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간론 - 정(丁) ll
페이지 정보
본문
2, 丁火와 12地支의 관계
1), 丁火가 子(壬,癸)水를 만나면(편관) 절궁이요, 子중癸水에 水剋火를 당하며 丁癸로 충패되어 몰화된다.
2), 丁火가 丑(癸,辛,己)土를 만나면(식신) 태궁이라고는 하나 한랭지토요 습토로서 회기되며, 丑중癸水로부터 충패 당하여 완전하게 몰화된다. 그러나 丁화가 왕하여 있으면 재고(巳酉丑)로서 없어서는 안될 귀성이 된다.
3), 丁火가 寅(戊,丙,甲)木을 만나면(정인) 조목이요 寅중丙火가 있어 왕한 水를 만나도 무섭지 않으니 水生木 木生火로 관인상생이 되어 화식되지 않고 오래토록 화기가 지속될 수 있다(정인 어머니의 공덕).
4), 丁火가 卯(甲,乙)木을 만나면(편인) 비록 木生火를 받는다고는 하나 습목이 되어 적은 불이 종내는 화식되고 마니 차라리 만나지 않는 것만 못하다. 등촉화로서 卯木 습목과 거센바람(풍목)에 의하여 결국은 화식되고 만다.
5), 丁火가 辰(乙,癸,戊)土를 만나면(상관) 상관이요 습토로서 몰화가 되는데 만약 寅卯木을 만나 木국으로 득국을 하게 되면 木生火를 받아 火가 더 강하므로 살아난다.
6), 丁火가 巳(戊,庚,丙,)火를 만나면(겁재) 왕궁으로서 제자리를 찾아 힘을 얻고 동시에 巳중丙火의 방조를 받아 더욱더 즐거우나 주중에 丑土나 酉金을 만나면(巳酉丑) 金으로 변한다.
7), 丁火가 午(丙,己,丁)火를 만나면(비견) 관궁, 녹궁으로서 즐거운데 이는 午중丁火가 있기 때문이다.
8), 丁火가 未(丁,乙,己)土를 만나면(식신) 火生土로서 회기가 될 것 같으나 조토요 未중丁火가 있고 유월절의 여름토로서 미약하나마 火기가 남아 있어 착근을 하게 되니 힘이되고 있는 것이다.
9), 丁火가 申(己戊,壬,庚)金을 만나면(정관) 丙火와 같이 화식이 되나 申중壬水와 丁壬으로 합木이 된다.
10), 丁火가 酉(庚,辛)金을 만나면(편재) 丙火와 같이 화식된다.
11), 丁火가 戌(辛,丁,戊)土를 만나면(상관) 입묘요, 상관으로서 설기되어 화식되고 마니 양화와 음화의 차이점이 여기에 있다.
12), 丁火가 亥(戊,甲,壬)水를 만나면(정관) 水剋火를 당하여 화식되는 것이나 지지에 득국을 하고 丁火가 왕하여 있으면 亥중壬水 정관과 甲木 정인을 얻는다(일거양득).
출처 : 천간론(丁) - cafe.daum.net/204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