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오행의 生成
1), 엄지손가락은 太極으로서 土이다. 土는 각 계절에 끼어서 중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辰(3월,봄)未(6월,여름)戌(9월,가을)丑(12월,겨울)
2), 음양(천지)와 오행
내선천 |
생수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先本 |
천 |
지 |
천 |
지 |
천 |
지 |
천 |
지 |
천 |
지 |
외후천 |
성수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
後末 |
생수 |
생수 |
생수 |
생수 |
생수 |
성수 |
성수 |
성수 |
성수 |
성수 |
*, 內선천-생수, 선본 外후천-성수,후말
*, 1~5까지는 생수(체,내)이고 6~10까지는 성수(용,외)이다. 중앙5,10은 5는 황극 10은 무극으로서 중심수이다.
*, 生數와 成數가 모든 陰陽으로 내외 배합하여 四象에서 五行을 생성하기 때문에 1은 陽水 6은 陰水, 2는 陰火 7은 陽火, 3은 陽木 8은 陰木, 4는 陰金 9는 陽金, 5는 陽土 10은 陰土이다.
--이웃하는 陰陽은 서로 상부상조해서 사는 형제 이웃 사회를 만들고 먼데 있는 陰陽은 서로 혼인(合德)을 하는 陰陽으로서 생물이 나온다(五行의 生成작용).
가, 1양과 6음-水, 2음과 7양-火, 3양과 8음-木, 4음과 9양-金, 5양과 10음-土은 혼인(合)을 한다.
나, 天數를 합하면 25이고 地數를 합하면 30이므로 天地數 55인데 이 천지수는 모든 변화를 이루고 귀신의 작용을 한다.
다, 1년 360일을 五行으로 나누면 72일이다. 72일을 辰戌丑未 4土로 나누면 18일이다. 봄의 경우 정월,이월(寅卯)의 60일과 삼월의 전반부 12일(여기9+중기3)을 더한 72일이 木왕지절이 되고 나머지 18일간은 土왕지절이 된다.
라, 五行의 순서는 水→火→木→金→土이다. 물은 하늘(1陽)에서 생겨(生) 땅(6陰)에서 이루어지고(成), 불은 땅(2陰)에서 타올라(生) 하늘(7陽)로 올라가고(成), 나무는 하늘(3陽)에서 씨가 떨어져(生) 땅(8陰)에서 무성하게 자라며(成), 쇠는 땅(4陰)속에서 파내어(生) 세상(9陽)에 모두 쓰이는(成) 것이고, 흙은 한 알갱이(5陽)의 흙이 모여 쌓이는(10陰) 것(成)이다.
마, 數라는 陰陽에서 象인 四象으로 四象에서 물체인 五行이 나온다.
3), 五味와 五體
水 : 鹹(짠 맛), 수체-아래가 빠르다.
火 : 苦(매운 맛), 화체-위가 좁다.
木 : 酸(신맛), 목체-얼굴이 길다.
金 : 辛(매운 맛), 금체-얼굴이 모나다.
土 : 甘(단맛), 토체-얼굴이 둥글다.
@, 「연해자평」의 五行의 相生과 相剋
◉ 印(正印,偏印)
-金은 土에게 생조함을 얻지만 土가 많으면 金이 파묻힌다. 土는 火에게 생조함을 얻지만 火가 많으면 土가 메마른다. 火는 木에게 생조함을 얻지만 木이 많으면 火가 질식한다. 木은 水에게 생조함을 얻지만 水가 많으면 木은 표류한다. 水는 金에게 생조함을 얻지만 金이 많으면 水는 탁해진다.
◉ 傷傷(食神,傷官)
-金은 水를 능히 생하나 水가 많으면 金이 가라앉는다. 水는 木을 능히 생하나 木이 많으면 水가 졸아든다. 木은 火를 능히 생하나 火가 많으면 木이 타버린다. 火는 土를 능히 생하나 土가 많으면 火가 빛을 잃는다. 土는 金을 능히 생하나 金이 많으면 土가 변질된다.
-强金이 水를 얻으면 그 날카로움이 부드러워진다. 强水가 木을 얻으면 그 기세가 유통된다. 强木이 火를 얻으면 그 완고함이 없어진다. 强火가 土를 얻으면 그 뜨거움이 식는다. 强土가 金을 얻으면 그 막힘이 해소된다.
◉ 財(正財,偏財)
-金은 木을 능히 극하나 木이 많으면 金은 이그러진다. 木은 土를 능히 극하나 土가 많으면 木은 부러진다. 土는 水를 능히 극하나 水가 많으면 土는 떠내려간다. 水는 火를 능히 극하나 火가 많으면 水는 고갈된다. 火는 金을 능히 극하나 金이 많으면 火는 꺼진다.
◉ 官殺(正官,七殺)
-金이 旺하면 火를 얻어야 비로소 그릇을 이룬다. 火가 旺하면 水를 얻어야 비로소 서로 돕는 공을 이룬다. 水가 旺하면 土를 얻어야 비로소 연못을 이룬다. 土가 旺하면 木을 얻어야 비로소 소통의 공을 이룬다. 木이 旺하면 金을 얻어야 비로소 대들보를 이룬다.
-金이 약한데 火를 보면 金은 녹아 없어진다. 火가 약한데 水를 보면 火는 꺼져버린다. 水가 약한데 土를 보면 水는 막힌다. 土가 약한데 木을 보면 土는 무너진다. 木이 약한데 金을 보면 木은 부러진다.
