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후론-임수(壬水)와 계수(癸水)
페이지 정보
본문
조후론-임수(壬水)와 계수(癸水)


이번시간에는 조후론의 마지막 과정인 임수(壬水)와 계수(癸水)에 대해서 공부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조후론-임수(壬水)
임수(壬水)는 천하(天河)를 통하며 申은 天河의 출입구가 된다.
申응ㄴ 능히 金기를 설기하는 것이며 흐르는 물이 막히지 않아 강한 가운데 덕이 있다.
만일 신자진(申子辰)이 있고 계수(癸水)가 투출하면 물결이 거세어 막지 못하며
정임(丁壬)화 하여 木이 되면 火를 생하는 고로 유정하다 하며 여름에 태어나 사오미(巳午未)
火土의 기로 壬水를 증발하여 물이 되므로 비록 火土를 따른다하더라도 火土를 다스리는 공이 있다.
조후론-계수(癸水)
계수(癸水)는 음으로 지극히 약한 고로 해돋는 곳의 약한 水가 된다.
그 성질 또한 지극히 약하고 그 세력이 고요하여 만물을 발육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
이른바 진토(辰土)를 만나면 조화가 무궁하고 화토(火土)를 만나면 약한 계수(癸水)가 종화(從火)하게 되고 경신금(庚辛金)은 약한 계수(癸水)가 설기 시키지 못하므로 金이 많으면 도리어 탁해진다.戊(무)와 합하면 火를 만나는 것이 진화(眞火)가 된다.
출처 : 사주명리학 공부방 - blog.naver.com/kaie101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