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柱 |
日柱 |
月柱 |
年柱 |
乾
命 |
|
劫
財 |
|
正
財 |
傷
官 |
|
壬
子 |
癸
酉 |
丙
寅 |
甲
子 |
|
比
肩 |
偏
印 |
傷
官 |
比
肩 |
|
旺 |
浴 |
病 |
旺 |
日柱 |
|
癸
酉 |
壬
申 |
辛
未 |
庚
午 |
己
巳 |
戊
辰 |
丁
卯 |
大
運 |
日主는 癸水이다.
월령(月令)은 초춘(初春) 寅木이다.
월령(月令)의 정기장간(正氣藏干) 甲木 상관(傷官)이 년간(年干)에 투출(透出)하였다.
따라서 격국(格局)은 정격(正格)으로서 상관격(傷官格)이 된다.
수목상관격(水木傷官格)이다.
사주를 분석하고 용신(用神)을 정한다.
日主의 강약(强弱)을 판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日主 초춘(初春) 寅木월에 태어나니 병궁(病宮)으로서 본기(本氣)가 쇠진(衰進)하는 절(節)이다.
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의 휴(休)에 해당하니 실령(失令)하며, 오행(五行)의 동기(同氣)를 월령(月令)이 갖고 있지 않으니 통근(通根)하지 못한다.
하지만 좌하(座下)의 酉金은 인성(印星)으로서 득지(得地)하며, 년지(年支)와 시지(時支)의 子水가 제왕지(帝旺地)이니 득근득기(得根得氣)한다.
뿐만 아니라 시간(時干)에 투출(透出)한 壬水 비겁(比劫)은 년시지(年時支) 子水 제왕지(帝旺地)에 득근(得根) 유기(有氣)한 상태로 日主를 돕고 있으니 日主의 기세(氣勢)는 태왕(太旺)하다.
상관(傷官)의 기세(氣勢)를 살펴보자.
년간(年干)에 투출(透出)한 甲木 상관(傷官)은 월지(月支) 寅木이 건록(建祿)의 자리로서 녹근(祿根)하고 유기(有氣)한 상태로 日主의 生을 받고 있다.
하지만 기세(氣勢)가 日主를 쇠진(衰盡)하게 할 정도는 아니므로 가상관격(假傷官格)이 된다.
수목상관격(水木傷官格)은 재성(財星)과 관성(官星)을 꺼리지 않는다. 재성(財星)은 상관생재(傷官生財)가 가능하여 성격(成格)을 이룰 수 있고 조후(調候)도 가능하기 때문이며, 관성(官星)은 상관(傷官)을 견제하여 日主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사주에서는 관성(官星)이 없지만 재성(財星)이 투출(透出)하여 길명(吉命)이 되고 있다.
재성(財星)을 살펴보자.
월간(月干)에 丙火 재성(財星)이 투출(透出)하였다.
丙火는 좌하(座下)의 寅木이 장생지(長生地)로서 득근(得根) 유기(有氣)한 상태로 甲木 상관(傷官)을 생인(生引)하여 상관생재(傷官生財)로 성격(成格)을 이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얼어붙어 있는 사주를 따뜻하게 조후(調候)까지 하고 있으니 丙火 재성(財星)이 아름답다.
더욱 길명(吉命)인 것은 월령(月令)에서 甲木 상관(傷官)과 丙火 재성(財星)이 동일하게 투출(透出)하여 서로 유정(有情)하다는 것이다.
이 사주의 용신(用神)을 丙火 재성(財星)으로 용(用)하는 것에는 이론(異論)이 없다.
상관격(傷官格)에서 가장 좋아하는 것은 재성(財星)과 인성(印星)이다.
특히 재성(財星)은 상관견관(傷官見官)에 따른 극부극자(剋夫剋子)와 그 외 흉조(凶兆)를 해구(解求)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연해자평(淵海子平)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수상진관성 신수왕(雖傷盡官星 身雖旺)이나 약무일점재기 지위빈박(若無一點財氣 只爲貧薄)이다.” 의미는 비록 관성(官星)이 상진(傷盡)하였고 또한 신왕(身旺)하더라도 만일 재기(財氣)가 일점도 없다면 다만 빈천(貧賤)하고 박명(薄命)하다. 라는 의미다.
이 사주는 재성운(財星運이 가장 길운(吉運)이다.
대운(大運)이 남서향(南西向)으로 행운(行運)한다.
남방운(南方運)에 대발(大發)하여 부귀(富貴)를 겸전(兼全)한다.
하지만 운명(運命)의 행로(行路)는 피할 수가 없다.
壬申 대운(大運)을 맞아 사주에서 가장 중요한 월령(月令) 寅木을 충파(冲破)하며 용신(用神)을 파극(破剋)하게 되므로 명(命)을 다할 수밖에 없다.
수복(壽福)을 겸전(兼全)하지 못한 것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출처 : 명리세상 - blog.daum.net/gbell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