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관(偏官)의 용신법
페이지 정보
본문
편관(偏官)의 용신법
사주원국의 비겁이 많아 일간이 신왕(身旺)할 때는 관성을 용신하고 재성을 희신으로 삼지만 일간도 신왕하고 편관(偏官)도 태왕하면 편관을 용신으로 삼지 못하며 식상(食傷)으로 제살하여야 한다.
이것은 일간이 신왕하면 식상/재성/관성 삼자를 용신하는 법칙에 위배되는 것이며 이렇게 일간이 강하고 편관(偏官)의 기운도 강하면 신강/신약을 불문하고 식상으로 일간의 기운을 누출시켜 다시 식상으로 하여금 강한 편관을 제살하는 식상(食傷)을 용신한다.
그러나 일간이 신약한 중에 편관이 강하면 신약한 일간을 생조하는 인성과 비겁 및 식상을 용신으로 삼는데 사주 격국에 따라 화살-제살-적살-합살로 구분하여 용신을 설정한다.
가).화살(化殺) : 인성(印星)으로 살인상생(殺印相生)
화살(化殺)이란 강력한 편관을 인성(印星)으로 흡수하여 다시 일간을 생조하는 법칙을 말하며 이를 관인상생(官印相生)/살인상생(殺印相生)이라 한다.
나).제살(制殺) : 식상(食傷)으로 제살(制殺)
사주원국의 인성이 없으면 강력한 편관의 기운을 일간에게 연결하지 못하게 되는데 그렇다면 일간의 기운을 누출시켜 힘을 받은 식상으로 하여금 편관을 가격하여 일간을 구조하게 된다. 이것을 제살(制殺)이라하며 식상제살(食傷制殺)의 법칙이라 한다.
다).적살(敵殺) : 비겁으로 적살(敵殺)
일간이 신약한 중에 강력한 편관을 억제하거나 순화시키는 인성이나 식상이 없어 편관의 흉폭 성을 견제할 수 없다면 일간의 동기인 비견/겁재를 한 곳으로 뭉쳐 강력한 편관의 기운을 막아줘야 하는데 이를 적살(敵殺)이라 한다.
라).합살(合殺) : 양인(羊刃)으로 합살(合殺)
일간이 신약한 중에 강력한 편관을 억제하거나 순화시키는 인성/식상이 없어 편관의 흉폭 성을 견제할 수 없는 경우 양인이 편관과 합을 하여 편관의 흉폭 성을 순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예제-1) 甲 일간 사주
예제-2) 乙 일간 사주
출처 : 편관(偏官)의 용신법 - cafe.daum.net/204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