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두릅의 효능
페이지 정보
본문
땅두릅의 효능과 이용에 관하여 알아보기
땅두릅은 한줄기로 곧게자라 바람이 불어도 꿈쩍하지 않는다. 그런데 바람이 안 불때는 신기하게 홀로 움직인다 하여 옛부터 그렇게 불리워졌다고 한다. “토당귀”, “뫼두릅”, “독활” 로도 불리며 우리나라 전역에 야생하는 오갈피 나무과에 속하는 대형 여러해살이 풀이다.

줄기는 곧게서고 원줄기는 갈라지지 않으며 긴 가시가 발생한다. 키가 1.5m가량되는 큰 풀이지만 속은 비어있어 단단하지 못하다. 7~8월경에 연녹색의 꽃이 피는데 꽃차례는 가지 끝에 달리고 갈색털이 있다. 열매는 둥근 모양의 액과이며 검은 자주색으로 9~10월에 익는다. 땃두릅은 봄이나 가을에 뿌리를 캐서 씻어 말린후 사용한다.
*. 효능알아보기.

예전에는 독활의 별칭을 “강활” 이라 하였는데 현재
에 와서는 독활 가운데 좋은 것을 “강활”이라 하기도
한다.
독활은 강활보다 진통효과가 강하지만 바람을 내보내
는 효과는 못하다. 그렇기 때문에 임상에서는 류머티
스, 관절통에 두 개를 모두 사용한다.
독활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쓰이는 오갈피 나무과의 땃
두릅을 뜻하는데 이과에 속하는 식물들에는 강장성분
이 있다.
뿌리에는 정유, 스테이린산, 수지, 살리찔산
과 미량 원소로 동, 망간, 니켈 등이 들어 있다. 잎에
는 0.6%의 정유가 있으며 향기는 주로 피넨(pinene)
냄새이다.

1. 풍습, 진통작용.
신경, 간경, 소장경, 방광경에 작용하며 풍습을 없
애고 아픔을 멈추게 한다. 땃두릅은 이미 약리실험
에서 해열, 진통, 진경, 소염작용, 피 응고촉진작
용,강심, 혈압낮춤 작용등이 있음이 입증 되었다.
2. 거습, 퇴열작용.
독활은 발한작용은 약하나 거습작용은 뚜렷하다고
한다. 독활에는 안겔롤, 안겔리콘, 스코플레틴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풍습에 의한 비통(痺痛)을 제거
하는 작용이 있으며 급, 만성 어느 관절통에도 적
합하다고 한다.
3. 심폐기능 강화.
땃두릅 뿌리 추출액은 동물실험에서 심장운동을 강
화하고 심장수축의 진폭을 크게 하는 것으로 밝혀
졌다고 한다. 또한 숨쉬기, 장윤동 운동을 항진시
킨다고도 한다.
*. 이용하기.
1. 반찬으로 이용하기.
주로 어린순을 나물로 먹으며, 어린줄기 껍질은 벗
겨서 날것으로 된장이나 고추장에 찍어 먹는다.
2. 급성관절염일 때.
통증이 매우 심한경우에 강활과 함께 사용한자. 진
교와 방풍을 가미하면 거습지통(祛濕止通)효과가
한충 강화된다고 한다. 또한 관절염에는 독활로 약
술을 만들어 마시면 다발성 관절 염증을 일으킨 통
증이나 환부가 부은 경우에 좋다고 한다.
3. 감기로 인한 근육통.
주로 감기초기에 퇴열을 위해 사용하는데 열이 별
로 높지는 않으나 잘 안내려가며 근육이나 관절통
을 수반하는 경우 방풍, 강활, 생강을 배합해 땀을
발산시키고 풍습을 제거한다.
4. 효소 담그기.

1. 채취한 독활뿌리와 줄기와 잎을 깨끗하게 씻어
서 물기를 제거한다.
2. 용기에 독활을 넣고 흑설탕을 같은 비율로 넣고
상부를 설탕으로 밀봉시킨다.
3. 서늘한 그늘에서 보관한다.
출처 : 몸의 건강을 지켜주는 약초 - kby8478.blog.me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