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四柱) 육신(六神)
페이지 정보
본문
육신(六神)
육신이란 비견(比肩). 겁재(劫財). 식신(食神). 상관(傷官). 편재(偏財). 정재(正財). 편관(偏官). 정관(正官). 편인(偏印). 정인(正印). 이상 10개로 나눈다.
비겁과 겁재를 비겁(比劫). 식신과 상관을 식상(食傷). 편재와 정재를 재성(財星). 편관과 정관을 관성(官星). 편인과 정인을 인성(印星)이라고 한다.
이처럼 10개로 분류되나, 오행(五行)의 성질에 의해서 1.재성. 2.인성. 3.식신. 4.상관. 5.편관. 6.정관으로 여섯으로 구분하여 육신이라고 한다.
육신(六神)은 일간(日干)과 각 간지(干支)의 음양(陰陽)과 오행(五行)의 성질을 따라 생(生). 극(剋). 비(比) 에 따라 구분하여 아래와 같이 매겨진다.
비견(比肩): 일간(日干)과 오행(五行)이 같으며(比) 음양(陰陽)도 같은 것.
겁재(劫財): 일간과 오행이 같고(比),음양(陰陽)이 다른 것.
식신(食神): 일간이 생(生)하는 오행으로 일간과 음양이 같은 것.
상관(傷官): 일간이 생하는 오행으로 일간과 음양이 다른 것.
편재(偏財): 일간이 극(剋)하는 오행으로 일간과 음양이 같은 것.
정재(正財): 일간이 극하는 오행으로 일간과 음양이 다른 것.
편관(偏官): 일간을 극(剋)하는 오행으로 일간과 음양이 같은 것.
정관(正官): 일간을 극하는 오행으로 일간과 음양이 다른 것.
편인(偏印): 일간을 생(生)하는 오행으로 일간과 음양이 같은 것.
정인(正印): 일간을 생하는 오행으로 일간과 음양이 다른 것. |
출처 : 四柱命理學(사주명리학) - blog.daum.net/choitj12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