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후론-갑목(甲木)
페이지 정보
본문
조후론-갑목(甲木)



오늘은 조후론 갑목(甲木)에 대해서 공부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조후론-갑목(甲木)
1.생일 天干(천간)을 기준으로 한다.
2.갑병무경임(甲丙戊庚壬)은 양간(陽干)인데 양간 중에서도 丙火는 양중 양이 되며
양의 모든 정기를 받고 있다.
3.을정기신계(乙丁己辛癸)는 음간(陰干)인데 음간 중에서도 癸수는 음중 음이 되며
물의 모든 정기를 받고 있다.
3.갑목(甲木)은 三天(삼천 : 봄철의 중말을 말한다)이라 나무가 어리면 火인 불이 중요하니
봄에는 金을 용납하지 아니하고 가을에는 土를 용납하지 아니한다.
인오술(寅午戌)에 병정(丙丁)이 있으면 반드시 辰습土가 있어야 하고 신자진(申子辰)에
임계(壬癸)가 있으면 반드시 인목(寅木)이 있어야 할 것이니 土에 水기가 있어 중화가 되면
장생할 수 있는 것이다.
출처 : 사주명리학 공부방 - blog.naver.com/kaie101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