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자를 잘보려면
페이지 정보
본문
팔자를 잘보려면 팔자 공부를 열심히 해야지 저절로 되는 법은 없다.
사주팔자는 궁리의 학문이고 얼마만큼 고민하는가에 달려 있다.
이론으로 알고 있는 것을 얼마만큼 현실에 부합되게 활용하는가인데
기본기가 잘 닦여 있지 않으면 적용을 못하고 대입을 시키지 못한다.
한편의 영화를 보면서도 음양을 느껴야 하고 오행을 인식해야 한다.
처음이 모든 어려운 법이다. 알고보면 그보다 쉬운 것이 없다.
가령 지지의 합충변화로 형파해를 본다고 가정해 보자.
책마다 소개되어 있는 장점을 이것 저것 모아 적용해봐야 한다.
합은 왜 봐야 하고 충은 왜 봐야하고 스스로에게 의문을 던져야 한다.
합충도 음양으로 부터 출발한다. 합도 음양의 합이 있고...
합을 모르면 충을 모른다. 합을 이해해야 충도 이해하게 된다.
합의 종류는 많다. 각각의 합이 단지 책에서 무계합이라니까.
무계합이고 무계합화라는 말을 하면 더이상 발전하기 어렵다.
왜 무계가 합이되는 근원을 두었는지를 연구해 봐야 한다.
화하는 오행은 어떤 의미로 적용했는지도 연구해야 한다.
천간의 합은
오행으로는 상극하고
음양으로는 상합하고
화하는 오행의 의미는 12운성으로 대입해보면
생 사가 교차되는 시점이다.
무를 지지로 내리면 巳이고 계는 子이다.
子부터 내려가고 巳부터 오르기 시작하니
음양의 교차점을 화하는 12운성으로 기준하라는 것인가?
이런것이 고서나 일반책자에서는 각양각색으로
표현해 놓았는데 마음에 흡족하게 와 닿는 것은 없다.
적용하여 맞지 않는 이론을 잘 맞는 것인양 하면 곤란하다.
적용하여 잘 맞는 이론이라 해도 내가 쓸때 맞는 것이지
상대가 쓰면 안맞으니 이것은 오히려 혼돈스럽게 만드는 것이다.
일반적인 천간합을 볼때 자꾸 스스로에게 의문점을 가지고
봐야만 변화를 알게 된다는 뜻이다.
잘 맞는 이론이라는 말에 현혹되어 여과없이 받아 들이는
것은 큰 문제일 수 있고 스스로 혼돈속에 빠지는 것이다.
자기 자신에게 잘 맞는 명리를 찾는 것이 순리가 아닌가 싶다.
출처 : 팔자를 잘보려면 - blog.daum.net/02461468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