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우를 이용한 민간요법
페이지 정보
본문
무우를 이용한 민간요법
무는 겨자과에 속하는 1년생 식물로서 키는 60 ~ 100cm 가량 자라며, 연한 보라색의 꽃을 피운다. 뿌리는 희고 살이 많으며, 겉모양으리 잎이 뿌리에서 더부룩하게 뭉쳐서 나며 잎과 함께 식용과 약용으로 사용된다. 중잉 아시아가 원산지로 아시아, 유럽 등지의 온대 지방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 연탄가스의 중독에는 생무우즙을 만들어 먹인다. 위장병이 있는 사람은 생강즙을 조금 넣어서
먹이는 것이 좋다. 그러나 먹이기전에 통풍이 잘되는 장소로 이동 시키고, 이불을 덮어 체온이
내려가지 않도록 함이 중요하다.
*. 발의 악취나 낭습증에는 무를 큼지큼직하게 썰어서 물에 끓인다음 소금을 타서 몇차례 씻으면
효과가 있다.
*. 딸꾹질과 위산과다증에는 생무우의 즙과 술을 각각 1컵씩 섞은다음, 여기에 생강즙을 조금타서
식후마다 복용하면 좋으며, 특히 장기적인 복용은 매우 효과가 크다고 한다.
*. 노인의 해소나, 천식, 또는 소화불량에는 무 씨를 볶아 노랗게 가루를 만든후에 꿀에 개어서 녹
두알 크기로 환약을 만들어서 , 이것을 1회 30~50알씩 하루에 3~5회 복용하되, 입에 넣어
녹여서 넘기는 것이 가장 좋다.
*. 당뇨병으로 갈증이 심할경우에 생무우로 즙을 내어 조금씩 자주 마시면 효과가 좋다. 그러나
이즙을 마신후에 위가 쓰리면, 속히 밥물이나 우유를 1컵 마시는것이 좋다.
*. 음주로 인한 토혈은 무즙 1그릇에 소금을 약간 넣어 마시면 즉시 멈추게 된다.
*. 종아리 부분의 종기에는 흰 무를 껍질만 벗겨서 물에 삶아 , 이것을 식힌 다음 환부에 붙이는데
, 1일 4번정도 교환해주면 효과가 있다. 종기의 증상이 심하면 1주일정도 계속해주면 된다.

출처 : 몸의 건강을 지켜주는 식품 - kby8478.blog.me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