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사주이야기22> 십이지 관점 - 인(寅), 묘(卯)
페이지 정보
본문
寅
NO |
출처 |
내용 |
물상/특징 |
1 |
회의문자
(설문해자) |
① 臼(구). 양손으로 화살을 바로 펴고 있는 모양을 본뜸.
② 신농족의 여인들에게 장가든 황제족의 표시. 황제족의 토템은 호랑이. |
화살을 바로
펴는 모양,
황제족의 토템 호랑이와 연결
(質) |
2 |
三命通會 |
寅은 廣谷. 寅은 艮方에 속하고, 艮은 山이 되고, 戊土가 寅木에 長生하니 寅은 넓은 골짜기라는 뜻이 있음. |
넓은 골짜기
(質)
|
3 |
사주학 기초
(리지청) |
① 寅(범 인)은 사냥할 때 ‘화살’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그 끝에 줄을 매단 주살을 본뜬 모양.
② 관련한자
夤(조심할 인 演(설명할 연)
③ ‘범’은 늘 으르렁거리듯이 혼잣말을 중얼거리거나 불평불만도 잘 터뜨리는 경향. |
화살보존을 위한 주살을 의미
(質)
|
특징 |
1. 寅은 지지 중 유일한 회의문자.
2. 삼명통회에서 子, 丑과 비교해 처음으로 지지와 동물물상을 연결한 설명을 시도함.
3. 삼명통회의 지지 寅에 대한 설명을 읽다보면 십간 중 무토에 대한 설명과 다른 해석이 눈에 뜀.
즉, 십간에 대한 설명에서는 戊= 노을로 풀이했지만
“艮은 山이 되고, 戊土가 寅木에 長生하니…”라는 표현은
戊=山으로 사유했다는 흔적. |
卯
NO |
출처 |
내용 |
물상/특징 |
1 |
상형문자
(설문해자) |
① 문 양쪽 문짝을 밀어 여는 모양.
② 강제로 쳐들어가는 뜻. |
(이분된)문짝을 여는 모양 등 (質) |
2 |
三命通會 |
卯는 瓊林(경림). 卯는 乙木의 계열과 같으니 正東方에 위치.
만물을 생함이 푸른빛이 나는 구슬과 같아 瓊林이라 함. |
푸른빛의 구슬 같은 숲
(氣+質)
|
3 |
사주학 기초
(리지청) |
① 卯는 모험을 한다는 뜻이 있으므로 만물이 땅 위로 솟아 나려는 것과 같은 행위.
劉(죽일 류)의 본디 글자.
② 대문에 문고리가 두 개 붙어 있는 모양.
③ 칼 두 자루가 나란히 꽂인 것을 본뜬 모양.
④ 불알 반쪽으로 쪼갠 것을 본뜬 모양. 그래서 토끼는 정력이 없음.
⑤ 결국 卯는 ‘막다’ ‘무릅쓰다’ ‘가늘고 길다’ ‘흐르다’라는 핵심적인 뜻을 품게 됨.
관련한자,
茆(순채, 띠 묘) 柳(버들 류)
⑥ 卯는 좌우로 분리되어
초혼이 깨어지기 쉬움. |
솟아남, 대문과 문고리, 불알, 막다 등
(質)
|
특징 |
1. 삼명통회에서 다시 ‘子’처럼 방위, 색에 대한 설명으로 연결.
그러나 ‘푸른 빛’의 경우 단순이 방위와 연결된 색이 아니라, ‘만물을 생하는’ 기운을 강조하는 설명을 보임. |
출처 : <창작사주이야기22> 十二支物象, 通卽久! - blog.daum.net/twinstar4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