9, 五行의 통변성
•, 五行주류격 : 사주중 오행이 목1,화2,토2,금1,수2로 막힘이 없이 주류하는 格
•, 十星(통변성)주류 : 비견→상관→편재→편관→편인으로 막힘이 없이 계속 이어지는 格,
-子平學은 논명할 때에 五行과 四時의 관계를 가장 중요한 관건으로 삼아 일주 천간 命主가 어느 月, 어느 節氣에 태어났는가를 정하고 십이운성 및 五行의 旺相休死囚의 관계를 중시하였던 것이다. 월과 절기가 같더라도 日干의 五行이 무엇이냐에 따라 일간의 旺衰强弱이 달라지는 것이고 사주의 천간과 지지, 일간의 生剋制化와 會合刑沖, 천간에 투출함과 지지에 감추어짐이 중요한 판단의 근거가 된다. 그 외에도 일간의 喜忌를 살펴서 항상 정상적 격국과 변화된 격국인 특별격국(외격, 잡격)을 구분하여 다른 법칙으로 판단했던 것이다.
10, 五行의 喜忌
1), 日干이 木에 속할 때 반드시 木勢의 盛衰를 구분해야 한다.
-木이 重하고 水가 多하면 이것은 盛이다. 이때는 金을 用하여 木을 극한다. 金이 없거나 미약하여 木을 극할 역량이 없을 경우에는 土를 用한다. 木이 미약하고 金이 강성하면 일주가 衰하므로 火를 써서 金을 제압한다. 火가 없거나 힘이 약하여 金을 제압할 수 없을 때는 木을 用한다. 水가 많아 木이 표류할 경우에는 土를 써서 水를 제한다. 火는 그 다음으로 쓴다. 土가 많아 木이 부러질 경우에는 木을 用하고 水는 그 다음으로 쓴다. 火多하여 나무가 탈 때는 水를 用하고 金은 그 다음으로 쓴다. 일간 木이 득시,득세하여 왕함이 극에 이르렀을 때는 火를 써서 왕한 기운을 설기시킨다.
2), 日干이 火에 속할 경우에는 우선 火力의 旺衰를 분별한다.
-火가 많고 木도 많으면 旺이므로 水를 用하여 火를 극하는 것을 먼저 생각하고 그 다음으로 水가 적어 힘이 없을 경우에는 金을 用한다. 火弱하고 水旺할 경우에는 火가 衰한 상태이므로 土를 用하여 水를 제하고 土가 적으면 火 역시 可하다. 木多하여 火가 꺼질 상황이면 火를 用하고 金으로 木을 극하는 것은 그 다음의 방법이 된다. 金多하여 火가 꺼지는 상황이면 우선 火를 用하고 木은 그 다음으로 쓴다. 土多하여 火가 빛을 흡수당하면 木을 用하고 水는 그 다음으로 用한다. 일간 火가 득시,득세하여 극도로 왕하면 土로써 火의 왕성한 기세를 설기시킨다.
3), 日干이 土일 경우에는 土의 두텁고 얕은 상황을 살펴서 用神을 정해야 한다.
-土重火多하면 厚한 土이므로 木을 用하여 소통하고 木이 약하면 水로 木을 돕는다. 土少木多하면 얕은 흙이니 金을 用하여 木을 제어하는데 金이 약하면 土 역시 可하다. 火多하여 土가 메마르고 뜨거우면 水를 用하여 火를 제하고 金은 그 다음으로 用한다. 일간이 득시,득세하여 극왕하면 金으로 왕한 土氣를 설기시킨다.
4), 日干이 金이면 먼저 金質의 老와 嫩의 상태를 분별한다.
-金多土厚면 老金이니 火로 煉金하고 火少할 때는 木 역시 可하다. 木重金輕하면 嫩金이므로 土를 用하여 金을 生하는 것이 원칙이며 土가 薄하면 金 역시 可하다. 土多하여 金이 매몰되면 木을 用하고 水는 그 다음으로 用한다. 水多하여 金이 가라앉으면 土를 우선 用하고 火는 그 다음으로 用한다. 火烈하여 金이 傷하면 水를 用하고 金은 그 다음으로 用한다. 일간 金이 극왕하면 水를 用하여 극왕한 金氣를 설기시킨다.
5), 日干이 水일 때도 먼저 水勢의 大小를 구별한다.
-水多金重하면 大하니 土를 用하여 水를 막고 土少하다면 火를 보아도 可하다. 水少土多하면 小한 상태이니 木을 用하여 土를 극하고 木少하다면 水가 있으면 用한다. 金多水濁하면 火를 취하고 木은 그 다음으로 취한다. 火炎水熱하면 水를 우선 用하고 그 다음으로 金을 用한다. 木多하여 水가 줄어들면 金을 우선 취하고 土는 그 다음으로 취한다. 水가 극왕하면 木으로 설기한다.
11, 한글의 五行과 五音
--상생의 원리, 모음은 天(‵)地(−)人(∣)을 기본으로 이루어져 있다.
木(가) : 각, 牙음(어금니소리), 뿌리, ㄱ,ㅋ,
火(나) : 치, 舌음(혀소리), 動, ㄴ,ㄷ,ㄹ,ㅌ,
土(마) : 궁, 脣음(입술소리), 상하조절, ㅁ,ㅂ,ㅍ,
金(사) : 상, 齒음(치아소리), 단단함, ㅅ,ㅈ,ㅊ,
水(아) : 우, 喉음(목구멍소리), 본원, ㅇ,ㅎ,
*, 가나다라마바사아차타파하는 오행의 상생원리이다.
*, 훈민정음에서 모음은 천( ˋ ),지(-),인(∣)을 기본으로 이루어졌다.
출처 : 오행론-정리 - cafe.daum.net/2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