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에서 천지(天地)의 개념정리
페이지 정보
본문
천지(天地)
1, 天地 : 하늘과 땅, 乾坤. 음양,
*, 일반적으로 天地라함은 공간적인 형태를 말하고 乾坤이라함은 시간적인 형태를 말한다.
*, 그러나 때로는 天地를 시간적인 형태로 말하는 경우도 있다. 즉 천지합덕, 선천후천, 선천지천지, 천지삼원, 천지지천 등에서이다.
2, 天地之道 : 旣濟未濟, 수리가 倒逆하는 사이에 水火와 火水의 象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 倒 : 7화,6수=미제, 2화,1수=미제
*, 逆 : 1수,2화=기제, 6수,7화=기제
3, 天地之度 : 천지가 가는 도수, 천지도수는 무한한 것이 아니라 무한성을 띄는 十에서 그친다.
4, 天地之數 : 천지의 數의 합, 日月의 數, 360數(정역), 360 1/4數(문왕역), 366數(복희역)
5, 天地출입 : 천지가 출입하는 문이 金火門이다. 天理가 금화문으로 출입하는 모습이다.
6, 日月이 선천에서는 天地合德하고 후천에서는 地天合道한다.
7, 天地合德 三十二 : 황극체위수(戊戌~己巳) 32數에 합덕한다는 뜻이다.
8, 天地장관雷風宮 : 천지에 웅장한 것은 雷風의 집이라는 것, 천지가 뇌풍궁인데 그 형상이 웅장해 보기에 장관이라는 것이다. 뇌천대장=장관, 천지장관에 雷風이 정위하여 뇌풍궁이 된다.
9, 天地三元 : 천지인, 하도 낙서 성인, 선천의 삼오착종 삼원수, 地天과 상대되는 선천의 天地를 말한다.
10, 天地之分 : 日月, 十五 乾坤數를 한 단위로 하여 쌓은 것이 十五分 一刻이 된다.
11, 天地경위 2,800년 : 복희괘 이후 300년에 문왕괘가 나오고 그 후로 천지가 기울어져 위태롭게 된 것이 2,800년이라는 것이다. 맹자는 人將相會의 悖逆相이라고 말했다.
12, 天地地天 : 선천=천지, 후천=지천, 1,3,5,7,9數로서 선천의 三天兩地, 2,4,6,8數로서 후천의 三地兩天,
13, 天地청명(光華) : 淸明=화명금청, 日月로 연결되며 金火의 속성을 말한다.
출처 : 역학에서 천지(天地)의 개념정리 - cafe.daum.net/204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