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柱 |
日柱 |
月柱 |
年柱 |
坤
命 |
|
偏
官 |
|
偏
財 |
正
印 |
|
辛
巳 |
乙
未 |
乙
酉 |
壬
辰 |
|
傷
官 |
偏
財 |
偏
官 |
正
財 |
|
病 |
墓 |
胎 |
衰 |
日柱 |
|
死 |
養 |
絶 |
墓 |
各干 |
|
壬
寅 |
癸
卯 |
甲
辰 |
乙
巳 |
丙
午 |
丁
未 |
戊
申 |
大
運 |
日主는 乙木이다.
월령(月令)은 금왕지절(金旺之節)의 제왕(帝旺)인 酉金月이다.
월령(月令)으로서 격국(格局)은 편관(偏官) 칠살격(七殺格)이며 월령(月令)의 정기장간(正氣藏干) 辛金이 시간(時干)에 투출(透出)하였으니 칠살격(七殺格)이 된다.
사주를 분석하고 용신(用神)을 정한다.
먼저 日主의 강약(强弱)을 살핀다.
日主 乙木은 목기(木氣)의 쇠진기(衰進期)로서 휴수기(休囚期)인 酉金月에 태어나 월령(月令)을 득(得)하지 못하니 미약하다.
좌하(座下)의 未土에 득근(得根)하고 년지(年支) 辰土에 역시 통근(通根)하고 뿌리를 내리며 년간(年干) 壬水 인성(印星)의 생조(生助)를 받으니 신왕(身旺)하지는 않지만 생기(生氣)를 띠고 있다.
칠살(七殺)을 살펴본다.
시간(時干)에 투출(透出)한 辛金 칠살(七殺)은 금왕지절(金旺之節)의 제왕절(帝旺節)에 태어났는바 본향지기(本鄕之氣)의 왕기(旺氣)를 갖고 월지(月支) 酉金에 득근(得根) 유기(有氣)한데 시지(時支) 巳火와 월지(月支) 酉金이 巳酉 삼합(三合) 금국(金局)을 이루어 생조(生助)하니 살기태왕(殺氣太旺)하다.
식상(食傷)을 살펴보자.
시지(時支) 巳火가 상관(傷官)이다.
巳火 식상(食傷)은 월령(月令)酉金이 사궁(死宮)이니 사절(死節)에 태어나 본기(本氣)가 쇠약한 상태로서 일지(日支) 未土와 함께 巳未 방합(方合)을 이루나 사정방(四正方)의 午火가 없어 왕살(旺殺)을 제복(制伏)하기는 힘에 부친다.
다행히 월지(月支) 酉金 칠살(七殺)은 합살(合殺)되어 맑아졌는데 왕토(旺土) 재성(財星)이 왕살(旺殺)을 생조(生助)하고 있으니 균형이 깨져 이 사주의 병(病)이 되고 있다.
재성(財星)을 보자.
월간(月干)에 투출(透出)한 己土 재성(財星)은 년일시지(年日時支)에 통근(通根) 뿌리를 내리고 득근유기(得根有氣)한 상태로 미약한 식상(食傷)의 힘을 설기(泄氣)하면서 병신(病神)인 칠살(七殺)을 생조(生助)하고 있다.
이 사주는 여명(女命)이다.
여명(女命)의 경우는 부성(夫星)인 관살(官殺)의 건전성(健全性)여부가 상당히 중요하다.
관살(官殺)이 피상(被傷)되어 있거나 형충파해(刑冲破害) 등 건전(健全)하지 못한 경우는 운명(運命)의 곤궁(困窮)함을 면할 수 없다.
물론 시대가 바뀌어 남녀가 평등하고 정조관념이 옛날과는 많이 바뀌어진 상황에서 사주의 추명방법(推命方法)도 많이 바뀐 것은 사실이다.
여자의 능력이 남자를 앞질러 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정을 여자가 이끌어가는 경우 옛날의 추명(推命)에서는 흉명(凶命)으로 보았지만 지금은 오히려 길명(吉命)으로 추명하는 것 등이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바뀔 수 없는 것이 있다.
바로 음양(陰陽)의 조화(調化)가 그것이다.
시대가 바뀌어도 陰이 陽으로, 陽이 陰으로 바뀌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 사주의 용신(用神)은 세력(勢力)의 균형(均衡)을 이루어 병(病)을 제거(制去)하면 길명(吉命)이 될 것이므로 巳火 식상(食傷)으로 용(用)한다. 길운(吉運)은 식상운(食傷運), 일주운(日主運)이다.
식상운(食傷運)은 왕금(旺金)을 극제(剋制)하여 균형을 이루게 되며, 일주운
(日主運)은 日主와 용신(用神)을 생조(生助)함은 물론 재성(財星)을 극제(剋制)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명주(命主)의 대운(大運)이 남동방(南東方)으로 행운(行運)한다.
따라서 남편이 중국의 상서(尙書) 벼슬을 하게 되며 현숙한 부인으로서 현량(賢良)한 자식과 함께 일생을 부귀(富貴)하고 편안하게 살아간다.
이 사주는 명리정종(命理正宗)에 소개된 사주를 풀이하였다.
출처 : 명리세상 - blog.daum.net/gbell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