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신-상관격의 조후법칙(調候法則)
페이지 정보
본문
식신-상관격의 조후법칙(調候法則)
1.木-火 식상격
木-火 식상격은 甲 또는 乙 일간이 巳-午-未 월에 출생한 사주를 말하며 이런 사주는 더운 여름에 태어나 건조하기 때문에 조후법 준한 인성 水氣를 용신으로 삼는다.
나아가 木-火 식상격은 사주 내 인성 水氣가 있으면 사주원국이나 운로에서 관성 金氣를 보아도 무방한데 이는 관성 金氣가 金生水-水生木으로 관인상생의 이치를 실현하기 때문이다.
2.火/土 식상격
火/土 식상격은 일간이 丙火/丁火이고 사주 내 土氣가 식신/상관이 되는 것을 말하며 관성 水氣가 없거나 아주 미약해야 한다.
그것은 火/土가 왕성한 사주에 관성 水氣가 있게 되면 강력한 火/土를 충하여 불리한 것이며 이것을 상진(傷盡)이라 칭한다.
다만 습토인 辰/丑 土氣가 사주에 있게 되면 강력한 火/土의 기운을 다스릴 수 있기 때문에 이때는 사주 내 관성 水氣가 있거나 대운/세운에서 관성 水氣를 만나도 무방하다.
3.土/金 식상격
戊土/己土 일간이 申/酉 월에 출생한 사주를 말하며 이런 사주는 과하게 습하기 때문에 조후법 준한 인성 火氣를 만나야 길해진다.
4.金/水 식상격
金/水 식상격은 庚/辛 일간이 亥-子-丑 월에 출생한 사주를 말하며 이런 사주는 추운 겨울에 태어나 조후법상 시급히 관성 火氣를 필요하게 된다.
특히 金/水 식상격은 火/土 식상격과 달리 관성 火가 사주속에 있거나 운로인 대운/세운에서 관성 火氣를 만나야 길하다.
5.水/木 식상격
水/木 식상격은 壬/癸 일간이 寅/卯 월에 출생한 사주를 말하며 이런 사주는 재성 火氣를 만나면 식상생재격이 되어 길하게 되는데 만약 水氣가 왕성하면 관성 土氣를 만나도 아주 심하게 신약이 안 되므로 길하게 된다.
출처 : 식신-상관격의 조후법칙(調候法則) - cafe.daum.net/204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