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역야(易者曆也)
페이지 정보
본문
易者曆也
1, 易이란 曆이다(정역).
2, 정자는 역전서에서 變易易也라고 하였다.
3, 주역에서는 易者象也라고 하였다.
4, 서경에서 天之曆數在爾躬 允執厥中이라고 하여 易이란 曆(天之曆數)이다라고 했다.
--易은 曆(天之曆數)으로서 360일 正易(日月이 바른 易)이어야 易이 曆이라고 할 수가 있다. 原天易에서 볼 때 366일, 360 1/4일 閏易(日月이 바르지 아니한 易)은 항상 장구하게 쓰일 수가 없다. 易은 1(태극)에서부터 數가 10(무극)에 이르면 다시 1(태극)으로 돌아온다. 1(태극)으로부터 행하는 것은 逆生, 10(무극)에 달하는 것은 倒成이다(逆生而倒成). 1(태극)으로부터 10(무극)으로 올라가는 것은 逆生倒成, 10(무극)에서 1(태극)으로 내려오는 것은 倒生逆成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선천이 후천이 되는 것이다.
출처 : 易者曆也 - cafe.daum.net/204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