戊 癸 戊 甲 : 坤命(55)
午 卯 辰 午
.
74 64 54 44 34 24 14 04
庚 辛 壬 癸 甲 乙 丙 丁
申 酉 戌 亥 子 丑 寅 卯
.
사주풀이는 상생상극, 용신, 통변으로 대부분을 말할 수 있다.
사주에 목이 왕하다. 왕하면 상극법으로 취용해야 사주가
중화를 취하게 된다. 목의 상극오행은 금과 토이다. 금이 없고
토가 있어 토화용조가 되고 그중에 토가 용신이 된다.
무토진토가 용신이다.
.
토용신과 상생하는 오행은 화토금이고
상극하는 오행은 목수이다.
정대운이 들어오면 상생관계이니 유정하고 유덕하다.
정화는 편재이니 재물운 금전운이 좋아진다.
묘대운이 들어오면 토와 상극관계이니
식신활동과 재원이 장애물에 걸린다.
주변의 구설과 시비에 휘말리게 된다.
그러나 정화와 동주하고 있어 무난하게 흘러간다.
.
병대운은 장생과 동주하여 병화의 기가 약동을 하고
이것이 상생관계를 이루니 유정하고 유덕하다.
그래서 재물이 쌓이고 모이게 된다.
.
인대운은 목과 상극관계이나 인오화국을 이루고 병화와
동주하고 있는 무정무덕도 일시적인 현상이고
무난하게 수월하게 운이 받쳐준다.
.
을대운에 들어서면 용신과 상극관계이니 무정하고 무덕하다.
일을 하고 돈벌이를 하지만 제대로 풀리지 않는다.
오히려 건강만 나빠지게 된다.
축대운에 임하면 상생관계이니 일이 잘 풀려나간다.
그러나 축토는 수의 기운이 있어 호사다마이니
매사에 주의를 해야 한다. 관살혼잡이 되니
갈등과 대립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유정하고
유덕하니 주의 도움과 지원이 있고 사업운 순탄하게 풀려나간다.
.
갑목이 들어오면 용신과 상극이니 무토관성을 극거하는 상관운이
남편과 생사이별을 하게 된다. 상극관게이니 무정하고 무덕하게 된다.
사건사고가 속출하니 사건과 함께 남자가 사라진다.
자대운은 용신과 상극관계이니 무정하고 무덕하게 된다.
진토마져 자수가 가져가니 토의 상실이 크다.
배우자를 잃고 고통의 세월을 보내게 되고
눈물의 세월을 보내게 된다.
.
이어지는 계해 임대까지는 상극관계가 계속되고
고통과 눈물의 세월을 겪게 된다.
.
사주에 남자가 있어 결혼을 하게 된다.
무토남자가 용신과 상생관계이니 능력과 재력을 갖춘 남자를 만나게 된다.
다만 무토남자는 진토와 동주하고 백호와 동주하여
살이 될 가능성이 있다. 자수를 만나면 상극관계로 변하여
떠나면서 유정은 무정으로 유덕은 무덕으로 배신하고 만다.
.
남자는 기가 세고 건장하다. 20대중반에 결혼운이 들어온다.
그러나 결혼을 하면 상극관계에 들어가서 스트레스를 너무 많이 받게 된다.
여자가 남편을 아기다루듯이 한다. 하는 말과 행동이 간섭과 잔소리와
바가지로 변한다. 남편자리가 상극관계이니 무정하고 무덕하므로
남편복이 없다고 하겠다.
.
상극관계자리에 있으면서 상극살이 백호로 들어오고
이중삼중으로 살이 겹치는 갑자대운에 남편이 사망한 것이다.
출처 : 상극이 겹치면 흉살이 달려온다 - 정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