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절기론(節 氣 論) |
파이팅
2017-10-02 (월) 10:53
조회 : 1267
|
|
節 氣 論
@, 二十四節氣(節氣曆)
1, 自然氣象의 원리이다.
2, 閏年은 3년에 한번 들며 1년 365,25일중 1년을 360일로 기준으로 하면 5,25일이 남아서 5년에 2차 閏年이 든다.
3, 12節,12氣 : 12節-월령변화의 요소, 15일(節과 節사이가 31~34일이 되는 경우가 있다). 節氣란 태양의 황도상의 위치에 따라 정한 계절적 구분을 말한다. 月初에 해당하는 것을 節이라하며 月中에 있는 것은 氣라 하는데, 24節氣는 12節과 12氣로 되어 있는 것이다.
4, 12候(氣)-중기,
5, 1년=365.25일로서 황도를 따라 운행하는 태양의 분도이다.
6, 기준 : 春分과 秋分-밥낮의 길이가 같다.
夏至-밤이 가장 짧다.
冬至-밤이 가장 길다.
7, 72候-春分기준
1년÷24節氣=15일÷3=5일, 節氣에서 5일이 1候가 되고 3候가 1氣가 되고 6候가 1節이 된다. 1년을 사계절, 12개월, 24절기(월초=12節, 월중=12氣), 30일, 24시간, 72候로 나눈다.
8, 1년을 360일로 하면 24등분한 1節氣가 15일이 되고, 그 1節氣를 3등분하여 5일씩 나누어 1년을 72候로 나눈다. 절기에서는 5일을 1候, 3候를 1氣, 6候를 1節이라 하여 1년을 72侯와 24節氣로 나눈다.
9, 기후의 변화는 갑자기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라 1候에 해당하는 5일정도의 경과에 따라서 변화를 느낀다(기후변화의 최소단위=候). 1候가 지남에 따라 더위와 추위는 물론 濕氣 등이 변한다. 꽃들은 꽃망울을 터뜨린 날로부터 5일(1候)이 지나면 滿開하고, 잔디도 자른 날로부터 5일(1候)정도 지나면 정돈된 새 모습을 갖추게 된다.
10, 1년을 五行으로 나누면 72일(2개월 12일)이 된다.
11, 辰戌丑未(9,3,18)=72일(18일*4계절)
(辰정기-18, 戌정기-18일, 丑정기-18일, 未정기-18일)
-여기는 전월의 여기, 중기는 전계절의 여기, 정기는 해당오행의 본기
12, 당해節氣의 입절일시분초에서 그 달의 초하루가 시작되고 다음절기의 입절일시분초 전까지 그 달의 말일이 된다.
13, 太歲란 당해년 立春에서 다음년 立春전까지를 말한다.
14, 季節과 氣候가 일치하는 기준점을 근원으로 달력의 날을 나누어 정한 것이 24절기이다. 24절기의 구분은 처음에는 冬至를 기점으로 해서 1년을 24등분하여 15일마다 한 절기를 두고 그 계절에 맞추어서 이름을 붙였는데 나중에는 春分을 기점으로 해서 지구에서 태양이 보이는 궤도인 黃道 360도를 24등분하여 태양이 15도씩 황도 위를 움직이는 위치에 해당하는 날을 24절기로 정한 것이다.
출처 : 절기론(節 氣 論) - cafe.daum.net/20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