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格) 정하는 법(法)
페이지 정보
본문
鑑定(格 정하는 法)
月支 藏干의 通變聲이, 自己 自身을 나타내는 日干으로 60%의
運命의 영향력이 있는데, 正官格, 傷官格 等의 格이다.
格을 定하는 것 은, 命式의 다른 通變星과의 剋, 相生, 比和,
그렇지 않으면 根이 있는지 없는지, 또는, 干合이던지, 支合
三合, 충, 空亡 等의 관계로서, 좋은 命式, 나쁜 命式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定한다.
1.月柱, 時柱, 年柱의 순서대로 한다.
天干을 地支의 藏干보다 우선하여 定한다.
2.官星(正官,偏官), 財星(正財,偏財), 食神, 傷官, 印星(印授, 偏印)의
순서로 정 한다.
3.用神이 두 개 이상 있어, 어느 것으로 定해야 될지 어려울 때는, 根이
있는 通變星이 强하므로, 그것으로 한다,
4.破格으로서, 吉星이 剋을 받을 때는, 干合하여 格이 안되는 경우에도,
一定 조건이 맞으면 强旺格, 從格으로서 格을 쓰기도 한다.
1, 2, 3의 조건으로 用星이 쓰이는 경우를 內格이라 한다.
內格은 通變星에, 外格은 木, 火, 土, 金, 水의 좋은 五行으로 格을 定하는게 普通이다.
運命의 영향력이 있는데, 正官格, 傷官格 等의 格이다.
格을 定하는 것 은, 命式의 다른 通變星과의 剋, 相生, 比和,
그렇지 않으면 根이 있는지 없는지, 또는, 干合이던지, 支合
三合, 충, 空亡 等의 관계로서, 좋은 命式, 나쁜 命式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定한다.
1.月柱, 時柱, 年柱의 순서대로 한다.
天干을 地支의 藏干보다 우선하여 定한다.
2.官星(正官,偏官), 財星(正財,偏財), 食神, 傷官, 印星(印授, 偏印)의
순서로 정 한다.
3.用神이 두 개 이상 있어, 어느 것으로 定해야 될지 어려울 때는, 根이
있는 通變星이 强하므로, 그것으로 한다,
4.破格으로서, 吉星이 剋을 받을 때는, 干合하여 格이 안되는 경우에도,
一定 조건이 맞으면 强旺格, 從格으로서 格을 쓰기도 한다.
1, 2, 3의 조건으로 用星이 쓰이는 경우를 內格이라 한다.
內格은 通變星에, 外格은 木, 火, 土, 金, 水의 좋은 五行으로 格을 定하는게 普通이다.
출처 : ▶ 사주 교실 - cafe.naver.com/sajuboa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