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격 남편복
페이지 정보
본문
癸 丙 辛 丙 坤 丁
巳 戌 卯 午 亥37
위에 사주가 남편에 대해서 만족하고 있는 것은 여러가지 조건이 눈에 들어 오는데
正印格이 일간(비겁)으로 신왕하면 권리와 권익을 보호 받고자 하는 의지입니다.
卯月 旺支 正印月이라 하나 比劫의 세력 또한 만만치 않으니 관용의 용도는
格生하고 比劫을 制하여 財를 救하는 抑用의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正印格과 일간의 상호관계에서 자기만족과 사회적 자질을 보는 것인데
정인격이 일간이 쇠하면 사회적 여건에 의지하며 자립의지를 보이고,
정인격이 일간이 왕하면 자립하며 자신의 권익을 지켜가고자 합니다.
재관의 사회적 기준과 상대적인 인비식의 나기준점이 인비식이 주도하고 있고,
다시 인비의 남편에게 받을 권리와 비식의 개인적인 삶의 욕망의 관계가 예의주시됩니다.
비식이 주도하여 생재하는 것을 외조 받으며 자기 꿈을 실현하는 것이라면,
인비가 주도하여 관인하는 것은 내조하는 아내로서의 소박한 삶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인비와 비식을 다시 인비식으로 하여 정인격 여명이 여자로서의 권익과 권리를
보호 받는 가운데 자아실현하여 더큰 행복과 만족을 누리려는 모습이기도 합니다.
또 다시, 인비식은 개인적 행복지수가 자기 만족과 안위에서 눈높이가 정해진다면,
재관은 사회가 정한 상대적인 행복지수로 하여 행복과 만족의 눈높이가 정해지게 됩니다.
원명은 인비식보다는 상대적으로 재관이 무력하니 재관중심으로 보면 소박한 분이고,
인비식중심으로 보면 자기 눈높이가 정한 행복기준에서 행복지수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물론 운로가 地支 북향하고 있고 干으로 劫으로 향하였으니 나름대로 안위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 지긴 했습니다만 이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면 구차해지게 되고,
원국도 파악 못하는 무지한 눈으로 운을 살핀다는 것은 곤란이와 다를바 없으니 참고,
오행상 목생화라는 생장적인 변화 발전적인 행보와 금생수라는 수장적인 상호관계에서
수생목 목생화로 하는 관인상생적 남편복은 현 시대를 사는 보통 사람에게 능히
자기 안위하며 변화를 모색하며 살아갈 수 있게끔하는 원동력이 된듯 합니다.
토를 중심으로 화생토 토생금으로 하는 식상생재는 재를 중심으로 하여 관의 보호속에
식상을 활용하는 것으로 꾸준히 안정적인 일을 만들어 가려는 이분의 활약상으로 보입니다.
여하튼 하여튼 남편복을 접근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접근 방법이 있을 것입니다.
원명은 취재하고 운로에서 쟁재하는 운세가 왔는데...
1. 取財, 爭財재하는데 官이 抑하여 財를 救할때,
2. 財生官할때 取財, 爭財하는 경우,
1번과 2번의 경우 남편복에 대한 체감온도는 많은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
출처 : 정인격 남편복 - blog.daum.net/02461468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