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사주에서의 재관(財官)
페이지 정보
본문
<남자 사주에서의 재관>
식상생재가 잘 되고 있으면 1등, 식상과 재가 떨어져 있으면 2등, 식상 없고 재만 왕성하면 3등, 재 없이 식상만 있으면 4등, 다 없으면 5등. 이 5등은 금전 활동에서의 극단성을 뜻하거나 조직활동으로 넘어가거나 합니다. 관과 무리지은 재는 처로 봅니다. 자식을 낳아주는 재니까. 식상과 무리지은 재는 사업활동. 식상이 재를 돕는 구조는 처에게 자상. 식상은 이벤트.
관인소통이 매끄러운면 1등, 관이 잘 생기고 인성이 숨으면 2등으로 큰 조직으로 가나 결재권이 약합니다. 인성이 드러나고 관이 숨으면 3등으로 결재권은 행사하나 고위직은 어렵습니다. 관인이 모두 숨으면 조직사회에서 전문성, 기술성, 연구직, 교육성 등으로 갑니다. 다관은 격탁으로 직장전변의 인자. 관은 하나인데 인성이 많은 경우 세속성이 더뎌집니다. 글과 학문은 이루었으나 거기에 어울리는 벼슬은 얻지 못합니다. 이런 경우를 녹록종신이라고 합니다.
인성과 무리지은 관성은 조직, 재성과 무리지은 관성은 자식.
乙 乙 甲 戊
酉 巳 寅 申 <坤>
여자의 생식기인 상관이 유금 신금 즉, 담장 안과 담장 밖으로 합을 합니다. 이 경우 상관이 관을 끌어당기므로 여자가 남자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갑니다. 이 경우 인성이 숨어 있으니 더 그렇습니다. 관인소통은 그 반대.
丁 戊 ○ ○
巳 申 寅 未 <坤>
조후가 무너져 있고 무엇보다 식신이 관을 때리고 있습니다. 이 경우 남자가 문지방만 넘어오면 힘이 빠집니다. 그러다 자년 해년이 오면 그런대로 풀립니다. 자는 신자진, 해는 인해 합이 되면서 충이 어느 정도 해소되고 수의 기운이 들어와 조후가 살아납니다.
출처 : 박청화 강의 노트 10 - cafe.naver.com/1472topman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