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柱 |
日柱 |
月柱 |
年柱 |
乾
命 |
|
偏
官 |
|
傷
官 |
偏
官 |
|
丁
酉 |
辛
巳 |
壬
子 |
丁
巳 |
|
比
肩 |
正
官 |
食
神 |
正
官 |
|
旺 |
生 |
死 |
生 |
日柱 |
|
死 |
生 |
旺 |
祿 |
各干 |
|
乙
巳 |
丙
午 |
丁
未 |
戊
申 |
己
酉 |
庚
戌 |
辛
亥 |
大
運 |
日主는 辛金이다.
월령(月令)은 하늘(天)에서는 우로(雨露)이며 땅(地)에서는 샘물인 子水月이다.
子中 癸水가 사령(司令)하니 격국(格局)은 식신격(食神格)이다.
사주를 분석하고 용신(用神)을 정한다.
日主의 강약(强弱)을 먼저 살핀다.
辛金 日主는 월령(月令)에 통근(通根)하지 못하고 설기(泄氣)하는 관계이니 득령(得令)하지 못한다.
日主의 좌하(座下) 巳火는 장간(藏干)에 庚金이 있으니 통근(通根)하지만 정기장간(正氣藏干) 丙火는 火剋金 극아자(剋我者)인 정관(正官)이니 일지(日支)에도 득지(得地)하지 못한다.
하지만 日主는 시지(時支) 酉金이 제왕지(帝旺地)로서 득지(得地)하며, 년지(年支) 巳火에도 뿌리를 내리는 한편 년일시지(年日時支)가 巳酉丑 삼합(三合)의 巳酉 금국(金局)을 이루어 생조(生助)하고 있으니 신왕(身旺)하다.
식신격(食神格)이니 식신(食神)을 살펴본다. 월령(月令)인 子水 식신(食神)은 년지(年支)와 일지(日支)의 巳火 정관(正官) 사이에서, 월간(月干)에 투출(透出)한 壬水 상관(傷官)과 힘을 합하여 왕성한 관성(官星)을 극제(剋制)하면서 日主를 보호하고 있다. 하지만 관성(官星)에 비해 힘이 약한 편이다.
식상(食傷)은 日主로부터 生을 받고 있기 때문에 관살(官殺)이 왕성한 경우는 日主의 편에서 서서 최선을 다해 보호하게 된다.
관성(官星)을 보자.
년지(年支)와 일지(日支) 巳火에 뿌리를 내린 丁火 편관칠살(偏官七殺)이 년간(年干)과 시간(時干)에 병투(竝透)하였고 년일지(年日支)가 정관(正官)이니 관살혼잡(官殺混雜)된 상태로서 모두 칠살(七殺)로 보아야 한다.
월간(月干) 壬水 상관(傷官)이 丁火 칠살(七殺)과 丁壬 합(合)을 이루어 거살(去殺)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겠으나 년간(年干)과 시간(時干)의 丁火가 쟁합(爭合)을 벌이고 있기 때문에 거살(去殺)된 것이 아니다.
식신격(食神格)에서 칠살(七殺)이 투출(透出)되어 있는 경우는 가장 먼저 재성(財星)이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재성(財星)이 있는 경우는 식신(食神)과 칠살(七殺)사이에서 통관(通關)하여 식생재(食生財), 재생관(財生官)하여 결국 칠살(七殺)을 돕는 결과가 되어 日主를 더욱 심하게 剋하기 때문에 흉조(凶兆)가 된다.
다행히 재성(財星)이 없다.
재성(財星)이 없이 식상(食傷)과 칠살(七殺)이 있는 경우는 서로 의 기세(氣勢)가 균형(均衡)을 이루어야 중화(中和)가 되며 길명(吉命)이 된다.
이 사주는 식상(食傷)보다는 칠살(七殺)의 기세(氣勢)가 더 강하다.
따라서 용신(用神)은 酉金 비겁(比劫)으로 정하여 식상(食傷)을 생조(生助)하고 왕성한 칠살(七殺)의 기운을 설기(泄氣)시켜 균형(均衡)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사주는 비겁운(比劫運)이나 인성운(印星運), 식상운(食傷運)이 길운(吉運)이 되며, 재성운(財星運)과 관성운(官星運)은 흉운(凶運)이 된다.
명주(命主)의 대운(大運)이 용신(用神)의 運으로 시작하여 크게 성공한다. 높은 직위(職位)에 있다가 丁未 대운(大運)이 시작되면서 용신(用神)을 剋하고 칠살(七殺)을 생조(生助)하니 식상(食傷)과 균형(均衡)이 깨져 직위(職位)에서 쫓겨나 하는 일 없이 살아가게 되는 운명(運命)이 된다.
출처 : 격국(格局) 식신격(食神格) - blog.daum.net/gbell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