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사주이야기22> 십이지 관점 - 신(申),유(酉)
페이지 정보
본문
申
NO |
출처 |
내용 |
물상/특징 |
1 |
상형문자
(설문해자) |
① 번갯불. 번갯불의 뜻은
電(전)으로 쓰게 됨.
② 申은 引(인☞끌다)과
음ㆍ뜻이 모두 관련 깊음. |
번갯불, 끌다
(質)
|
2 |
三命通會 |
申은 명도(名都). 申은 坤의 자리에 위치하고, 坤은 땅이 되며 그 體가 지경이 없음이라 名都가 아니면 比喩할 수 없음. |
유명 도시
(質)
|
3 |
사주학 기초
(리지청) |
① 번개.
옛날에는 과학과 문명이 발달하지 않았기 부정적인 초자연적인 존재를 귀(鬼)라 했고, 그 반대로 사람들에게 은혜를 베풀고 끼치는 초자연적인 존재를 신(神)이라고 했음.
② 申은 천둥과 번개가 내리칠 때 번갯불이 쫙 뻗치기 때문에, 뻗치다’라는 핵심적인 뜻을 품게 됨. 관련한자로는,
神(귀신 신) 紳(큰띠 신) |
번개, 뻗치다
(質)
|
특징 |
1. 삼명통회에서 申은 名都로 규정한 것은 전적으로 坤의 위상에 근거한 설명임. |
酉
NO |
출처 |
내용 |
물상/특징 |
1 |
상형문자
(설문해자) |
① 酉는 배가 잘록하고 끝이 뾰족한 술독 |
술독
(質) |
2 |
三命通會 |
酉는 사종(寺鐘). 酉는 金에 屬하며 그 위치가 戌亥에 가까이 있으니 戌亥는 天門이라 鐘을 두드리면 소리가 天門에 까지 울려 퍼지는 것. 또한 酉는 正西에 있으며, 西는 절(寺刹)이 되니 부처님의 世界. |
절의 종
(質)
|
3 |
사주학 기초
(리지청) |
① 술독
② 술은 제사와 연결. 제상에 닭을 주로 올림.
‘유’라는 소리는 술독에 입을 대고 마시려고 하니 술이 없어서 확인 하려고 불어 보니 나온 소리가 유~우 소리였다. 소리오행 음을 처음 사용한 사례. |
술독, 닭
(質)
|
특징 |
1. 술, 종교, 제사, 닭 모두 일관된 의미를 지니고 있음.
2. 삼명통회는 한 편의 詩처럼 酉를 설명하는 듯. |
출처 : <창작사주이야기22> 十二支物象, 通卽久! - blog.daum.net/twinstar4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