖은 직위는 변하지만 지역은 變遷하지 않는다.
◆ 寅申巳亥의 沖은 지역도 변하고 직업도 역시 바뀐다.
萬育吾가 말하기를 지지의 일곱번째 자리를 沖이라하니 天干의 일곱 번째 자리를 義의
殺이라 하는 것과 같다.
때문에 천간의 일곱 번? 자리를 七殺이라 하니 칠살은 곧 我를 극제하는 것이다.
子午가 相沖하는데 子는 午에 이르기까지 일곱 번째가 되고,
甲이 庚을 만나면 殺이 되는데 甲이 庚에 이르기까지 일곱번째이다.
數中에서 六은 合이 되지만 七은 지나치기 때문에 서로 沖格하여 殺이 되는 것이다.
즉 六沖은 五行이 相剋하는 이치이다.
◆ 두 개의 午는 子를 沖하지 못하고, 두 개의 子는 午를 沖하지 못하고,
두 개의 寅은 申을 충하지 못하고, 두 개의 申은 寅을 충하지 못한다.
다른것도 이와 같다.
대저 兩個는 一個를 沖하지 못하고, 一個도 역시 兩個를 沖하지 못한다.
◎ 沖한다는 것은 상대를 공격하고 학대하고 엄하게 接하는 뜻이고
沖하는 字와 당하는 字 모두 傷하나 힘의 경중에 따라 다르다.
◎ 陰陽은 合沖에서 변화가 생기고 沖은 대립과 투쟁을 의미하며 無情의 剋이나
有情의 剋이 될 수 도 있다.
申六泉님의 冊에는 七沖이 八字안에 있으면 그 星의 部門의 투쟁이 된다.
月支와 日支의 沖은 가정에 안착할 수 없고 가정의 원만함을 缺한다
또 心身의 動搖등이 있고 年支와 日支의 沖은 生家나 故國을 떠남을 의미하고,
日支와 時支의 沖은 자식과 不圓滿하고 또 晩年 動搖등을 의미한다.
또 沖星의 통변에 의하여 事相을 나타낸다.
◎육충의 분별(명리대전정해중)
◆ 子午卯酉의 沖은 지역의 沖이 된다. 따라서 지역은 變遷하지만 職位는 변하지
아니하고, 다만 생활환경만 변한다.
◆ 辰戌丑未의 沖은 직위는 변하지만 지역은 變遷하지 않는다.
◆ 寅申巳亥의 沖은 지역도 변하고 직업도 역시 바뀐다.
萬育吾가 말하기를 지지의 일곱번째 자리를 沖이라하니 天干의 일곱 번째 자리를 義의
殺이라 하는 것과 같다.
때문에 천간의 일곱 번? 자리를 七殺이라 하니 칠살은 곧 我를 극제하는 것이다.
子午가 相沖하는데 子는 午에 이르기까지 일곱 번째가 되고,
甲이 庚을 만나면 殺이 되는데 甲이 庚에 이르기까지 일곱번째이다.
數中에서 六은 合이 되지만 七은 지나치기 때문에 서로 沖格하여 殺이 되는 것이다.
즉 六沖은 五行이 相剋하는 이치이다.
◆ 두 개의 午는 子를 沖하지 못하고, 두 개의 子는 午를 沖하지 못하고,
두 개의 寅은 申을 충하지 못하고, 두 개의 申은 寅을 충하지 못한다.
다른것도 이와 같다.
대저 兩個는 一個를 沖하지 못하고, 一個도 역시 兩個를 沖하지 못한다.
◎ 沖한다는 것은 상대를 공격하고 학대하고 엄하게 接하는 뜻이고
沖하는 字와 당하는 字 모두 傷하나 힘의 경중에 따라 다르다.
◎ 陰陽은 合沖에서 변화가 생기고 沖은 대립과 투쟁을 의미하며 無情의 剋이나
有情의 剋이 될 수 도 있다.
申六泉님의 冊에는 七沖이 八字안에 있으면 그 星의 部門의 투쟁이 된다.
月支와 日支의 沖은 가정에 안착할 수 없고 가정의 원만함을 缺한다
또 心身의 動搖등이 있고 年支와 日支의 沖은 生家나 故國을 떠남을 의미하고,
日支와 時支의 沖은 자식과 不圓滿하고 또 晩年 動搖등을 의미한다.
또 沖星의 통변에 의하여 事相을 나타낸다.
출처 : 천고비전(통변비전) - cafe.daum.net/dur6fks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