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커홀릭 우울증] 열심히 일한 워커홀릭이 결국 우울감에 빠지는 이유?
페이지 정보
본문
[워커홀릭/워커홀릭 우울증] 열심히 일한 워커홀릭이 결국 우울감에 빠지는 이유?
일 중독에 빠진 사람을 흔히 워커홀릭이라고 합니다.
한 때 유행했던 광고 카피중에 '열심히 일한자, 떠나라' 는 말도 있듯이
열심히 일하는 워커홀릭일 수록 적당한 휴식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현실의 워커홀릭들은 그러지 못하고 우울감에 빠져들기 십상입니다.

이들 워커홀릭은 '새벽별 보기'를 밥 먹듯이 합니다.
새벽에 나갔다가 늦은 밤에 퇴근하기 일쑤.
평일 뿐만 아니라 주말에도 대부분의 시간을 사무실에서 보냅니다.

특히 하루종일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직종이라면 햇빛볼 시간조차 없습니다.
이들은 열정적으로 일에 몰두하며 자기 만족에 빠지지만 우울감에 빠질 확률이 높습니다.

캐나다 토론토대 니콜 프라삭리더 박사팀이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PET)를 이용해 두뇌를 관찰한 결과,
햇빛 노출 빈도에 따라 세로토닌 분비가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세로토닌은 행복감을 느끼게 하고 힘든 일을 겪었을 때
이를 극복하게 만들어주는 신경전달 물질입니다.

적당한 햇빛을 쬐면 세라토닌이 많이 분비돼 사람들이 더 긍정적이고
활동적으로 변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외국의 선진 기업일수록 직원들에게 적정 휴식을 보장하고,
야외활동을 권하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일에 빠진 직원들이 햇빛볼 시간조차 없다면
이는 사주에게도 불행의 단초가 될 수 있습니다.

세로토닌 분비가 적어진 직원들이 온통 우울감에
휩싸인 상황을 상상해세요.
일이 바쁘더라도 점심 식사후 20분 정도 야외에서 산책하는 습관을 들여보록 합시다!
출처 : [워커홀릭/워커홀릭 우울증] 열심히 일한 워커홀릭이 결국 우울감에 빠지는 이유?
- blog.daum.net/call_pass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