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柱 |
日柱 |
月柱 |
年柱 |
乾
命 |
|
偏
印 |
|
偏
財 |
食
神 |
|
庚
子 |
壬
申 |
丙
寅 |
甲
申 |
|
劫
財 |
偏
印 |
食
神 |
偏
印 |
|
旺 |
生 |
病 |
生 |
日柱 |
|
死 |
生 |
生 |
絶 |
各干 |
|
癸
酉 |
壬
申 |
辛
未 |
庚
午 |
己
巳 |
戊
辰 |
丁
卯 |
大
運 |
日主는 壬水이다.
월령(月令)은 초춘(初春)인 寅木月이다.
寅中의 정기장간(正氣藏干)인 甲木이 년간(年干)에 투출(透出)하였으므로 격국(格局)은 식신격(食神格)이다.
사주를 분석하고 용신(用神)을 정한다.
壬水 日主는 월령(月令) 寅木에 식신격(食神格)의 특성상 水生木하여 설기(泄氣)하므로 득령(得令)하지 못하며 寅中 장간(藏干)에 오행(五行)의 동기(同氣)가 없으니 뿌리도 내리지 못한다.
하지만 년일지(年日支) 申中 壬水와 시지(時支) 子中 癸水에 통근(通根)하여 뿌리를 내리고 득지(得地)한다.
또한 년일시지(年日時支)가 申子辰 삼합(三合)의 申申子이니 수국(水局)을 이루고 日主를 돕고 있으며 년일지(年日支)의 申金과 시간(時干)의 庚金이 도식(倒食)이니 일주는 태왕(太旺)하다.
도식(倒食)은 편인(偏印)의 별칭이다.
식신(食神)을 살펴보자.
년간(年干)에 투출(透出)한 甲木 식신(食神)은 월령(月令)이 관궁(冠宮) 건록(建祿)의 자리이니 녹근(祿根)할 뿐만 아니라 왕성한 수국(水局)의 생조(生助)를 받으므로 식왕유기(食旺有氣)하다.
월령(月令) 寅木에서 甲木 식신(食神)만 간투(干透) - 천간투출(天干透出)을 간투(干透)로 약칭하여 말한다. - 한 것이 아니라 丙火 재성(財星)도 병투(竝透)하였다.
이런 경우 월령(月令) 寅木이 식신(食神)과 재성(財星)을 같이 갖고 있으면서 병투(竝透)하였으니 식신격(食神格)의 성격(成格)이 되는 식신생재격(食神生財格)이 무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식신격(食神格)의 성격(成格)이 되려면 식신(食神)을 진극(眞剋)하는 도식(倒食)이라 불리는 편인(偏印)을 만나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이 사주는 편인(偏印)이 투출(透出)하였으면서도 식신격(食神格)의 성격(成格)이 되며 년간(年干) 甲木 식신(食神)은 월간(月干) 丙火 재성(財星)을 무리없이 생재(生財)하고 있다.
년지(年支)와 일지(日支)의 申金과 시간(時干)의 庚金이 편인(偏印)이다.
년일지(年日支)의 申金 편인(偏印)은 申申子로 삼합(三合) 수국(水局)을 이루고 수기(水氣)의 일원(一員)으로 행세하니 甲木 식신(食神)은 진극(眞剋)을 받지 않고 해구(解求)된다. 또 시간(時干)에 투출(透出)한 庚金 편인(偏印)도 월간(月干) 丙火 재성(財星)이 극제(剋制)하니 역시 해구(解求)된다.
식신격(食神格)에 편인(偏印)이 투출(透出)하였지만 지지(地支)에서는 삼합(三合)이 해결하고 있으며, 시간(時干)에 투출한 편인(偏印)은 월간(月干)의 丙火 재성(財星)이 극제(剋制)하여 식신(食神)을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성격(成格)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사주에서는 원칙이라는 것도 있지만 각각의 사주 구성에 따라 생각하지 못한 변화가 있기 때문에 쉽게 단정하면 안 되며 보다 면밀한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월간(月干) 丙火 재성(財星)은 월지(月支)가 장생지(長生地)이므로 득근(得根)하고 유기(有氣)한 상태로 시간(時干) 庚金 도식(倒食)을 극제(剋制)하여 甲木 식신(食神)을 충극(冲剋)에서 해구(解求)함은 물론 전체 사주의 조후(調候)도 겸하고 있다.
식신격(食神格)의 사주에서는 신왕(身旺)하고 식왕(食旺)한 경우 재성(財星)이 투출(透出)하면 대귀격(大貴格)이라 한다.
식신격(食神格)의 사주에서 많지는 않으나 월령(月令)에 재성(財星)을 겸하고 있는 경우 대부분 식신생재격(食神生財格)이 성격(成格)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길명(吉命)의 징조(徵兆)로 보고 있으며, 특히 이 사주처럼 식신(食神)이 간투(干透)하고 녹근(祿根)을 하는 경우는 대운(大運)이 좋지 않더라도 먹고 사는 걱정은 없는 것으로 추명한다.
식록(食祿)을 갖기 때문이다.
또한 수성(壽星)이라 별칭(別稱)하는 식신(食神)이 득록(得錄)한 경우는 장수(長壽)하는 경우가 많다.
이 사주의 용신(用神)은 甲木 식신(食神)이 된다.
식신생재격(食神生財格)으로 비겁(比劫)과 日主의 왕성한 生을 받아 日主의 태왕(太旺)한 기운을 설기(泄氣)하고, 이 사주의 병(病)을 해결하고 있는 재성(財星)을 生하는 통관용신(通關用神)이 된다.
식신격(食神格)에 도식(倒食)이 투출(透出)하였는데 재성(財星)이 이를 해결하는 경우는 재성(財星)의 運이 가장 길(吉)하며 그 다음 식상운(食傷運)도 길(吉)하다. 하지만 관성운(官星運)은 기피한다.
명주(命主)의 대운(大運)이 초년에 식상운(食傷運)으로 시작하여 재성운(財星運), 인성운(印星運)으로 진행한다.
식상운(食傷運)과 재성운(財星運)인 초중년에 대발하여 크게 성공하며 인성운(印星運)에서 주춤하나 식록(食祿)을 갖고 있으므로 무난하게 살아가는 귀격 (貴格)의 사주이다.
출처 : 격국(格局) 식신격(食神格) - blog.daum.net/gbell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