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역(正易)64괘 풀이
페이지 정보
본문
正易64괘 풀이
주역은 易 逆也 極則反 3變成道의 이치에 따라 午會중천에 화생토의 이치로 문왕8괘에서 정역팔괘로 바뀌게 된다. 복희8괘는 生易이요 문왕8괘는 長易이요 정역8괘는 成易이 된다. 천지의 丑土 대개벽이 일어나는 것이다. 한동석선생은 기울어진 지축이 정립한다는 秘奧를 밝히어 정역의 모든 면모를 드러낸 바 있다. 정역8괘는 복희와 문왕8괘에서 완전히 방향을 바꾸어 음은 양이 되고 양은 음으로 바뀌게 된다. 乾은 坤이 되고 坤은 乾이 되며, 坎離도 서로 바뀌고 震兌도 서로 바뀌며 艮巽도 서로가 바뀌어 버린다. 氣化의 주역 상경은 形化의 정역하경이 되고 주역하경은 정역상경이 된다. 주역의 상경은 乾坤에서 시작하여 坎離로 끝나고, 주역상경은 咸恒에서 시작하여 旣濟 未濟로 끝나지만, 정역 하경은 坤乾에서 시작하여 離坎으로 상경은 恒咸에서 시작하여 未濟 旣濟로 된다. 陰陽 上下가 서로 모두 바뀌는 것이다. 주역은 일월인 坎离에서 坎괘가 29번째에 당하나, 정역은 離坎으로 바뀌어 坎괘인 달이 30번째에 해당하니 閏달이 없어지고 30일 한달이 꼭 들어맞게 된다. 正은 理致(이치)의 極致(극치)라고 한다. 正은 中貞이요 易은 日月이다. 과거 성현이 易의 글자를 日과 月을 합하여 쓴 것이다. 正의 글자는 一에서 止한다는 것이다. 方直 不曲하여 一에서 止하고 不變한다는 것이다. 正易의 正名을 이해하면 주역도 이해가 쉽게 된다. 정역을 이해할 때에야 비로소 주역의 깊은 뜻을 알게 되는 것이다.
출처 : 십청 이곤의 정역원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